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vel experience content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6초

A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 Travel Distribution's Br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 LU, Lianghui;KANG, Min-Jung;SUN, Pengchang
    • 유통과학연구
    • /
    • 제21권1호
    • /
    • pp.107-117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experience and to travel brand community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brand community contents and travel product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moderating role of consumer characteristic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Based on a total of 381 bytes of data, hypothesis verification was conducted using Smart-PLS 3.2.8 statistical package programs. Results: First, the content community travel brand attributes, personal affordability and creativity are a lingering fragrances on the intended consumers ' shopping trip. Second, information provision, interaction,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brand community content, influenced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travel products through brand community satisfaction. Third, playfulness, vitality,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brand community content, influenced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travel products through double mediation of the experience and community satisfaction of brand. Conclusions: Tourism industry managers should be able to market content by forming their own brand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ourism industry managers can use social media travel brand community content to give discounts to consumers, provide creative, playful and vivid travel information.

고전기행문학과 경험 교육 -<열하일기>를 중심으로- (Classic travel literature and the experience education -focused on -)

  • 주재우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15호
    • /
    • pp.89-111
    • /
    • 2008
  • In spite of importance of the experience education in Korean classic education, it has not made study in this field. Especially, is famous for typical Korean classic as a travel literature, but it was considered as a writing model or a novel. This study focuses on as the travel literature. For the experience education, it must be considered that literature appreciation is a core. So the experience education contents will contain what is selected, how to present, and how to teach. The resource of the experience education have to arouse educational meaning and interest in the classic literature. Concerning , there are two type of experience. First, the writer's experience. The writer, Yonam experienced a extra ordinary events. He wrote this event through other's points. This showed other's situation so it could make understand other's feeling and thought. Second, the reader's experience. A modern reader considers Korean classic as something difficult and strange. but if reader would have the point of view of others, he could understand more easily. Further, it will be expected that the reader can reflect on own's situation and conduct.

노인의 관광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ourism Experi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 김혜린;현인숙;우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32-24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관광경험이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제주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으로 총 209부의 설문 내용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관광경험은 '가족', '사회', '건강', '심리적', '물질적', '여가' 삶의 영역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가족', '건강', '심리적', '여가' 삶의 영역에 만족은 전반적인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 '물질적' 삶의 영역 만족은 전반적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자녀 동반 가족여행에서의 Push-pull 동기, 경험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arent-child Travel Push-pull Motivation, Experience on Behavioral Intention)

  • 위옥천;박근수;유항유;조혁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62-473
    • /
    • 2021
  • 중국의 사회 발전에 따른 가족 구조의 변화와 가족 소득의 증가로 자녀 동반 가족여행은 점차 관광소비 분야의 각광받는 새로운 트렌드가 되고 있다. 관광마케터들에게 자녀를 동반한 가족여행자들의 요구와 동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농장으로 여행하는 자녀 동반 가족관광객 2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녀 동반 가족 여행자의 Push-pull 동기를 분석하고 Push-pull 동기와 경험, 행동의도 사이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3개의 push 동기 항목에 대한 요인 분석에서 '어린이 & 가족', '도피 & 휴식', '사회화'의 3개 push 동기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11개의 pull 동기 요인을 분석하여 '시설 & 안전', '테마추구 활동', '환경'의 3개의 pull 동기 요인을 도출하였다. 하위 가설 검증을 통해, 자녀 동반 가족여행자의 Push-pull 동기가 참석 경험(4E)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결과를 도출하였다. '에스테틱스 체험'은 자녀 동반 가족자의 행동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교육 경험'과 '엔터테인먼트 경험'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현실과 포톤 네트워크를 이용한 고령 환자용 여행체험 콘텐츠의 구현 (Implementation of Traveling Contents for Elderly Patients using Virtual Reality and Photon Network)

