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ographical Map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38초

연속지적도면의 정비와 지형도면고시에 활용 방안 (The Modification of Serial Cadastral Map and Its Applications to Notification of Topographical Maps)

  • 홍성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826-483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실측을 동반한 고품질의 연속지적도면 제작 방법과 이를 각종 지형도면 고시 업무에 연계 활용을 위해서 제작된 연속지적도면의 갱신 활용 방법은 물론 이에 수반되는 법 제도적인 내용을 검토하여 보았다.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현재 제대로 활용이 되지 못하고 있는 연속지적도면의 실질적인 활용성 향상을 위해 그간의 제시된 방법과 현지 측량 방법을 연계하여 정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정비를 위해서 현행 측량 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 법적인 근거를 마련하였다. 정비된 연속지적도면의 측량목적으로의 활용외에 각종 지형도면고시에서도 효율적 활용을 위해 갱신 및 활용 방안과 함께 관계 법령 및 제도적인 부분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를 기초로 현행 연속지적도면을 정비하게 되면 연속지적도면을 측량 목적으로의 활용은 물론 각종 지형도면 고시에 있어서 정확도 향상을 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추가적으로 현재 3종으로 관리되고 있는 지적도면을 1종으로 단일화를 유도할 수 있는 단계적인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910년대 고 지형도를 이용한 행정리 경계 구축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dministrative Boundaries Using Old Topographical Map in the 1910s)

  • 엄성준;조숙영;유수진;안필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45-54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dministrative boundaries by utilizing digitalized old topographical map. Various problems have arisen due to unclear administrative boundaries. For example,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conflict amongst residents to occupy a larger area, unnecessary waste of administrative power, and difficulty in collecting various data for administrative units (farm area, statistical data, spatial analysis, living ara analysis). Therefore, in this study,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dministrative boundaries by using an old topographical map containing information on villages before administrative reform in 1914. As a result, the boundaries of towns, towns and villages were largely consistent. In order to divide the administrative boundaries based on the legal district boundaries, the administrative boundaries were established by referring to the contents of village introduction and natural boundaries (roads, rivers, mountain ranges, etc.) provided in towns and villages. However, there was a limit in establishing a precise boundary as it was not possible to secure a high-quality digitalized old topographical map.

수치지도 수시갱신을 위한 지형변화 탐지 (Topographical Change Detection for Digital Map Update)

  • 박용철;이임평;유창호;윤하수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89-293
    • /
    • 2007
  • Because the current numerical value map and update system in use do not reflect rapidly enough the transformation of topography, their usage are gradually in decrease. 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reception update system of numerical value map which can guarantee the accuracy and up-to-dateness of data. While rapid detection of topographical transformation is essential for rapid updating, the existing research based on remote investigation or direct measurement was difficult to apply efficiently in terms of cost and accuracy. Thereupon, this research aims to present efficient methods of detecting topographical transformations for a frequent real time updating of numerical value map using the topographical transformation and related data inputted in real time into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

  • PDF

Application Study on the View Points Analysis for National Roads Route using Digital Elevation Data

  • Yeon, Sang-Ho;Hong, Ill-Hwa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92-296
    • /
    • 2002
  • This study has been accomplished as a experimental study for field application of 3D Perspective Image Map creation using Digital Topographical Map and based on the Ortho-Projection Image which is generated from Satellite Overlay Images and the precise Relative Coordinates of longitude, latitude and altitude which is corrected by GCP(Ground Control Point). AS to Contour Lines Map which is created by Coordinate conversion of 1:5,000 Topographical Map, we firstly made Satellite Image Map to substitute for Digital Topographical Map through overlapping the original images on top of each Ortho-Projection Image created and checking the accuracy. In addition to 3D Image Map creation for 3D Terrain analysis of a target district, Slope Gradient Analysis, Aspect Analysis and Terrain Elevation Model generation, multidirectional 3D Image generation by DEM can be carried out through this study. This study is to develop a mapping technology with which we can generate 3D Satellite Images of a target district through the composition of Digital Maps and Facility Blueprint and arbitrarily create 3D Perspective Images of the target district from any view point.

  • PDF

인간공학적 설계를 위한 지형지물 명칭 표기에 대한 분석 (The Analysis for the Ergonomic Design of the Topographical Objects Marking Method)

  • 문형돈;차두원;박범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60-266
    • /
    • 1997
  • The Navigation Streets Map that directly supplies information for a driv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Car Navigation System(CNS). Therefore, cause the compatibility, preference, visibility, and readability of the navigation streets map will be hold sway over driver's information acquisition, safety, and performance in CNS, it is important that designer's requirements should be analyuzed for ergonomic design of navigation streets map. Especially,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topographical objects marking method and that of the general map in a navigation streets map. Because much information is marked in a narrow space, it is important that the text information should be done in navigation streets map. Also, because it is a important factor to mark the text format for the marking method of the topographical objects, the design requirements will be drawn out through the factor analysis for the text marking method. And when ergonomic designers are doing, this result will be basic research for developing driving simulator of CNS and it will be a ergonomic guideline of navigation streets map.

