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w vessel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2초

어선ㆍ예인선단ㆍ정박선의 항법적용에 대한 소고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Navigation Rule to a Towing Vessel and Her Tow, a Fishing Boat and a Vessel at Anchor.)

  • 김인현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1-28
    • /
    • 1999
  • In some cases a towing vessel and her tow, a fishing boat, and a vessel at anchor have a priority against a general power-driven vessel underway in the application of collision rule. This article aims at suggesting a practical guid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meaning of a vessel engaging in fishing, a vessel engaged in towing operation such as severely restricts the towing vessel and her tow in their ability to deviate from their course and a vessel at anchor, which are permitted to have the above priority. The construc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collision rule on the above vessels is supported by the decisions of MAIA and the judgment of civil courts.

  • PDF

Feasibility study for wrap-buoy assisted wet-tow and stepwise installation of mono-bucket foundation for 15 MW offshore wind turbine

  • Ikjae, Lee;Moohyun, Kim
    • Ocean Systems Engineering
    • /
    • 제12권4호
    • /
    • pp.413-437
    • /
    • 2022
  • An innovative concept for wet-transportation and stepwise installation of mono-bucket foundation for 15 MW offshore wind turbine is proposed. Case studies for two different mono-bucket and wrap-buoy dimensions are conducted and their hydrostatic and hydrodynamic performances are compared for both wet-towing and lowering operations. The intact stability and transient responses are analyzed in detail for various stages of lowering operation. Wave-induced motion statistics during wet tow in sea state 4 (highest operational window) are checked. The proposed concept is found to be feasible and can be an alternative cost-effective solution without using heavy-lift crane vessel in practice.

예인력과 피예인선의 예인 지점과 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owing Force of Tow Vessel and Towing Point and Behavior of Towed Ship)

  • 남택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37-642
    • /
    • 2013
  • 본 연구는 피예인선의 거동을 결정짓는 예인선의 힘과 작용지점의 해석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예인대상선박의 간략화된 동역학방정식을 바탕으로 선형화기법을 적용하여 목적으로 하는 피예인선의 자세와 위치를 달성하기 위한 예인력과 예인력이 가해져야 하는 지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LQR제어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수치적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리카치방정식을 이용하여 피예인선의 자세제어를 위한 제어기 이득과 자세제어에 필요한 무게중심에서의 힘을 도출하였고, 도출한 힘과 예인지점의 역학적인 관계는 의사역행렬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이러한 해석기법을 바탕으로 피예인선을 초기위치로부터 목표위치로 예인할 때 예인지점 및 예인방식에 따른 예인력을 구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선박을 예인하기 위한 예인력은 예인지점과 방향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고선박의 구난작업 시 예인선의 배치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탄소섬유 토우프리프레그 최신 연구동향 (Recent Research Trends in Carbon Fiber Tow Prepreg for Advanced Composites)

  • 박용민;황태경;정상기;박노현;장준열;나창운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4-101
    • /
    • 2017
  • 토우프리프레그는 한 가닥의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 등의 보강섬유에 일정한 비율의 수지가 미리 함침되어 있는 토우 형태의 프리프레그를 의미하며, 필라멘트와인딩 공법을 위한 중간재이다. 최근 고성능 압력용기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기존의 습식 필라멘트와인딩 공법을 대체할 수 있는 건식 와인딩 공법을 위한 소재인 토우프리프레그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로켓 모터케이스,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용 연료탱크, 산업용 고성능 압력용기 등 성능과 신뢰성을 동시에 필요로 하는 부품 제조용 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탄소섬유 토우프리프레그의 국내외 최신 연구동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A Plan for Reducing SAR Call-outs for Fishing Vessels in Korean Waters

  • Smith, Matthew V.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83-88
    • /
    • 2015
  • Korea has a systemic problem with lack of engine maintenance, especially among the Commercial Fishing Vessel fleet. This results in a inordinate percent of SAR call-outs for vessels with engine failure. These SAR call-outs lead to a free tow to shore by KCG or by one of its volunteer associates. Although these tows are not a terrible economic burden on KCG, it is a burden in terms of time and resources mis-allocated. This paper proposes a Commercial Fishing Vessel Examination (CFVE) program modeled after the program run by USCG. It is expected that adopting the CFVE program, KCG may be able to create a culture of safety among fishermen; thus, replicating the USCG's success rates.

사고 선박의 예인력 계산 및 실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Towing Force for the Disabled Ship and Its Experiments)

  • 남택근;정창현;김진만;최혁진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63-47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선박의 예인에 필요한 예인력의 계산과 이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 결과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먼저 예인력의 계산에 있어서는 선박의 마찰저항, 풍압저항, 조파저항을 고려하였다. 아울러 프로펠러가 고착된 상태를 가정하여 프로펠러 저항을 계산하였다. 이와 더불어 예인 시 사용되는 예인삭에 걸리는 부가저항을 노드분석법을 적용하여 계산하였고, 선체 저항과 예인삭에서의 부가저항을 합하여 최종적인 예인저항을 도출하였다. 계산된 결과값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목포해양대학교 실습선 새유달호를 활용하여 해상에서 예인실험을 수행하였고 이론적인 계산 결과와 실험 결과에 대한 비교를 행하였다. 소요 예인력의 이론적인 계산에서 주요한 요소는 예인속력임을 알 수 있었고, 예인속력의 증가에 따라 프로펠러 고착 저항이 저항의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제 실험을 통해서는 선박의 요잉에 의한 저항 증가분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loshing design load prediction of a membrane type LNG cargo containment system with two-row tank arrangement in offshore applications

