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GR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8초

선박용 실내조명기구의 배광에 따른 불쾌글레어 분석 (Analysis of Discomfort Glare by luminous intensity distribution of Marine Indoor Luminaires)

  • 조상희;김근율;유영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18-25
    • /
    • 2014
  • In this paper, tried to find out the proper luminous intensity distribution for the cabin with low-level height by analyzing the changing tendency of discomfort glare according to luminous intensity distribution of marine indoor luminaires using Unified Glare Rating(UGR). First, we analyzed UGR of the indoor luminaires in the existing cabin, and then evaluated influence on luminous intensity distributions of marine indoor luminaire. The results showed that $cos^2{\Theta}$ distribution got almost low UGR results regardless of height and UGR 16.5 in cabin height of 2m. However, Gaussian distribution with the same beam angle showed that UGR results consistently increased by getting lower height and UGR 20.7 in the same height. In conclusion, the $cos^2{\Theta}$ distribution in consideration of luminous intensity on the direction of observer's eye was appropriate for general cabin indoor luminaires because it decreased UGR in the low-level height.

비행로봇의 항공 영상 온라인 학습을 통한 지상로봇 검출 및 추적 (UGR Detection and Tracking in Aerial Images from UFR for Remote Control)

  • 김승훈;정일균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04-111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d visual information to provide a highly maneuverable system for a tele-operator. The visual information image is bird's eye view from UFR(Unmanned Flying Robot) shows around UGR(Unmanned Ground Robot). We need UGV detection and tracking method for UFR following UGR always. The proposed system uses TLD(Tracking Learning Detection) method to rapidly and robustly estimate the motion of the new detected UGR between consecutive frames. The TLD system trains an on-line UGR detector for the tracked UGR. The proposed system uses the extended Kalman filter in order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tracker. As a result, we provided the tele-operator with the visual information for convenient control.

불균일 휘도 장원의 UGR 보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a revision UGR for non-uniform luminance source)

  • 정승균;조용익;오석식;김훈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7-140
    • /
    • 2008
  • 실내조명으로서의 LED는 휘도의 분포특성이 기존의 조명기구와는 판이하게 다르며, 이에 따라 불쾌감을 느끼는 정도에서도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글레어 평가지수인 UGR을 간단히 보정하여 LED 조명기구에 대한 값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주관평가 실험을 통해 보정식을 산출해내고 LED 조명기구별 증가계수 k를 구하였다.

  • PDF

불균일 휘도 광원의 UGR 보정을 위한 실험실 구성 (Production of the laboratory that is respected a revision UGR for non-uniform luminance source)

  • 정승균;조용익;오석식;김훈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2-174
    • /
    • 2008
  • 대표적인 신광으로 일컬어지는 LED는 기존 광원과는 달리 다수의 LED 소자가 모여 하나의 광원을 구성하여 조명기구를 이루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높은 휘도와 낮은 휘도가 반복되는 발광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불균일한 휘도를 가지는 광원의 경우 일반적인 균일 휘도 광원에 사용되던 UGR의 평가치가 그대로 적용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한 글레어의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정이 실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불균일한 휘도를 가지는 광원에 대해 UGR 글레어 평가식을 보정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실험실을 구성하고 이에 대한 과정을 서술하였다.

  • PDF

초음파를 이용한 무증자 분쇄 백미의 알코올 발효 (Alcohol Fermentation of Uncooked Ground Rice with Ultrasonication Process)

