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pe II SLAP lesion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4초

Arthroscopic Treatment of a Type II Superior Labrum Anterior to Posterior (SLAP) Lesion Combined with a Bankart Lesion: Comparative Study between Debridement and Repair of Type II SLAP Lesion by the Status of Lesion

  • Lee, Sung Hyun;Joo, Min Su;Lim, Kyeong Hoon;Kim, Jeong Woo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1권1호
    • /
    • pp.37-41
    • /
    • 2018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results of superior labrum anterior to posterior (SLAP) repairs and debridement of type II SLAP lesions combined with Bankart lesions. Methods: Between 2010 and 2014, total 58 patients with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due to a Bankart lesion combined with a type II SLAP lesion were enroll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C consisted of 30 patients, each with a communicated Bankart and type II SLAP lesion and group NC consisted of 28 patients, each with a non-communicated Bankart and type II SLAP lesion. Bankart repairs were performed for all patients. SLAP lesions were repaired in group C and debrided in group NC. Clinical results were analysed to compare groups C and NC by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pain scor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score, Constant scores, Rowe score for instability and range of motion assessments. Results: The clinical scores were improved in both groups at final follow-up. Also,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erms of the range of motion measured at the last follow-up. The number of suture anchors use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C than in group NC (5.6 vs. 3.8; p=0.021). Conclusions: In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Bankart repair and SLAP debridement could be a treatment option in patients with a non-communicated type II SLAP lesion combined with a Bankart lesion (study design: IV, therapeutic study, case series).

후방 Bankart 병변을 동반한 후방 II형 SLAP 병변 - 증례보고 - (Posterior type II SLAP Lesion Combined with Posterior Bankart Lesion - A Case Report -)

  • 천상진;윤명수;김휘택;서정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4-138
    • /
    • 2008
  • 견관절 상완순 전후방(SLAP: Superior labrum anterior to posterior) 병변은 상부 관절와순 단독 손상으로 발견되기도 하고, 견관절 재발성 탈구 환자에서 전하방 관절와순의 파열, 즉 Bankart 병변의 연장으로 상부 관절와순까지 파열이 진행된 동반 손상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드물게 후방 Bankart 병변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여러 가지 병변과 동반된 SLAP 병변이 보고되어 왔으나 그 중 후방 Bankart 병변과 동반하여 발생한 후방 II형 SLAP 병변에 대한 보고는 미미하고 그 병변에 대한 관절경적 복원술 시 봉합 나사(suture anchor)의 삽입과 봉합에 주의할 점이 있다. 저자들은 투구 동작과 같은 흔한 손상 기전이 아닌 팔을 뻗친 상태에서 넘어지면서 발생한 외상으로 야기된 본 증례에 대해 관절경적 복원술을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회전근개 파열과 동반한 TypeⅡ SLAP 병변 (Type Ⅱ SLAP Lesion with the Rotator Cuff Tear)

  • 김진섭;황필성;유정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권2호
    • /
    • pp.115-119
    • /
    • 1999
  • Purpose: We reviewed the SLAP lesions and associated injuries, also evaluated a hypothesis that the type II posterior SLAP lesion is related with posterior rotator cuff tear and gives rise to the postero-superior inst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The patient recording papers, MRI, video and operation sheets were reviewed with the 28 SLAP lesions confirmed by the arthroscopy among 242 cases. Among these SLAP lesions, type II was 22 cases and classified to the anterior, posterior(16 cases), combined subtype(6 cases) based on the main anatomic location. There were 14 cases of the type II accompanying rotator cuff tear. The average follow-up(13 months) results were evaluated with the ASES and Rowe rating score after repair or debridement of the SLAP lesions. Results: In the type II lesions accompanying the rotator cuff tears(14 cases), the posterior(l0 cases) and combined type(4 cases), cuff lesions were all existed posteriorly. Also We could confirm the drive-through sign in the eleven cases, though did not check the disappearance of this sign after repair because of retrospective study. We could followed up the 22 cases, 18 cases(77%) were excellent or good, fair 3 cases(14%) and poor 1 case(4%). Also, type II lesions with the rotator cuff tear(14 cases) were showed better results in the repair(8 cases) than the debridement(6 cases) of the unstable type II with the cuff repair. Conclusion: The type II lesions we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the cuff tear in the specific location. We could presume the possibility of postero-superior instability in the SLAP lesion with the cuff injuries. Also, satisfactory results could be experienced when the unstable SLAP lesions with the cuff tear were repaired at the same time.

  • PDF

제 2형 SLAP 병변에 대하여 흡수성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관절경적 봉합 수술의 임상적 결과 (Arthroscopic Repair of Type II SLAP lesion with Bio-knotless Anchor)

  • 염재광;정형진;라호종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73-77
    • /
    • 2007
  • 목적: 견관절의 제 2형 SLAP 병변에 대하여 흡수성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봉합을 시행한 후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이 연구에는 25명에 대한 25례(남자가 20명, 여자가 5명)가 포함되었다. 평균 연령은 44.5세였다. 수술 전 ASES 점수는 평균 44점이었다. 모든 예에서 SLAP 병변을 관절경적으로 1개 또는 2개의 흡수성 봉합 나사못을 사용하여 수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5개월이었다. 결과: 최종 추시시 ASES 점수는 평균 92.7점으로 향상되었으며 견관절의 운동 범위는 23례에서 완전한 회복을 보였으나 2례에서 경미한 운동범위 제한이 있었으나 일상 생활에는 문제가 없었다. 결론: 제 2형 SLAP 병변에 대하여 흡수성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관절경적 봉합 수술이 만족할 만한 임상적 결과의 소견을 보여 매우 좋은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비 운동선수에 있어 단독 제 2형 SLAP 병변의 관절경적 봉합수술의 임상적 결과 (The Clinical Outcomes of Arthroscopic Repair of Isolated type II SLAP Lesion in Non-athletes)