  • Ryu, Min Cheol;Jung, Jun Hyung;Kim, Yong Soo;Kim, Yooil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8권6호
    • /
    • pp.537-553
    • /
    • 2016
  • This paper addresses the safety of two-row tank design by performing the extensive sloshing model tests. Owing to the uncertainties entangled with the scale law transforming the measured impact pressure up to the full scale one, so called comparative approach was taken to derive the design sloshing load. The target design vessel was chosen as 230 K LNG-FPSO with tow-row tank arrangement and the reference vessel as 138 K conventional LNG carrier, which has past track record without any significant failure due to sloshing loads. Starting with the site-specific metocean data, ship mo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3D diffraction-radiation program, then the obtained ship motion data was used as 6DOF tank excitation for subsequent sloshing model test and analysi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obtained peak data and the long-term sloshing load was determined out of it. It was concluded that the normalized sloshing impact pressure on 230 K LNG-FPSO with two-row tank arrangement is higher than that of convectional LNG carrier, hence requires the use of reinforced cargo containment system for the sake of failure-free operation without filling limitation.

소형어선 및 예인선단의 등화 및 형상물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Lights and Shapes for the Small Fishing Vessel and the Vessels Towing and Being Towed)

  • 정대율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21-42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소형어선 및 예인선단의 해양사고 사례를 통해 선박의 규정된 등화 및 형상물로 오인할 수 있거나 그들의 특성 식별을 방해하는 등화 및 형상물 또는 적절한 경계(警戒)를 방해하는 등화 및 형상물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선박의 등화 및 형상물에 관한 규칙을 규정하고 있는 국내법의 개정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총톤수 10톤 미만 소형어선의 구조 및 설비기준"은 소형어선이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 제26조 및 "해사안전법" 제84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어로에 종사하고 있는 선박"이 표시하여야 하는 등화 및 형상물을 비치하도록 개정하여야 한다. 둘째 소형어선의 항해등 및 레이더반사기에 관한 면제 규칙을 규정하고 있는 "어선설비기준"은 "해사안전법" 제20조의 규정을 충족하도록 개정하여야 한다. 셋째 "해사안전법" 제2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예인선열"의 정의는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 제24조의 규정을 충족하도록 개정하여야 한다. 또한 모든 항해사에게 해양사고 예방을 위하여 적절한 등화 및 형상물 표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초음파 핑거를 이용한 수파기 좌표의 보정 (Calibration of hydrophone Coordinates by the Telemetry techniques)

  • 신현옥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8권3호
    • /
    • pp.252-261
    • /
    • 1992
  • The accuracy of the position fixing with telemetry techniques depends in general on the accuracy of the location of the receiving point(hydrophon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coordinates of four hydrophones suspended down at both sides of the vessel anchored, each hydrophone motion is compensated using a depth pinger mounted on the seabed of 30m depth. The pinger location is calculated with a hyperbolic method. Using this technique so called hydrophone coordinates calibration, the movement of the Remotely Operated Vehicle(ROV), which has the same type of pinger mentioned above could be tracked down more accurately. Under the maximum variation ranges of a hydrophone of 5.2m in athwartships, 3.2m in alongship, and about 0.2m/s of the moving velocity in both directions, the ROV track with calibration is more close to the reality than that without calibration Tow depth pingers of same frequency can be distinguished by the use of three factors; The pulse period, the phase and the pulse period variation allowed in acquisition of the pinger as far as its pulse period is varied in smooth.

  • PDF

예인선 조기 식별을 통한 항로표지시설 추돌 방지 시스템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ollision Prevention System for Aids to Navigation by Early Identification of the Tug Boat)

  • 한주섭;유용수;박태근;김화영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437-443
    • /
    • 2019
  • 항로표지는 선박에 대하여 등광, 형상, 색채, 음향, 전파 등을 수단으로 운항 선박에게 위치, 방향 및 장애물의 위치 등을 알려주는 항행보조시설 일체를 의미하며, 주야간 선박항행의 안전을 위한 기본 수단이다. 예인선은 안전을 위해 종류별 최소 설비요건을 마련하여 사고를 대비하고 있지만, 예인삭의 길이, 조류의 영향, 상대적으로 중량이 큰 부선의 타력으로 인한 영향 등으로 예인선과 선회권이 달라, 변침 시 부선이 예인선을 따라가지 못하여 등부표와 추돌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 선박의 물리적 관계를 분석하여 예인선열을 식별하고 등부표와의 위험을 항로표지 관리운영 시스템을 통해 전파하는 기초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를 통해 예부선의 사전 식별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위험 전파를 위한 메시지를 설계하고 모의 시스템을 통한 위험 전파 및 전자해도 상에 위험을 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