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shipment cargoe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3초

Choice Factors of Transshipment Port in Northeast Asia

  • Park, Nam-Kyu;Lim, Chae-Kwa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491-500
    • /
    • 2009
  • In order to attract more transshipment cargoes, Busan Port Authority (BPA) has, since 2003, adopted the volume incentive policy by which more than US$ 10 million annually have been paid back to shipping lines that were called at the port. However, having been a transshipment port for the Northeast region of China, the port of Busan has come under threat from bold Chinese port development projects, notably Shanghai, as northern Chinese regionnl ports place more emphasis on building facilities capable of handling growing trade volumes. Undoubtedly this would lead to a decline in transshipment container traffic moved via Busa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some core factors that have been affecting the increase of transshipment cargoes of Busan and further to recommend BPA an improved incentive scheme with which more T/S cargoes can be attracted into the port of Busan To clarity the reason why T/S cargoes have increased in the port of Busan, several steps are made as follows: The first step is to make a quantitative model for explaining the development of T/S cargoes during the last decade. The second step is to define the dependent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multiple regressions after testing variable significance. For this, data collection and the accuracy of validation have been done by the direct interview with the experienced staffs in shipping companies of both domestic and foreign country. After validating the model with collected data, the final step is to find variables which are explaining the model mostly. In conclusion, 2 variables were clearly identified as core factors that explain well the development of T/S cargoes in the port of Busan: 'Mohring effect' and total cost. It is strongly recommended, by an empirical study, that an incentive scheme be changed to a way which more feeder vessels rather than mother vessels can reduce their direct costs to call in the port of Busan.

동북아 경쟁항만간의 환적화물 유치전략 (부산항을 중심으로) (Strategies to Attract Transshipment Container Cargoes among Main Competitive Ports in North (East Asian Region))

  • 정태원;곽규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43-50
    • /
    • 2002
  • 중국과 일본서안지역의 지속적인 컨테이너 물량의 증가는 이 지역에서 환적화물을 유치하기 위한 한국 일본 중국의 주요항만들간의 경쟁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우리나라 항만이 동북아 지역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환적 거점항만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항만의 고객이 될 수 있는 선사, 포워더 등의 욕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경쟁항 만들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환적화물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이에 관련된 연구들이 그렇게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수행된 선행 연구들도 구체적인 경쟁분석을 통한 부산항 환적화물 유치전략을 제시하지 못했다. 이에 본 저자는 동북아(한국. 일본, 중국)에서 동적 경쟁상황을 고려한 부산항의 환적화물 유치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부산항의 효과적인 환적화물 유치전략을 제시하면 첫째, 입지, 요율, 무료장치기간, 서비스 중에서 환적화물을 유치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요율(43.31%)과 무료장치기간 (43.13%)으로 분석되었다. 부산항은 특히 상해항과 고베항의 경쟁적 위치(요율, 무료장치기간의 수준)를 고려하면서 동적 경쟁전략을 펼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둘째로 부산항에 대한 경쟁상황을 고려한 수요함수를 도출함으로써 부산항 마케팅 전략 수립 시 마케팅 매니저는 가격의 변화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를 계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과학적인 가격정책 수립이 가능하게 되었다.

일본을 타겟시장으로 하는 환적화물 유치방안 연구 - 화물 O/D 및 물류비용을 중심으로 - (Plans to Attract Transshipment Cargoes Targeting Japan - Focused on the Cargo O/D and Logistics Costs -)

  • 송용석;윤미선;남기찬;허윤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제1권)
    • /
    • pp.309-314
    • /
    • 2006
  • 지금까지 중국의 경제 급성장에도 불구하고 중국 항만의 시설 부족으로 인해 한국은 환적화물의 증가세가 뚜렷했었다. 그러나 상해 신항만 개발과 중국항으로의 선사 직기항으로 인해 최근 환적화물의 증가세가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내 항만개발 계획의 대폭적인 수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특히 동북아물류중심 국가로의 추진에 큰 장애요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항만의 급속한 성장 단계에 있는 중국보다 일본시장을 타겟으로 하여 국내 항만과 일본항만간 O/D 및 물류 흐름상의 물류비 구조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일본의 화물을 국내로 유치했을 때의 일본 물류비 절감효과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일본화물 유치 전략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An Analysis on the Distribution of Transshipment Container Cargoes in Northeast Asia: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Korea and China