  • 유재철;안진환;고경환;김승연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5-190
    • /
    • 2008
  • 목적: 비 운동선수에 있어 제 2형 SLAP 병변의 관절경적 봉합수술의 결과를 알아보고 단독 제2형SLAP 병변이 있는 군과 봉합이 필요치 않은 극상건의 부분층 파열을 동반한 군간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7월부터 2007년 1월까지 제 2형 SLAP 병변에 대해 관절경적 봉합수술을 시행 받은 총 142예의 환자 중 50세 미만 비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같은 부위에 수술, 골절, 반복적인 탈구의 병력이 있거나, 봉합을 요하는 회전근개 전층 또는 50% 이상의 부분층 파열을 동반한 경우, 감염, 관절염, 염증성 질환을 동반한 경우는 제외하여 총 19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13예는 봉합이 필요치 않은 극상건의 부분층 파열을 동반하고 있었고(그룹 I), 6예는 단독 제 2형 SLAP 병변을 가지고 있었다(그룹 II). 평균 연령은 36.7세(29-49세)였으며 평균 증상 기간은 39.1개월(3-216개월)이었고 평균 추시 기간은 19.0개월(12-27개월)이었다. 외상의 병력은 그룹 I에서 9명, 그룹 II에서 5명 있었다. 모든 환자에서 술 전후로 관절운동범위, 통증 및 기능 VAS, Constant 점수 및 UCLA 점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그룹 I에서 견관절의 외회전은 최종 추시시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며(p=0.003) 그 밖의 관절운동 범위는 그룹에 관계없이 모두 술전 상태로 회복되었고(p>0.05), 그룹간에도 차이가 없었다(p>0.05). 최종 추시에서 모든 평가 점수(Constant 점수, UCLA 점수, 통증 VAS, 기능 VAS)는 술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 UCLA 점수는 $22.8{\pm}5.2$에서 $32.8{\pm}2.1$; Constant 점수는 $79.4{\pm}8.6$에서 $94.9{\pm}4.3$; 통증 VAS는 $5.4{\pm}2.7$에서 $1.1{\pm}1.4$; 기능 VAS는 $63.2{\pm}15.3$에서 $93.4{\pm}7.3$으로 향상되었다. 하지만 평균 UCLA 점수 및 Constant 점수의 그룹간 비교에서 두 그룹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비 운동선수에 있어 제 2형 SLAP 병변의 관절경적 봉합술은 임상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동반된 극상건의 부분층 파열은 1년 추시에선 최종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강직을 동반한 제 2형 SLAP 병변의 관절경적 관절막 유리술과 봉합술의 임상적 결과 (Clinical Result of Arthroscopic Capsular Release and Repair for SLAP II Lesion with Stiffness)

  • 안길영;남일현;이영현;이정익;문기혁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2호
    • /
    • pp.118-122
    • /
    • 2008
  • 목적: 강직을 동반한 제 2형 SLAP 병변에 대하여 수술적 가료를 시행한 후에 임상적 결과를 알아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강직을 동반한 제 2형 SLAP 병변 13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술은 관절경적 관절막 유리술과 봉합술 및 동반 병변에 대한 치료을 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12개월 이상(평균 14.9개월) 이었다. 결과: 술 후 평균 VAS 점수는 1.5, ROWE의 점수는 92.3점으로 술 전에 비해서 의미 있는 호전을 보였다(P<0.001). 술 후 평균 관절 운동 범위도 술 전에 비해서 의미 있는 호전을 보였으며(p<0.001) ROWE의 점수는 13예 모두에서 우수의 결과를 얻었다. 결론: 강직을 동반한 제 2형 SLAP 병변에서 관절경적 관절막 유리술과 봉합술 및 동반 병변에 대한 치료는 통증 감소 및 관절 운동 범위 증가에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제 2형 SLAP병변에서 생체흡수성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관절경 봉함; 수술 술기와 임상 결과 (Arthroscopic Repair of Type II SLAP Lesion with Bioabsorbable Knotless Suture Anchor: Surgical Technique and Clinical Results)

  • 이재칠;김성재;황창호;서동교;고상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59-64
    • /
    • 2007
  • 목적: 이 연구는 제 2형 SLAP 병변에 대한 생체흡수성 knotless suture anchor의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단독으로 발생한 제2형 SLAP 병변을 가진 14예의 환자가 관절경 하 생체흡수성 knotless anchor를 이용하여 수술적 봉합을 시행받았다. UCLA 및 통증에 대한 VAS, ASD가 평가에 이용되었으며, 술 후 추시 최소 2년째 견관절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평균 27.1 개월의 추시기간 동안 평균 UCLA 점수는 술 전 14.4에서 최종 추시에는 31.2로 향상되었다. 통증에 대한 평균 VAS 점수는 4.9에서 최종 추시에는 1.0이었다. 불안정성에 대한 평균 VAS 점수는 2.6에서 최종 추시에서는 0.5였다. 평균 ADL은 10.4에서 최종 추시에 25.0이었다. 12예의 환자가 우수, 우량의 만족도를 보였으나 14예 중 단 10예만이 수상 전 운동 범위로 돌아갔다(P<0.05). 결론: 생체흡수성 knotless suture anchor를 사용하는 관절경적 봉합술은 단독 제2형 SLAP 병변의 치료에 대해 효과적인 수술 술기이다. 전체 만족도는 단지 85.7%였으며, 게다가 1예에서는 심한 강직을, 1예에서는 활액막염으로 인한 장기간의 견관절 통증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