  • 임수빈;조면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23-128
    • /
    • 2018
  • 최근 고령인구 증가와 장기요양 보험의 도입으로 요양기관에 입주하는 고령 환자의 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장기요양 환자들은 만성질환과 치매 등의 질환을 앓고 있어 거동이 불편하거나 인지력이 떨어지는 어려움을 겪을 뿐 아니라, 가족과 떨어져서 우울증에 시달리므로 심리 및 정서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거동이 불편한 고령 환자를 위하여 VR과 포톤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가족들과 함께 평소에 가보지 못했던 해외여행 체험을 가상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기존 VR을 이용한 여행체험 서비스는 혼자 체험하는 반면, 제안하는 콘텐츠는 포톤 네트워크를 통해 가족 및 친구들이 네트워크로 참여함으로써 여행 체험 시 대화는 물론 지인들의 옆모습을 보며 함께 경치를 즐길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고령의 장기 요양환자로 하여금 심리적 안정감을 회복하고 치유의 의지를 높여서 투병생활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가상현실을 활용한 여행지 추천 콘텐츠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s for Travel Destination Recommender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 송은지;캘빈 찬드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76-578
    • /
    • 2019
  • 가상현실은 체험하기 어려운 환경을 실제처럼 체험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로써 최근 게임, 의료, 국방, 제조업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여행할 행선지를 미리 맛보고 여행 장소를 고를 수 있는 콘텐츠 개발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여행지를 정할 때 웹 사이트나 책자를 활용하여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찾아본다. 최근에는 여행지를 추천해 주는 어플리케이션도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가상현실로 구현하여 보여 주면 보다 확실하고 실감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구글 맵 VR과 같이 전체적으로 지구를 보여주고 확대하거나 축소를 할 수 있고 키워드를 클릭하면 그 키워드에 맞는 관광지를 추천을 해 준다. 인테넷 브라우징 쿠키를 이용해서 이용자의 관심을 따라서 자동으로 관광지를 보여준다.

  • PDF

여행 브랜드를 위한 콘텐츠 마케팅 연구 -여행 영상 형태의 유튜브 Vlog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tent Marketing for Travel Brand Focus on Youtube Vlog Formed Travel Video -)

  • 조장환;박보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445-450
    • /
    • 2019
  • 본 연구는 검색엔진으로 진화하고 있는 유튜브의 여행 Vlog에 대한 시청패턴과 콘텐츠 니즈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차적으로 설문 지법을 사용하여 45명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차적으로 이를 통해 얻은 결괏값을 바탕으로 Creating Pleasurable Interfaces 모형을 활용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로 시청자는 여행 Vlog를 활용하여 단편적인 정보보다는 여행에 관련된 전반적인 정보를 얻고 있었다. 두 번째로 유튜브에 업로드된 여행 Vlog의 절대량이 부족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는데 물리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세 번째로 여행 Vlog를 활용한 마케팅이 대중 매체의 광고 형식에서 벗어나지 못해 콘텐츠 전반에 서비스나 제품 노출에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는 여행 관련 기업의 콘텐츠 마케팅 전략에 있어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크리에이터들에게 콘텐츠 제작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가상 도보 여행 시스템 (Virtual Walking Tour System)

  • 김한섭;이지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605-613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기술로 전 세계를 도보 여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가상 여행 콘텐츠에 대한 가상현실 이용자들의 관심이 높으나 기존의 가상 여행 콘텐츠는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되어 있고 상호작용성이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기존 콘텐츠의 단점인 현실감 부족과 제한된 공간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시스템에서는 구글 스트리트 뷰 이미지를 사용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하였으며 사용자는 실제 거리 이미지를 통해 현실적인 체험이 가능하고 구글 스트리트 뷰 이미지에서 제공하는 방대한 지역을 여행할 수 있다. 또한 가상공간 안에서 사용자의 상호작용성을 높이고 몰입감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가상현실 헤드셋과 트레드밀 장비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도보를 하며 가상공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제 관광 명소에서 산길과 골목길까지 자연스러운 도보 여행이 가능한 본 시스템의 활용으로 사용자들의 여가 활동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UCC 관광정보의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ractical Use of UCC Tourism Information)

  • 양성수;최병길;홍성화;조성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416-423
    • /
    • 2009
  • 마케팅 분야에서 구전은 소비자에게 영향력이 매우 높은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설득력이 강하고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인터넷 이용이 증가하면서 여행경험담, 여행추천, 의견교환 등 UCC 관광정보에 대한 정보교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실험조사 설계를 통해서 UCC 관광정보 이용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결과로서 도출된 UCC 관광정보의 현상에 대한 내용을 토대로 정보의 생성단계, 교환단계, 확산단계 등 정보흐름별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체험형 전시 콘텐츠의 프레즌스 경험과 효과에 관한 연구 (Presence Experience & Effect of the Experiential Exhibition Content)

  • 설연수;주정민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1호
    • /
    • pp.76-85
    • /
    • 2024
  • 본 연구는 체험형 전시 콘텐츠 관람객의 프레즌스 경험과 이에 따른 효과, 재관람 의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혜초의 여행기 왕오천축국전, 실크로드 문화유산을 소재로 한 체험형 전시 콘텐츠 관람객 2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콘텐츠 소재에 대한 이해 및 관심도는 프레즌스 경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유사한 체험형 전시 관람 경험은 프레즌스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울러 전시 콘텐츠의 프레즌스 경험이 높을수록 프레즌스의 효과인 각성과 감동도 컸다. 그리고 프레즌스의 효과 중에서 감동은 재관람 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향후 체험형의 전시콘텐츠는 이용자들이 프레즌스를 체험하게 하는 기획, 제작, 전시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