  • Moon, Seong-Hyeok;Kwak, Kyu-Seok;Nam, Ki-Chan;Song, Yong-Seok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77-284
    • /
    • 2004
  • This paper tries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Korean seaports in terms of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ports with respect to attracting more transshipment container cargoes. For this the results of the Origin-Destination(O-D) analysis between major Korean ports and top 20 Chinese ports were presented. They also contained the O-D analysis between Chinese major ports and their inland hinterlands.

부산항의 환적량 결정요인 분석 (Determinants on Transshipments in the Busan Port)

  • 김정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3-194
    • /
    • 2011
  • 각국은 자국의 항만을 Hub-port로 육성하고 환적화물 유치를 위한 전략을 실시하고 있으며, 부산항 역시 동북아 컨테이너 Hub-port를 지향하고 있으나 최근 환적화물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항만의 환적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하여 부산항의 환적량을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려고 한다. 기존의 연구의 경우는 환적량의 결정요인을 항만 인프라, 해상환적비용, 항만비용 및 항만서비스로 제시하여 전문가의 설문조사에 의한 연구가 대다수이었으나, 본 논문에서는 부산항의 환적량을 종속변수로, 주변국내외 항만의 컨터이너 물동량 및 환적량, 그리고 각국의 무역액과 경제성장률을 설명변수로 설정하여 연도별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산항의 환적량은 상하이항과 도쿄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이 증가할 때 그리고 중국과 일본의 무역액이 증가할 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한 항만의 환적량 결정요인들을 합리적으로 구비, 관리함과 동시에 상하이항이나 도쿄항의 관련 화물 유치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Busan Port (Focused on northeast feeder network service cost, From LA to China and Japan)

  • Han, Yu-Nam;Yoon, Mi-Sun;Kang, Dal-Won;Kim, Hyun;Kwak, Kyu-Seok;Nam, Ki-Chan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Asia Navigation Conference
    • /
    • pp.203-21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activation plan of Busan port. In the past years, Busan port enjoyed the golden days because of the China's rapid economic growth. But China's continuous development of ports, the trend of increasing container ship size and increasing direct call to China are coming threats to Busan port. So Korea needs to revise the 'Northeast Logistics Hub' strategy because it is considered that Korea ports continuously will handle China's transshipment cargoes. But now China's transshipment cargo share has decreased by direct call to China ports. It means that China has a lot of its local cargoes, so many ship companies change liner service route to handle China cargoes except Bussan ports although Busan port is included in the main trunk route. In the future, Bussan port will not be able to compete again about throughput with China ports if Busan port's transshipment cargo share decreases. So we must find out and develop Busan port's strength which is the competitive edge. By good luck, Busan port has a few opportunities such as the developed feeder network service and geographical advantages. Busan port has many feeder network service like spider's web in any northeast countries so we can suggest that if Japanese shippers use Busan port to distribute their cargoes to Japanese local areas, its transport costs are cheaper than when they use Japan's main ports. In this paper analyzed side of cost when they use Bussan port like hub to distribute their cargo to their local areas. Because most companies tried to reduce the total cost about logistics. Finally, this paper suggests when northeast shippers(China, Japan) use Bussan port which is more economical than their local main ports.

  • PDF

인천신항의 환적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An Analysis of Transshipment Competitiveness of Container Cargoes in Incheon New Port)

