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ferring connectivit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허브공항의 환승연계성 분석연구(인천국제공항을 대상으로) (An Analysis for Transferring Connectivity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 박용화;김성영;김중엽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5-85
    • /
    • 2006
  • 인천국제공항이 개항 5주년을 맞이하는 시점에서 허브공항으로서 충분한 요건을 갖추었는지 그리고 공항의 환승에 대한 연계성이 다른 허브공항과 비교하였을 때 어느 정도의 수준에 있는지를 평가 및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환승연계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 번째 적용한 방법으로는 웨이브(wave) 구조로서. 항공스케줄과 관련하여 도착과 출발에 따른 시간적 집중도를 분석하여 환승연계성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허브공항으로서의 특징, 즉 공간적인 측면과 시간적인 측면 중 시간적인 측면을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두 번째로는 시간에 관한 부분으로서 최소연결시간과 최대연결시간에 대하여 대한항공의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교통수단간 연계를 위한 최적 버스 배차간격 조정 알고리즘 개발 (Improvement of Optimal Bus Headway for Intermodal Transfer Station)

  • 유병용;양승태;배상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1D호
    • /
    • pp.17-23
    • /
    • 2009
  • 현대사회는 차량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교통정체, 환경오염이 심각해지고 있으며, 유가의 상승으로 인해 대중교통이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장거리를 이동하는 이용자는 대중교통의 환승이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환승센터의 구축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환승센터의 구축뿐만 아니라 교통수단간 효율적인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이용자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하는 방안 마련을 통해 대중교통의 만족도를 향상시켜 승용차에서 대중교통으로의 수단전환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중교통수단간 환승 시 효율적인 연계버스 운행간격의 조정을 통하여 환승승객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하는 알고리즘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운행간격 조정을 위하여 일반승객의 대기시간비용, 환승승객의 대기시간비용, 버스운행비용 등 총 교통비용을 산정하여 이를 최소화하는 배차간격을 산출한다. 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광명역을 대상으로 KTX와 광명역을 기점으로 하는 6014번 노선을 선정하여 모형을 적용하였다. 적용결과 현행으로 운행 시 270분 대기시간이 발생하며, 개선된 모형을 적용하게 되면 승객수요에 따른 시나리오에 따라 58분에서 82분의 대기시간이 발생하는 하여 최대 212분의 단축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모형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철도 역사의 환승 편의성 평가지표 연구 (A Study on Transfer Convenience Evaluation Indicators for Urban Railway Stations)

  • 김황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6호
    • /
    • pp.793-799
    • /
    • 2023
  • 본 연구는 도시철도역의 입지특성, 역사의 구조, 형태, 이용객 수 등을 반영한 도시철도역사의 유형을 분류하고 역사 유형별 이용자들의 환승이동 동선의 불편정도, 환승정보 수 및 연계성, 환승 이동편의시설의 설치 수, 이용자 간의 상충성, 환승안내정보 표지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도시철도이용자들이 환승할 때 가장 불편을 주는 요소들은 환승동선의 길이와 굴곡도, 환승 통로의 보행밀도와 상충자 수, 이동편의시설 설치 유무, 환승안내 문자의 크기나 높이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 환승 불편요소들을 객관화, 지수화하고 도시철도역의 환승 편의성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 지표로 제시하였다. 또한, 각 평가지표별 서비스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척도를 개발하였다. 각 지표별 평가척도는 현장조사를 통해 도출된 자료들의 최대 및 최소값을 기준으로 직선 보간법을 적용하여 6단계를 제시하였다. 다만, 편의성 평가지표별 중요도와 가중치을 하나로 묶은 환승편의성 종합평가는 추후 연구을 통해 정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