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wo-portal technique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3초

후리에 표시자를 이용한 포탈영상과 시뮬레이터 영상의 자동결합 (Automatic Image Matching of Portal and Simulator Images Using courier Descriptors)

  • 허수진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16
    • /
    • 1997
  • We develop an automatic imaging matching technique for combining portal image and simulator image for improvements in localization of treatment in radiation therapy. Fusion of images from two imaging modalities is treated as follows. We archive images thxough a frame-yabber. The simulator and portal images are edge detected and enhanced with interpolated adaptive histouam equalization and combined using geometrical parameters relating the coordinates of two image data sets which are calculated using Fourier descriptors. We don't use any kind of imaging markers for patient's convenience. clinical use of this image matching technique for treatment planning will result in improvements in localization of treatment volumes and critical structures. These improvements will allow greater sparing of normal tissues and more precise delivery of energy to the desired irradiation volume.

  • PDF

견갑하 건 단독 파열에 대한 쇄골하 삽입구를 이용한 봉합술 - 술기보고 - (Subclavian Portal Approach for Isolated Subscapularis Tendon Tear - Technical Note -)

  • 최창혁;김신근;장일웅;김세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221-225
    • /
    • 2009
  • 목적: 저자들은 견갑하 건 단독 파열에 대한 쇄골하 삽입구를 이용함으로써 봉합나사못을 보다 적절한 각도로 삽입하고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봉합갈고리를 이용한 건 봉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었다. 대상 및 방법: 기존의 방법은 일반적으로 전방 및 전외측 삽입구를 이용하여 견갑하 건의 견인과 부착부 족문 (footprint)의 변연절제술을 시행한 후 봉합나사못을 삽입하여 복원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저자들은 삽입관을 따로 위치시키지 않고 쇄골하 삽입구를 이용하여 피하 (subcutaneous)로 봉합나사못 삽입과 봉합고리를 이용한 봉합사 통과작업을 시행하고, 전방 삽입구에만 삽입관을 위치시켜 봉합사를 결찰하여 견갑하 건 복원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및 결론: 이 술식은 간단하며 견갑하 건의 부분 파열이나 퇴축이 많이 되지 않은 전 파열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후방 삽입구를 이용한 관절경적 거골하 관절 유합술- 수술 방법- (Technical Note of Arthroscopic Subtalar Arthrodesis Using Posterior Portals - Operative Technique -)

  • 이근배;최진;박유복;서형연;서진수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93-196
    • /
    • 2005
  • A posterior 3-portal arthroscopic approach with the patient in the prone position provides a novel and optimal approach for isolated subtalar arthrodesis. This approach facilitates access to the posterior talocalcaneal facet and facilitates safe access with regard to the posteromedial neuromuscular bundle. The technique involves prone positioning, establishment of two posterolateral portals and one posteromedial portal, arthroscopic posterior talocalcaneal facet debridement, percutaneous morcellized bone grafting and internal screw fixation. Preliminary results have shown high patient satisfaction, an excellent fusion rate and less postoperative morbidity than open subtalar arthrodesis.

  • PDF

Arthroscopic Double-pulley Suture-bridge Technique for Rotator Cuff Repair

  • Kim, Kyung-Cheon;Rhee, Kwang-Jin;Shin, Hyun-Dae;Byun, Ki-Yong;Yang, Jae-Hoon;Kim, Dong-Kyu;Yeon, Kyu-Woong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9년도 제17차 학술대회
    • /
    • pp.162-162
    • /
    • 2009
  • After preparation of the bone bed, two doubly loaded suture anchors with suture eyelets are inserted at the articular margin of the greater tuberosity. A retrograde suture-passing instrument penetrates the rotator cuff to retrieve the sutures through the modiWed Neviaser or subclavian portal. An ipsilateral pair of suture eyelets in the suture anchor is passed through the margins of the rotator cuff tear. The blue suture of the second and third pair is pulled out of the lateral cannula, and the threaded blue suture of the third pair in the needle is passed through the blue suture of the second pair. After retrieving the blue suture of the firrst pair through the anterior portal, it is pulled out to pass the blue suture of the third pair through the eyelet of the anteromedial anchor. The blue suture is linked between two anchors. The medial row of suture bridge is repaired with a sliding knot, and the sutures are not cut. Once the rotator cuff repair using the suture-bridge technique has been performed, the two blue strands in the anterior portal are tied. We describe our technique that possesses the advantages of both the double-pulley and suturebridge techniques, which improves the pressurized contact area and maximizes compression along the medial row.

