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ffic Safety Facilities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213초

교통안전진단 결과분석을 통한 교통사고 요인분석 - 사고자 요인을 중심으로 - (A Factor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Through Traffic Safety Diagnosis Results - Driver Factor -)

  • 이환승;안병준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8-137
    • /
    • 2006
  • Traffic accidents occur due to complex influences of transportation companies, drivers, and road environment. This study found that education and surroundings for transportation companies, driving habits of drivers, and road safety facilities and accessory facilities were main factors that affected strongly traffic accidents. Also, it found that driving habits of drivers could affect accidents heavily more than two other factors. Road safety and accessory facilities were analysed that they affected traffic accidents independently with transportation companies and their own drivers.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a traffic accident prevention as our main target, those companies need to produce atmosphere that their own drivers can have safety awareness, and related institutions for the above target should run parallel with policy assistance and strict traffic enforcement. In the end, this study suggests that transportation companies should secure manpower wholly being charged with traffic safety and financial resources investing in it.

학교주변 어린이보호구역 안전실태 사례조사 연구 (A Case Study on the Safety of School Zones)

  • 김은주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5-126
    • /
    • 2008
  • Backgrounds: The objective of school zones was to define protective areas and to keep children vulnerable to traffic accidents from the risk. The current "Rules on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School Zones" included provisions on the installation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and road facilities, but they were not sufficient for children's traffic safety and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applying standards to the fields. Purposes: With these problems to be solved, the present study surveyed the current state of safety facilities in school footpaths and school zones around elementary schools and suggested plans to improve them. This study studied various factors like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safety facilities in the school zone. Methods: The present researcher visited four elementary schools selected for this study, and surveyed safety facilities in the school zones around the elementary schools using a schedule prepared by the researcher.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all of the four schools were designated as school zones, but the designation appeared nominal without sufficient safety facilities that can ensure children's saf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raffic facilities in school zones and school footpaths as well as safety guidance.

  • PDF

수치영상처리 및 패턴 인식에 의한 도로교통시설물 DB의 효율적 갱신방안 연구 (A Study of Effective Method to Update the Database for Road Traffic Facilities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nd Pattern Recognition)

  • 최준석;강준묵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1-37
    • /
    • 2012
  • 도로의 확장 및 신규 도로의 설치로 인하여 도로교통시설물의 변경 및 신규설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 및 운전자의 증가와 함께 교통안전을 위한 도로 및 교통안전표지는 지속적인 증설과 관리가 요구된다. 도로 시설물 중 교통안전표지판을 신속하게 갱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통안전표지판에 대하여 자동인식기능을 개발하고 위치정확도를 분석하여 수치지형도의 도로시설물 효율적 갱신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좌표측정을 위한 전방위 카메라 표정요소 산출, GPS/IMU/DMI 통합시스템 구축 및 영상처리기법을 적용하여 수치지형도의 도로시설물 DB의 효율적 갱신방법을 제시하였다.

속도저감형 시설이 차량 주행 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s on the Vehicle Running Speed Analysis according to the Speed Reduction Road Facilities)

  • 강수철;유순덕;조규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58-170
    • /
    • 2016
  • It has been applied several ways in order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and speed management on the road which is one of very important factors to prevent accidents. In this study, it is analyzed whether the facility such as the flashing and crosswalk, speed cameras and intermittent warning signs affect on a driving deceleration or not. It has been shown that the flashing and crosswalk and speed cameras except intermittent warning signs play a role of reducing the driving speed. The result showed that these traffic safety facilities help to improve the average speed as well as velocity distribution which was derived by the speed deviation even if there were the difference between facilities. Speed limit display does not affect the deceleration of the driver. Therefore, it was founded in this research that there were the driving speed reduction effect due to the facilities on the road. In order to control the driving speed on the road, it is necessary to install facilities with appropriate location and spacing on the road. In addition, place that turns out suppressed speeding through speed management also are required adequate facilities such as speed cameras.

해상교통안전시설의 운영효과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operation-effectiveness analysis of marine traffic safety facility)

  • 국승기;김정훈;박영남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10호
    • /
    • pp.819-824
    • /
    • 2007
  • 이 연구는 해상교통안전시설에 관한 운영효과를 분석한다. 해상교통안전시설의 운영효과는 크게 안전편익, 수송편익 그리고 기타편익으로 나눌 수 있다. 안전편익은 해상교통안전시설을 설치 및 운영함으로써 해양사고가 감소됨에 따른 해상교통의 손실회피비용으로 산출된다. 이를 위하여 각 해당 시설에 대한 해양사고 감소율을 산정하고, 손실회피비용의 세부 모델을 구축한다. 또한 이에 대한 각 변수를 정의하고 계산식을 제시한다. 이 모델을 목포청의 항로표지집약관리시스템에 적용하여 안전편익을 산출하였다.

