• 제목/요약/키워드: Time-of-Arrival

검색결과 1,424건 처리시간 0.031초

버스도착시간 정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Bus Arrival Information for BIS)

  • 고승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175-181
    • /
    • 2002
  • 본 연구는 BIS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버스도착안내정보의 형태에 대한 특성을 검토하고, 이를 기초로 도착예정시간을 안내하는 경우 안내도착예정시간의 함수로 총대기시간을 구하고 최적 안내도착예정시간을 도출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안내도착예정시간의 함수로 버스도착을 안내된 도착예정시간 보다 일찍 도착하는 조기도착과 늦게 도착하는 지연도착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한 대기시간의 합인 총대기시간을 함수화하였다. 모형 및 사례연구를 통하여 BIS 시스템에서 평균도착시간이 안내해야할 최적의 도착예정시간이 아닐 수도 있으며, 이와는 다른 최적 안내도착예정시간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최적 안내도착예정시간은 작은 범위의 표준편차와 아주 큰 표준편차의 버스통행시간에 대해서 평균도착시간에 가까워져야 하고, 중간의 표준편차 범위에서는 표준편차가 클수록 늦게 안내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평균방법에 근거한 DOA와 지연시간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OA and Delay Time Presumption based on Average Method)

  • 이관형;송우영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12
    • /
    • 2004
  • This paper estimated the arrival angle and electric wave delay time using the space method law and the directions of arrival (DOA) estimation algorithm in case of signal correlation. Space method law is the method used to repress cross correlation before applying the weight value to the receiving signal. The values of the diagonal elements in the correlation matrix were averaged to replace as the diagonal elements value. In the area of wireless communication or mobile communication, there are high correlations in case of low delay time difference in multiple waves. This causes the quality of the communication to drop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desired signal elements. This paper estimated the arrival angle and electric wave delay time using the space method law and the MUSIC algorithm. With the arrival angle algorithm, the arrival angle cannot be estimated below 5 in case of signal correlations because the angle resolution capacity decreases accordingly. The super resolution capacity was estimated to determine the arrival angle below 5 in this paper. In addition, the proposed algorithm estimated the short delay time difference to be below 20ns.

  • PDF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증상 인지와 건강행위 이행이 내원시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ymptom Recognition and Health Behavior Compliance on Hospital Arrival Time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 한은주;김정선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3-9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symptom recognition, health behavior compliance, and the hospital arrival time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hospital arrival time in patient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patients with AMI in C hospital in D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liner regression tests. Results: Level of symptom recognition and health behavior compliance was low. The median value of hospital arrival time was 4.48 hours (ST-segment Elevation Ml was 2.43 hours and Non ST-segment Elevation MI was 7.83 hours). Among the studied factors, only symptom recogni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 behavior compliance (r=0.38, p<.001). Factors influencing the hospital arrival time were MI classification, diabetes mellitus (DM) and transport vehicle to the 1st hospital, and they accounted for 13% of the variance for hospital arrival time in AMI patients. Conclusion: To prevent the delay of hospital arrival time in MI patients, a more robust nursing strategic intervention according to MI classification and DM is necessary; further education on the importance of transportation utilization is also mandated.

Adaptive Threshold Detector를 이용한 펄스 위치 계산 (Pulse Position Determination using Adaptive Threshold Detector)

  • 장재원;이상정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63-170
    • /
    • 2017
  • 독립 협동형 감시시스템인 이차감시레이더(SSR)의 위치 정보의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 다변측정감시시스템(MLAT)이 항공 감시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다. 다변측정감시시스템은 쌍곡선(hyperbola) 또는 쌍곡면(hyperboloid) 위치 측정법을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4개 이상의 지상 수신기에서 TOA (time of arrival)값을 측정하고 이를 중앙처리장치에서 각 수신기 상호간의 수신시각차 (TDOA; time difference of arrival)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위치를 계산한다. TDOA (time difference of arrival)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다변측정감시시스템의 위치 측정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항공기에 탑재된 트랜스폰더에서 송출된 신호가 수신기에 수신되는 시간인 TOA(time of arrival)를 정밀하게 측정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변측정감시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였으며 TOA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ATD (adaptive threshold detector)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였다. ATD는 동일 신호에 대한 수신기간 수신한 신호의 진폭 차에 의해 발생하는 펄스 위치 편차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ATD의 종류 중 LAS (level adjuster System)과 CDS (constant-fraction discriminator system)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와 기본적인 임계값을 적용한 펄스 위치 계산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여 ATD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송신 신호의 도달 시간차(TDOA)를 이용한 위치 측정 시스템의 구현 (Position Measuring System Design using Time Difference of Arrival)

  • 김동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합동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394-397
    • /
    • 2001
  • There are several methods of measuring position. For example GPS, AOA, TDOA and using radio camera. In this Paper I used TDOA method in position measuring system. TDOA method uses arrival time difference. In position measuring system, three transfers which is placed in different position transfer signal to receiver in fixed time interval and receiver records arrival time of signal. Because receiver knows idle signal's arrival time, receiver can calculate the difference of the signal's arrival time between idle and real. When we obtain time difference we can know the receiver position by Newton Raphson method.