  • PDF

Sutureless Laparoscopic Ovariectomy in Small Dogs Using Two 3-mm Portal Sites

  • Hyeon-Han Ku;Ho Hyun Kwak;Jun-Hyung Kim;Kyung-Mee Park;Heung Myong Wo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19-325
    • /
    • 2022
  • Two-port laparoscopic ovariectomy (Lap-OVE) has been performed in small dogs, using 3-mm and 5-mm portal sites, and is associated with reduced surgical stress and postoperative pain. However, extension of the incision is often needed to extract the ovaries. In this study, we aimed to minimize invasiveness by using smaller-sized cannulas as well as a novel technique for ovary extraction. Lap-OVE was performed on six, healthy female dogs (range, 3 to 7.2 kg) using two 3-mm midline portals. The middle finger of a size M nitrile glove was cut at its base and sterilized preoperatively. The ovary was suspended at the body wall using a 1-0 blue nylon needle, and the ovarian pedicle and ligaments were transected using a 3-mm bipolar forceps. To facilitate the glove passing through the 3.9-mm port, it was turned inside out to expose the smooth inner surface, before being inser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with an applicator. Both ovaries were placed inside, and the mouth of the glove was exteriorized through the port with a laparoscopic grasping forceps. The ovaries were morcellated inside the glove, using Adison-Brown tissue forceps and iris scissors, which enabled safe extraction without incision enlargement. Median incision lengths were 4.3 mm (3.5-mm cranial cannula) and 4.8 mm (3.9-mm caudal cannula). An advantage of this procedure was that there was no need for skin sutures. In conclusion, using our novel technique, sutureless Lap-OVE was possible in small dogs using two 3-mm portal sites without additional incision.

랜드마크 (Landmark)를 이용한 방사선 치료 X선 시뮬레이터 영상과 포탈영상의 비교법 연구 (A Study of the Registration of Simulator Images and Portal Images Using Landmarks in Radiation Treatment)

  • 이정애;서태석;최보영;이형구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2권2호
    • /
    • pp.177-184
    • /
    • 2001
  • 방사선 치료목표는 정해진 방사선량을 병변부위에 정확하게 조사시키고 주위 정상조직에는 방사선이 조사되지 알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에 조사야 배치, 차폐체 배치의 부정확성, 환자의 움직임 등으로 병변부위와 치료부위 사이에서 변위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치료 위치의 확인을 위한 방법으로서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포탈영상과 x선 시뮬레이터 영상을 비교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방사선 치료 시 발생하는 부정확도를 이동, 스케일, 회전 정도로 나타내어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등록 알고리즘은 랜드마크 정합 후 필드 경계 정합에 의해 두 영상의 변위오차를 분석하는 순서로 구현된다. 우선 각 영상의 두개의 랜드마크를 이은 대응선분들을 이용하여 변환변수 (이동, 스케일, 회전)를 구하여 랜드마크를 정합하였다. 다음으로 포탈영상의 필드경계를 추출한 후 $\rho$-$\theta$ technique을 적용하여 두 필드의 변위오차를 계산하였다. 팬톰 포탈영상에 적용하여 이동에서 2mm 이내, 회전에서 1$^{\circ}$ 이내, 스케일에서 1% 이내의 오차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방사선 치료 시 시뮬레이터 영상과 포탈영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서, 환자 치료의 정확도 확인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골반강 내 방사선 치료 환자에서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EPID)를 이용한 Portal Image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Usefulness of Portal Image Using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 (EPID) in the Patients Who Received Pelvic Radiation Therapy)

