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ur Contents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1초

북한관광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North Korea Tour Product)

  • 이경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29-437
    • /
    • 2009
  • 북한관광이 이루어진지 10년의 세월이 지났지만 정치적인 문제에 부딪히면서 가장 민감하게 고통을 당하는 분야가 관광이다. 북한관광을 민간차원의 교류로 하고자 했던 기본을 염두해 두었다면, 더욱 발전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개성관광을 경험한 관광객의 30%가 금강산관광 경험자인 자료를 근거로, 계획되어있는 백두산관광 이후 이어지는 북한의 관광 상품을 개발해 나가는데 있어, 남한의 경제력, 기술력을 활용하여 개발되지 않은 북한의 다양한 관광자원을 개발해 나간다면 남북한 양쪽 모두에 이득이 될 거라 생각하여 새로운 북한 관광 상품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음 한다.

온톨로지 기반의 개인화된 여행 추천 시스템의 구현 (A System for Personalized Tour Recommendation Based on Ontology)

  • 박연진;송경아;황재원;창병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1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개인의 선호도에 따라 여행지를 추천해 주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사용자 개인의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의 프로파일, 어플리케이션 내의 검색 정보, 웹 검색 정보와 페이스북 정보 등을 활용한다. 또한 실험적인 구현 사례로 시범 서비스 국가인 영국에 대하여 여행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개념과 관계를 중심으로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이를 중심으로 개인 선호도에 따라 여행지를 추천한다. 이 시스템의 개인화된 추천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관심 있는 여행지를 추천받아 이를 중심으로 여행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Developing Virtual Tour Content for the Inside and Outside of a Building using Drones and Matterport

  • Tchomdji, Luther Oberlin Kwekam;Park, Soo-jin;Kim, Ri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8권3호
    • /
    • pp.74-84
    • /
    • 2022
  • The global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education has resulted in the near-complete closure of school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CEC) facilities, universities, and colleges. To help the educational system with social distancing during this pandemic, in this paper the creation of a simple 3D virtual tour will be of a great contribution. This web cyber tour will be program with JavaScript programming language. The development of this web cyber tour is to help the students and staffs to have access to the university infrastructure at a faraway distance during this difficult moment of the pandemic. The drone and matterport are the two devices used in the realization of this website tour. As a result, Users will be able to view a 3D model of the university building (drone) as well as a real-time tour of its inside (matterport) before uploading the model for real-time display by the help of this website tour. Since the users can enjoy the 3D model of the university infrastructure with all angles at a far distance through the website, it will solve the problem of Covid-19 infection in the university. It will also provide students who cannot be present on-site, with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campus.

다크 투어리즘의 세월호 참사에 대한 적용 방안 연구 -관련 콘텐츠의 설계와 구성 관점을 중심으로 (The Application Methods of Dark Tourism Contents in SEWOL-HO Ferry Accident)

  • 김헌식;양정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176-187
    • /
    • 2014
  • 세월호 참사 이후 희생의 가치와 의미를 오랜 동안 되새기려는 여러 방안들이 제기되었다. 이 가운데 문화 콘텐츠 관점에서도 세월호 참사의 가치를 기리고자 본 논문에서는 다크 투어리즘을 통해 교훈과 깨달음의 관광 여행 관점에서 세월호 참사를 다루었다. 여기에서는 다크 투어리즘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투어 콘텐츠 공급과 그 투어 행태들은 유형에 기초하여 세계의 여러 사례를 비교하며 세월호 참사를 다크 투어리즘의 관점에서 교육과 정책 학습을 체계화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해 보았다. 현재 논의 중인 방안들을 비교 검토하고 다크 투어리즘을 전제하고 각 각 세월호 참사 관련 콘텐츠들의 유기적 시스템화를 탐색했다.

부산 관광콘텐츠를 활용한 여행 앱북 <레인보우 부산> 개발 (The Development of A Tour Application Book Using Contents Concerned with Busan Tour)

  • 장은진;윤태수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4권4호
    • /
    • pp.93-100
    • /
    • 2015
  • 현재 국내 출판계의 전자책과 앱북 시장은 장르문학인 소설과 웹툰 분야의 매출이 전체의 80%에 이르는 특정분야 매출 편중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상황이다. E-book에서 진화한 앱북은 오프라인에서 주로 판매되는 종이책과는 달리 가독성과 구매의 편리함이 강점이지만 일반화되기에는 대중적 전파력에 있어 시일이 걸린다는 점이 단점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그러한 상황 속에서도 국내 전자책 시장의 매출은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현재는 장르문학에 국한되지 않고 출판콘텐츠 분야에서 다양한 실험적 도전이 시행되고 있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부산관광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최초의 지역콘텐츠 소재 앱북의 기획과 개발과정을 통해 향후 웹 모바일 플랫폼으로서 관광 앱북을 개발하고 기존의 단순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앱북의 단점들을 보완하여 유료다운로드를 통한 구매로 이어지는 지속적 사용이 가능한 여행 앱북의 활용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Tour Conductor의 서비스교육훈련이 고객지향성과 고객만족에 관한 연구 (Effect of Service Education and Training for Tour Conductors upon Customer Orient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 이재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309-316
    • /
    • 2008
  • 여행업 종업원 교육훈련이 종업원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효율적인 교육훈련 개선은 물론 인적자원 관리방안 모색과 교육훈련이 직무에 미치는 영향력을 평가하는데 있다. 또한 종업원 잠재능력의 개발 중요성을 인식함과 동시에 직무만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여행업 종업원 교육훈련에 관한 결과를 보면 여행업 종업원 교육훈련은 교육훈련을 통해 습득되어지는 교육훈련내용과 여행업 종업원들의 교육훈련동기와 성취욕구, 능력이 항상 갖추어지고, 여행업체에서 상사나 동료의 지원 또는 환경 분위기가 조성이 될 때 종업원의 직무만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여행업 종업원 교육훈련을 위한 다양한 교육훈련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고, 여행업체는 물론 관련 정부기관에서는 종업원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훈련에 장기적인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