충청권 비도심 지역의 교통안전기술 설계 및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Traffic Safety Technology in Chungcheong non-urban Region)

  • 조중연;김윤식;이민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264-27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비도심 지역의 교통사고 저감을 위해 충청권을 대상으로 기존연구에서 수행된 관련 문헌 검토, 교통사고분석시스템 자료를 통한 요인분석 및 군집분석과 설문조사, 충청권 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하여 실정에 맞는 3가지 교통안전기술을 제안한 바에 이어, 실제 적용 가능한 교통안전시설물의 상세 설계 및 테스트베드 적용, 만족도 조사 및 기술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추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안된 3가지 기술은 충청권 교통안전수준의 향상을 위한 교통안전시설물로서, 보행자 건널목 인식등, 교통약자 노견용 인식 등, 농기계 운행 안전 LED전광판이다. 각각의 기술은 기존 교통안전시설물의 비도심 지역에 적용시 발생가능한 빛 공해 및 제설작업 문제점을 보완하고, 태양광기반 자생기술로서 농촌지역의 교통안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율주행차량과 일반차량의 인지 방식과 범위의 차이에 따른 교통안전시설 설치 및 운영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according to Differences in Perception Methods and Range of Autonomous Vehicles and Human Vehicles)

  • 장혁준;고은정;한음;장기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11-326
    • /
    • 2023
  • 본 연구는 자율주행차량과 일반차량의 인지 방식과 범위의 차이를 비교하고 미시적 교통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교통안전시설의 설치 및 운영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에서는 기존 교통안전표지 설치·관리 업무편람을 검토하고 교통안전시설 중 안전표지를 차량의 행동 변화에 따라 분류하였다. 이후, 분류된 시설에 대해 가상환경에서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안전표지의 설치 위치를 변경해가며 최적 설치지점을 추론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 운전자의 시인성을 기준으로 설치된 교통안전시설이 자율주행차량과 일반차량이 혼재된 상황에서 도로 효율성과 안전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교통안전시설의 인지에 대한 임곗값은 교통안전시설의 설치·관리에 관한 규칙의 개정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교차로에서의 도로·교통안전시설물의 교통사고 감소효과도 추정 (Estimating Traffic Accident Reduction Effect of Road Safety Facilities in Intersesctions)

  • 윤여일;이수범;임준범;박길수;문정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9-142
    • /
    • 2017
  •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은 교통사고 예방을 위하여 도로상에 도로안전 관련 시설물을 설치함으로써 도로 환경적 요인에 대한 결함을 제거하는 대표적 교통안전개선사업이다. 그러나 개선사업으로 인해 설치된 각 시설물들에 대한 효과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로 교통안전 관련 시설물의 교통사고 감소효과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최근 2004년부터 2013년까지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 공사가 완료된 4,171개 지점을 대상으로 비교그룹방법을 활용하여 5가지 시설물에 대한 교통사고 감소효과도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교통사고에 대해서는 교통섬 4.45%, 표지병 32.17%, 과속단속카메라 24.13% 사고감소 효과를 나타냈으며, 반면 무단횡단금지시설 0.61%, 미끄럼방지포장은 1.67% 만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지병, 무단횡단금지시설, 미끄럼방지포장과 같이 국토교통부의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에서 특정유형의 교통사고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언급된 시설물들의 교통사고 감소효과도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지병은 악천후 시 교통사고에 대해서 52.96%, 무단횡단금지시설은 차대보행자 교통사고에 대해서 62.77%, 미끄럼방지포장은 추돌사고에 대해서 26.60%의 순수 교통사고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통안전시설 설치의 교통사고 발생에 대한 선행성 분석 (Precedence Analysis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Installation for Traffic Accidents)

  • 주일엽
    • 시큐리티연구
    • /
    • 제55호
    • /
    • pp.31-55
    • /
    • 2018
  • 본 연구는 교통안전표지, 교통신호기기 등 교통안전표지 설치의 교통사고 발생에 대한 선행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계열분석(time series analysis) 중 하나인 교차상관분석(cross-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도출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통안전시설 설치건수의 교통사고 발생건수에 대한 선행성은 교통안전표지(전체) 설치건수(시차수 1), 교통안전표지(주의) 설치건수(시차수 7), 교통안전표지(규제) 설치건수(시차수 7), 교통안전표지(지시) 설치건수(시차수 4)가 각각 부(-)의 관계로 교통사고 발생건수를 선행(先行)한다. 둘째, 교통신호기기 설치건수의 교통사고 발생건수에 대한 선행성은 교통신호기기(보행등) 설치건수(시차수 2)가 부(-)의 관계로 교통사고 발생건수를 선행(先行)한다. 셋째, 교통안전시설 설치건수 증감률의 교통사고 발생 증감률에 대한 선행성은 교통안전표지(전체) 설치 증감률(시차수 1), 교통안전표지(주의) 설치 증감률(시차수 1), 교통안전표지(지시) 설치 증감률(시차수 1), 교통안전표지(보조) 설치 증감률(시차수 1)이 각각 부(-)의 관계로 교통사고 발생 증감률을 선행(先行)한다. 넷째, 교통신호기기 설치 증감률의 교통사고 발생 증감률에 대한 선행성은 교통신호기기(보행등) 설치 증감률(시차수 0)이 정(+)의 관계로 동행(同行)한다.

라인스캔 카메라를 이용한 도로 안전시설 설치간격 및 높이측정 시스템 개발 및 현장적용 (System Development and Field Application for Measuring installation Interval and Height of Road safety Facilities Using a tine Scanning Camera)

  • 문형철;서영찬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231-237
    • /
    • 2008
  • 선진국의 기본 요건들 중 하나는 잘 정비된 교통인프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통안전시설에 대해 해외에서는 각종 교통안전시설에 대해 객관적인 상태평가를 기초로 하여 시설을 관리하는 자산관리(Asset Management)측면에서 시설을 관리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중 도로관련 각종 안전시설은 매우 다양하며, 기능 또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설치 규정 및 지침을 제정하고 있다. 그러나 설치기준 및 지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시설이 기준에 부합되게 설치되지 않아 오히려 도로이용자에게 불편함 뿐 아니라, 안전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도로안전시설 중 도로의 설계(운영)속도 및 기하구조에 따라 설치 간격 및 높이들이 규정화 되어있는 시설에 대해 라인스캔카메라를 이용, 이를 신속하게 측정 가능한 영상분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매우 정확하게 시설의 크기와 설치간격을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