  • 김우철;박원;김현정;박성용;조영갑;노준규;서창옥;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497-504
    • /
    • 1998
  • 목적 : matrix ion chamber type의 EPID와 video camera based EPID를 이용한 portal image와 기존의 film을 이용한 port film의 영상의 질을 객관적으로 비교 평가하여 EPID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4월부터 10월까지의 인하대 병원과 세브란스 병원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은 골반강내 치료 환자 각 10명씩을 대상으로 환자 1명 당 5-10회의 port film과 EPID를 이용한 portal image를 동시에 얻어 비교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32세에서 79세이었고 2명의 AP영상을 제외하고는 모두 PA영상을 얻었다. 환자의 두께는 17cm에서 20cm으로 비교적 균일하였다. beam energy는 10MV X-ray를 사용하였고 dose rate은 100-300MU/min으로 2-10MU을 주어 영상을 얻었다. port film은 Kodak diagnostic film을 사용하였고 film을 넣는 cassette는 납을 전후에 부착한 것을 이용하였다. source to detector(film) distance는 140cm으로 하였다. 영상의 판독은 4명의 치료방사선과 의사에 의해서 시행되었으며 pelvic brim, sacrum, acetabulum, iliopectineal line, symphysis, ischium, obturator foramen, sacroiliac joint를 각각 very clear(1), clear(2), visible(3), not clear(4), not visible(5) 다섯 단계로 나누어 점수를 주었다. 결과 : video camera based EPID를 이용하여 얻은 영상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 film을 이용한 port film과 enhancement를 시행하지 않은 portal image는 각 해부학적 구조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portal image를 window level로 영상의 변화를 주었을 때는 sacrum과 obturator는 영상의 판독에 도움이 되었다. 또한 portal image를 CLAHE로 enhance를 하였을 때는 모든 해부학적 구조물의 판독이 film보다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matrix ion chamber type의 EPID를 이용하여 얻은 영상에서도 역시 port film과 영상의 변화를 주지 않은 portal image간에는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ortal image를 window level로 변화를 주었을 경우는 portal film에 비하여 영상의 질이 더욱 좋아지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 중에서 골반강의 영상에서는 EPID의 영상의 질은 기존의 port film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으며, window level로 영상에 변화를 주거나 enhance를 하였을 경우는 port film보다 더 나은 영상을 얻을 수 있어 기존의 port film을 대체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관절강 내에서 모든 수술 과정을 시행하는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All-Inside Technique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Central Quadriceps Tendon and Patella Bone Block)

  • 정화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6-71
    • /
    • 1997
  • The all insid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technique places an anterior ligament substitutes within two bony sockets rather than hone tunnel. This approach is accomplished through arthroscopic three portal which avoids the surgical exposure and morbidity associated with creating traditional bone tunnel. This technique has several distinct advantages when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ACL reconstruction through the bone tunnels. It offers the surgeon a less morbid method for ACL reconstruction that positions an ACL substitute at the anatomic attachment sites of the original ACL with two bone sockets, obviating the need for traditional bone tunnels. Graft fixation at or near the anatomic attachment points of the original ACL minimizes creep with early range of motion and reduces the abrasive 'wind-shield wipe' motion of the graft which occur with bone plugs positioned inside bone tunnels. The sagittal posterior angle to the tibial socket increases fixation strength to pullout with anterior translation force for the tibia on the femur. This technique is not graft specific and can accomodate any graft in which graft length can be customized to the intraarticular native ACL length.