  • 안우철;여기태;양창호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0-4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2013년 개장(1-1단계 완공 예정)하게 될 인천신항의 동북아시아 지역 내에서 환적기능을 가지는 항만으로 성장가능성을 확인해 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론은 신제품 도입 시 미래의 경쟁시장 및 경쟁상황을 예측하려고 할때 자주 사용되는 컨조인트 분석을 사용하여, 미주-북중국간, 유럽-북중국간 항로 운항시 주요 환적기지로 인천신항과 비교대상 항만들 간의 환적서비스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인천신항은 향후 국외 경쟁항만과의 환적물동량 유치를 위한 경쟁에서는 부산항과 상해항의 해상환적비용, 항만비용에 따라 유동적인 포지셔닝을 가짐을 확인 할 수 있다. 국내 경쟁항만간 환적물동량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인천신항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측면의 첨단자동화 항만으로 건설하고,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높여 환적작업 시 체선율을 감소시켜 국내 타 경쟁항만 대비 환적서비스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반면에 국외 경쟁항만간 환적항만으로서의 경쟁력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해상환적비용을 타 항만 대비 저렴한 수준을 유지하며, 효율적인 환적네트워크 뿐만 아니라 항만 인근 풍부한 배후단지를 통해 물동량 확보 및 접근이 용이하여 고객 수요를 충족 시켜줄 수 있는 환적 허브항만을 목표로 발전해야 할 것이다.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항만 브랜드 자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rand Equity of Port using Conjoint Analysis)

  • 김근섭;정태원;곽규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2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 /
    • pp.45-51
    • /
    • 2002
  • 전 세계의 항만들은 급속한 해운환경의 변화에 따라 컨테이너 화물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컨테이너화물을 유치하기 위한 이러한 경쟁은 항만시설을 현대화하기 위한 대규모 자본 투자와 항만운영·관리의 효율성 개선을 야기했다. 그러나 각 항만들의 지속적인 대규모 투자로 인하여 일반적인 운영으로는 더 이상 차별화 된 전략의 구축이 힘들어졌다. 이애 항만운영자들은 4P 믹스 전략과 같은 마케팅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이런 관점에서 현재 마케팅의 전략의 핵심역량으로 대두되고 있는 브랜드 가치를 환적항만을 대상으로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분석결과는 항만의 브랜드는 환적항만 선택에 있이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항만의 브랜드만으로 유치할 수 있는 환적화물이 상당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브랜드의 확장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포트 세일즈를 통한 고객 충성도를 유발해야 한다

  • PDF

ON-DOCK 서비스 시스템이 부산항 경쟁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On the Effect of ON-DOCK System to the Sharpening of Competitiveness Edge of the Pusan Port)

  • 양원;이철영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0
    • /
    • 1999
  • Port competition is generally classified into two type of inter-domestic ports and intermational ports and the latter is measured how to secure the function of intermediacy for foreign cargoes among competing parts. In the Northeast Asia top 20 world container ports such as Pusan, Kobe, Yokohama and Kaohsiung are struggling to induce transshipment containers generated in the North China region.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competitive factors of the said ports such as port site facilities expenses service level and flexibility of management and operations and suggest the feasible strategies that the Pusan Port to be viable transshipment center in the region. The evaluation is attempted twice. First attempt is evaluated by present conditions of each port and second attempt by upgraded conditions of evaluation value such as port service level and flexibility of port management and operations resulted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ON-DOCK service system. The results of evaluation are as follows; (1) Port competitiveness of first evaluation is ranked in Kobe=Kaohsiung >Pusan>Yokohama. (2) Second evaluation is resulted in Kobe> Pusan= Kaohsiung>Yokohama. According to this results the competitiveness edge of the Pusan Port is able to strengthen by implementation of the ON-DOCk system.

  • PDF

무한경쟁시대의 컨테이너부두 운영전략 (Operation Strategy of Container Terminal in the Era of Unlimited Competition)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5-206
    • /
    • 1998
  • By the rapid expansion of containerization and intermodal transportation in international shipping since the 1970's, the larger containerships have emerged and concentrated their calls at a limited number of ports. Moreover, large-scale container terminals have been built to accommodate the ever-larger containerships, and the mordernization of terminal facilities and many developm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etc. have been brought out. Thus, unlimited competition has been imposed on every terminal with neighbouring ports in Japan, Singapore, Hongkong and Taiwan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he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cope with unlimited competition between local or foreign terminals. The result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ransshipment cargoes, which the added value is high, is to be induced. Second, the function of storage is given on On-Dock Yard. Third, Berth Pool Operation System is to be introduced, especially in Gamman Container Terminal and Kwangyang Container Terminal. Fourth, the cargo handling charges is to be decided by terminal operat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