  • PDF

클럭 표류 영향을 고려한 양방향 거리 인지 기반의 TOA/TDOA 추정 방안 (TOA/TDOA Estimation Method Based on Two Way Ranging with Considering Clock Drift Effect)

  • 박운용;박철웅;최성수;이원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7C호
    • /
    • pp.608-615
    • /
    • 2007
  • 일반적으로 양방향 전송을 통한 TOA(Time Of Arrival) 정보는 두 디바이스간의 정확한 RTT(Round Trip Time) 정보로부터 도출되지만 디바이스간의 서로 다른 클럭 표류의 영향으로 인하여 RTT 측정 시 요구되는 응답 시간이 길 경우 매우 심각한 TOA 오차를 야기 시키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비동기 시스템에서 클럭 표류의 영향을 줄이면서 TOA와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정보를 획득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IEEE 802.15.4a Task Group에서 제시한 단방향 전송을 통한 측위 방안과 비교하였으며 제안된 방안이 기존 방법들보다 개선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버스지체시간을 활용한 버스도착시간 예측 (The Bus Arrival Time Prediction Using Bus Delay Time)

  • 이승훈;문병섭;박범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25-134
    • /
    • 2010
  • 버스도착시간은 배차간격에 맞춰 차고지에서 출발한 버스가 해당정류장에 도착하는 시간을 말하며, 승하차 시간, 신호주기, 버스전용차로의 유무 등 여러 가지 교통여건으로 인하여 정류장에 도착할 때는 어느 정도의 오차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교통여건을 반영하는 버스지체시간을 산출하여 정류장별 버스지체시간을 예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류장별 버스도착시간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조건과 같은 경우, $7{\times}7$ 행렬과 $9{\times}9$ 행렬을 이용하여 버스도착시간을 예측하였을 때 분석대상도시에서 기존에 사용 중인 가중이동평균법을 이용한 버스도착시간예측방법 보다 높은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한 도착 시간 차 기반 소총화기 탄착점 추정 시스템 (Impact point estimation system of the rifle based on time difference of arrival method using microphone array)

  • 원종성;박규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06-214
    • /
    • 2018
  • 본 논문은 마이크로폰 음향 센서를 이용한 소총화기 탄착점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 신호 도착시간(Time of Arrival, ToA) 방식을 신호 도착 시간 차(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방식으로 확장 발전시켜 시간 동기화 문제를 해결하였고, 실제 사격 실험을 통해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실제 탄착점과 알고리즘으로 연산된 탄착점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제안 시스템이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정확히 탄착점을 추정하고 있어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DOCSIS 3.0 프로토콜에서 MAP 주기에 따른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MAP Inter-arrival Time for DOCSIS 3.0 based HFC network)

  • 송재준;김영성;노선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65-68
    • /
    • 2007
  • DOCSIS 3.0 MAC프로토콜은 MAP 메시지를 통하여 CM과 CMTS의 채널 전송 시간을 조정하므로 프로토콜 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MAP의 구성요소와 용도에 대한 정의만 표준안에 언급이 되어 있고, MAP 메시지의 전송주기에 대한 정의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DOCSIS 3.0에서 MAP 전송주기에 따른 프로토콜의 성능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MAP 전송주기를 제안하였다. 평가 결과로 MAP 전송주기는 0.05sec일 때 최적의 프로토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DOCSIS 3.0 기반 케이블망의 구축을 위한 중요한 성능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도착시점 방법에 의한 이산시간 대기행렬의 분석 (An Arrival Time Approach to Discrete-Time Queues)

  • 김남기;채경철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7-53
    • /
    • 2001
  • We demonstrate that the arrival time approach of Chae et al. [4], originally proposed for continuous-time queues, is also useful for discrete-time queues. The approach serves as a simple alternative to finding the probability generating functions of the queue lengths for a variety of discrete-time single-server queues with bulk arrivals and bulk servi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