  • PDF

수근관증후군의 수술방법에 따른 성적 - 내시경수술과 개방절개술 - (The Surgical Results of Carpal Tunnel Syndrome - Open Versus Endoscopic Method -)

  • 이한영;김일만;이장철;이창영;손은익;김동원;임만빈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11호
    • /
    • pp.1451-1455
    • /
    • 2000
  • Objective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esent whether endoscopic release(ER) is superior to open release(OR) for the treatment of carpal tunnel syndrome(CTS). Method and Material : Fifty-nine wrists in 43 patients who had clnical signs and symptoms consistent with CTS, not responded to non-operative management, were entered into the study. Authors retrospectively compared 27 wrists treated with ER(February 1999-June 1999) with 32 wrists treated with OR(October 1997-March 1999). We performed conventional open surgery in 25 patients(mean age ; 46 years) and Brown's two-portal technique in 18 patients(mean age ; 53 years) under intravenous regional block or general anesthesia. Results : Sixteen patients had CTS on both hands and left hands were affected more frequently than right hand, 34 and 25 respectively. Successful and poor results of ER were similar to those of OR. For patients in OR group, mean duration of symptoms was 5 years(range 1 month-30 years), and postoperative outcome was good in 27(84.4%) of wrists and poor in 5(15.6%). For patients in ER group, mean duration of symptoms was 7 months (range 2 months-25 years), outcome was good in 23(85.2%) of wrists and poor in 4(14.8%). The average time for complete relief of pain was 1.3 weeks and 7.6 weeks, respectively for OR and ER groups. No complication was noted in either group. Conclusion : This preliminary analysis suggests that faster relief of pain was achieved when the endoscopic method was used,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efficacies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symptoms.

  • PDF

전방십자인대 단일 다발 재건술에서 경경골 술기 및 전내측 삽입구를 이용한 대퇴골 터널의 기울기 (Femoral Tunnel Obliquity between the Transtibial and Anteromedial Portal Technique in Single 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이주홍;박종혁;배현경;김종길;왕성일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1-47
    • /
    • 2010
  • 목적: 전방십자인대 단일 다발 재건술에서 경경골 터널과 전내측 삽입구를 이용한 대퇴골 터널의 기울기를 방사선학적으로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시행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132예 중 단일 다발 재건술의 대퇴골 터널 형성에 경경골 술기를 이용한 30예와 전내측 삽입구를 이용한 재건술 20예를 전후방, 과간 절흔상 및 측면 방사선 사진을 통해 관상면 및 시상면에서의 골 터널 기울기를 측정하였다. 결과: 관상면에서 대퇴 터널이 대퇴과간 관절면의 연결선과 이루는 각도는 경경골 술기의 경우 평균 $71^{\circ}$ (범위: $65^{\circ}{\sim}77^{\circ}$), 전내측 접근법은 평균 $51^{\circ}$ (범위: $39^{\circ}{\sim}60^{\circ}$)였으며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관상면에서 경골 터널이 관절면과 이루는 각은 경경골 술기에서 평균 $55.7^{\circ}$ (범위: $49^{\circ}{\sim}68^{\circ}$), 전내측 접근법은 평균 $52.1^{\circ}$ (범위: $37^{\circ}{\sim}58^{\circ}$)를 보였다. 시상면상경골 터널이 관절면과 이루는 각은 경경골 술기에서 $62.6^{\circ}{\pm}5.4$, 전내측 접근법은 $60.1^{\circ}{\pm}2.7$로 유사한 값을 보였고, 대퇴 터널이 대퇴 후방 피질골의 연장선과 이루는 각은 경경골 술기에서 $22.7^{\circ}{\pm}7.8$, 전내측 접근법은 $30.2^{\circ}{\pm}6.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론: 전방십자인대 단일 다발 재건술에서 전내측 삽입구를 이용한 대퇴터널 형성은 경경골 술기에 비해 관상면에서 보다 수평적이었고 후방 피질골로 부터의 기울기 증가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