  • PDF

지형도와 연속지적도의 가구계 폴리곤 집합간의 N:M 대응쌍 탐색 (Determination of N:M Corresponding Pairs between Block Polygon Sets from a Topographical Map and a Cadastral Map)

  • 허용;김정옥;유기윤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47-49
    • /
    • 2009
  • 본 논문은 상이한 추상화 및 일반화 기준에 의하여 지형도와 지적도 사이에서 발생하는 가구계 폴리곤 개체의 입도차로 인하여 발생하는 N:M 대응쌍을 탐색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한다. N:M 대응쌍을 도출하기 위하여 어떤 지도상의 가구계 폴리곤 집합에서 병합이 수행될 폴리곤들은 다른 지도상의 어떤 폴리곤과 유의미한 공간적 중복성을 가져야한다는 가정하에 반복적인 중첩 분석을 수행하였다. 반복 과정은 두 지도 사이에서 각각 병합이 수행된 폴리곤 사이의 공간적 중첩이 1:1 대응쌍의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종료된다.

  • PDF

1910년대 지형도를 이용한 근대화 이후의 도시 변화 분석 (Urban Change Analysis using the 1:50,000 Topographical Map which is Produced at 1910's)

  • 배선학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93-103
    • /
    • 2007
  • 일제가 한반도를 본격적으로 수탈할 목적으로 조선총독부를 통하여 1914년에서 1918년까지 5년간 제작한 축척 1:50,000의 '근세한국 오만분지일 지형도'는 근대적인 토목공사에 의한 개발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이전인 구한말 한반도의 삶의 모습을 그대로 담고 있는 자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1910년대의 경관을 담고 있는 근세한국 오만분지일 지형도 이미지에 좌표를 부여한 후, GIS 환경에서 오늘날의 지도와 중첩하여 토지이용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근대적인 토목공사가 시작되기 이전에는 개발이 어려웠던 구릉지역과 잦은 침수로 인하여 방치되고 있던 하천부지,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하여 경쟁력을 상실한 농경지 등이 오늘날에는 도시지역으로 개발되었다.

  • PDF

강풍위해지도 개발 및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Wind Hazard Maps)

  • 이영규;이승수;함희정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기반의 강풍위해지도를 개발하였으며, 이는 지표조도모형, 지형할증모형, 균일강풍지도로 구성된다. 지표조도모형은 지표조도가 지표풍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을 반영하기 위하여 지형 할증모형을 개발하였다.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은 건축구조설계기준(2005)을 채용하여 산정하였다. 균일강풍지도는 기상자료를 이용한 빈도분석법과 태풍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강풍위해성 평가방법을 통한 강풍위해지도가 강풍에 의한 손실, 피해 및 보험료율 산정에 적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도로 설계를 위한 지형정보 해석에 있어서 SQL의 응용 (The Application of SQL in Terrain Information Analysis for Route Design)

  • 강준묵;윤희천;이형석;이성순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9-42
    • /
    • 1995
  • 도로의 기본설계가 평면 지형도상에서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 끼고 있어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면에서 많은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GSIS를 이용한 지형정보처리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면서 3차원 수치지형정보를 이용한 효율적인 도로설계방법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로설계를 위한 지형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해석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분석하는 과정에 SQL을 응용하므로써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근거의 자료제시와 입체적인 지형정보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축척 1:5,000의 연구대상지역의 지형도를 3차원 기본토로 생성하고 등고선도, 토지이용도, 도로망도 및 수계도 등의 다양한 주세도의 지형 정보를 획득하였다. 완성된 지형도의 도형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의 속성 정보를 연결해 지형 정보를 구축하고, 노선계획을 함에 있어서 SQL을 응용하였다. 또한 도로설계를 위해 예비노선에 대한 종 횡단면도와 토공량 등의 설계자료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산출하였고, 설계 후 도로형상과 자연경관을 DTM으로 구성하여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므로 도로설계에 효율적인 방법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연구지형탐색을 통한 지역특화 미래기술전망 (Overview of Region-oriented Technologies through R&D Topographical Landscape)

  • 한혁;이준영;강종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625-163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지난 정부에서 추진된 제 3차 지방과학기술진흥정책('08-'12)의 일환으로 추진된 지역 연구활동에 있어서 기초분야 연구 성과물을 대상으로 16개 지역별로 연구 활동도 및 수준, 연구 생산성을 비교 분석 하였다. 각 지역별 연구 생산성의 비교는 연구 인프라(대학, 연구인력 등)의 비편재 요소를 고려하여 비교대상의 객관성을 고려하였다. 특히, 경남지역에서 산출된 대상기간 동안의 모든 기초분야 논문을 모집단으로하여 연구개발 지형도를 구현하고, 기 발표된 해당지역 미래전략산업과의 연계성을 고찰하였다. 따라서 미래전략산업과 연구지형에서 파악된 지역 역량이 집중된 기초분야와의 연계매트릭스를 통해 현재의 내재된 기초역량과 대응되는 미래기술 및 산업을 조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