기획여행상품 원가구성요소의 선택기준에 대한 고찰 (The investigation on the selection criteria of cost elements in package tour products)

  • 오현준;허희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63-767
    • /
    • 2008
  • 본 연구는 기획여행상품의 가치, 여행자 만족 및 기획여행상품의 원가구성요소에 대한 이론적 기초의 정리에서 출발하여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의 선택된 원가구성요소에 대하여 알아본다. 이론적 연구의 구체적인 고찰을 통해 기획여행상품의 가치와 여행자 만족과는 어떠한 유기적인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여행자 만족을 평가하기 위해 적용된 기획여행상품 원가구성요소의 선택기준에 대한 시사점은 무엇인지를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고찰을 통해 여행사는 기획여행상품의 기획 및 판매시 중점적으로 지원해야 될 부분이 무엇인지, 소비자의 의도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기획여행상품 생산자의 입장에서 고객의 욕구에 부합하는 기획여행상품 개발에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다른 하나의 핵심적인 목적을 위해 시행된 바, 원가구성 요소의 선택기준을 근거로 여행자 및 여행사 입장에서의 기획여행상품의 평가지표 중요도 연구 등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단양 U-Cave Tour Contents 개선 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Danyang Ubiuitous-Cave Tour Contents : Based on Story-telling)

  • 유영준
    • 동굴
    • /
    • 제95호
    • /
    • pp.51-67
    • /
    • 2009
  • 본 연구는 온달과 평강공주를 캐릭터로 활용하고 있는 단양군 관광포탈이 최근의 Ubiquitous Contents로서의 특성 및 경향을 반영하고 있는가를 평가한 후 그에 적합한 개선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기존의 문하관광 콘텐츠 분석 사례들과 유비쿼터스 및 스토리텔링에 대한 최신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평가 근거를 우선적으로 마련하였고, 둘째, 이 근거를 바탕으로 단양군 관광포탈을 분석하여 U-Cave 콘텐츠로서 개선해야 할 사항을 도출하였다.

방한 인센티브여행 참가자의 여행행태 및 만족도 분석 -중국, 일본, 태국 참가자들의 차이를 중심으로- (Travel Behaviors and Satisfaction of Korea Incentive Tourist -Focusing on Differences of Incentive Tourists from China, Japan, and Thailand-)

  • 김주연;민민홍;안경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89-498
    • /
    • 2015
  • 최근 기업의 동기부여 수단으로 인센티브여행이 선호되면서 그 시장은 괄목할 만큼 성장하고 있으며, 여러 국가들은 인센티브여행을 유치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일본, 태국, 세 국가의 방한 인센티브여행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조사를 통해 방한 인센티브여행의 경쟁력과 수용태세를 파악하였다. 또한, 이들이 인식하는 한국에 대한 이미지와 인센티브여행에서 지출한 경비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세 개 국가 응답자들 모두 한국여행의 장점으로 '쇼핑'을 응답하였으며, 국가 간 다른 인식차이를 보였다. 방한 인센티브여행에 대한 만족에 있어서도, 일본여행객들은 한국여행에서 '음식'에 대해 가장 만족한 반면, 중국여행객들은 낮은 만족을 나타내는 등 국가 간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여행지출액에 있어서도 중국여행객들의 지출액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딥러닝 스타일 전이 기반의 무대 탐방 콘텐츠 생성 기법 (Generation of Stage Tour Contents with Deep Learning Style Transfer)

  • 김동민;김현식;봉대현;최종윤;정진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1403-1410
    • /
    • 2020
  • 최근, 비대면 경험 및 서비스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웹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사항에 대응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애니메이션이나 영화에 등장하는 명소를 방문하는 무대 탐방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영상 콘텐츠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작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Google Maps와 Google Street View API를 이용하여 무대탐방 지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수집하여 이미지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그 후, 딥러닝 기반의 style transfer 기술을 접목시켜 애니메이션의 독특한 화풍을 실사 이미지에 적용한 후 동영상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을 이용하여 보다 재미있고 흥미로운 형태의 무대탐방 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음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