  • 이유진;강성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06-311
    • /
    • 2012
  • 무증자 백미를 이용한 당화 및 알코올 발효를 최적화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12, 20, 35 mesh)로 분쇄된 백미를 초음파 처리시간(15, 30, 60, 120분)을 달리하여 시료들을 제조하고 당화와 알코올 발효를 수행하였다. 각 크기별로 분쇄된 백미시료를 $60^{\circ}C$에서 3시간 당화시킨 결과 모든 시료에서 가압증자 시료(CGR) > 초음파처리 시료(UGR) > 무증자 분쇄미(GR)의 순으로 높은 당도를 보여주였다. 분쇄백미의 크기에 무관하게 가압증자 시료(CGR)가 가장 높은 당도를 보여주었으며 무증자 분쇄미(GR)는 가장 낮은 당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무증자 분쇄미(GR)에 비하여 초음파처리 시료(UGR)가 높은 당도를 나타내었고 초음파 처리시간이 길수록 당도가 증가하였다. 35 mesh의 분쇄미를 12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함으로써 가압증자 시료(CGR, $11.5^{\circ}Bx$)의 약 90%에 해당하는 $10.2^{\circ}Bx$로 당화가 가능하였다. 또한 당화된 35 mesh의 초음파처리 시료(UGR)를 사용하여 $25^{\circ}C$에서 4일 동안 알코올 발효를 수행함으로써 가압증자 시료(CGR)의 알코올 함량 17.2%에 근접한 16.7%의 알코올 생산이 가능하였다. 알코올 발효 4일후의 무증자 초음파처리 시료군(UGR)의 pH는 가압증자 시료(CGR)와 비교하여 낮은 pH를 나타내었다. 또한 초음파처리 시료의 산도는 0.99-1.1%로서 가압증자 시료(CGR)의 산도 0.75%에 비하여 높은 산도를 보여주었다.

Influence of the shape of head anchors on the durability of reinforced concrete elements

  • Martinez-Echeverria, M. Jose;Gil-Martin, Luisa Maria;Montero, Jose Rodriguez;Hernandez-Montes, Enrique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10권1호
    • /
    • pp.61-69
    • /
    • 2020
  • This paper looks into how the shape of headed bars may influence the durability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Nowadays the only heads used in site works are cylindrical in shape. An alternative shape of head is studied in this piece of work. The new head reduces the concentration of stresses and so the appearance of cracks. In this work durability is studied based on both, first cracking and failure mode. An experimental campaign of 12 specimens and finite element modelling are described. The specimens were subjected to an accelerated corrosion process using an electrical current supply. Direct current was impressed on the specimens until breaking. Test results and the results obtained from numerical models are presented. Results are presented in term of comparison between the two shapes of heads studied. It was shown that the shape of the head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durability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with headed reinforcing bars.

불균일한 휘도를 갖는 조명기구에 대한 불쾌글레어 주관평가 실험 -백색 LED 광원을 이용환 조명기구의 영향 (Subjective Appraisals of Discomfort Glare for Luminaire with non-uniform luminance -Effect of luminaire used White LED Light source)

  • 이창모;정승균;석대일;조용익;김훈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14
    • /
    • 2007
  • 현재, 새로운 조명광원으로서 백색 LED가 기대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는 조명이 확대되어 실용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LED 광원을 이용하여 조명기구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내조명으로 사용할 때 조명기구에 의한 글레어가 편안함을 주는지 불편함을 주는지에 대한 평가가 요구된다. 실내 조명환경에 대한 불쾌글레어를 평가하기 위해 UGR(Unified Glare Rating)을 추천하고 있다. 그러나 균일한 글레어 광원의 평균휘도를 이용하여 계산된 종래의 불쾌글레어 평가법들은 불균일한 휘도를 갖는 LED 조명기구에 대해서는 적용하기 어렵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래서 UGR를 이용하였을 경우, 균일한 휘도를 갖는 조명기구와 불균일한 휘도를 갖는 조명기구에 대해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다음의 불쾌글레어의 주관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평균휘도가 같고 최대 휘도와 최소 휘도가 다른 조명기구(균일한 휘도를 갖는 조명기구 1종과 불균일한 휘도를 갖는 조명기구 2종)를 글레어 광원으로 사용하였다. 입체각(${\omega}$)과 위치지수(Position Index)를 고정시키고 배경휘도($L_b$)와 광원휘도($L_s$)를 임의로 변화시켰다. 주어진 환경에서 피험자로 하여금 얼마나 편안하진 또는 불편한지에 대한 느낌을 값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우선, UGR과 주관평가 사이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동 서양에 따른 문화적 및 생리적 차이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다음으로 균일한 휘도를 갖는 조명기구보다 불균일한 휘도를 갖는 LED 조명기구가 더 높은 값을 할당 받아 LED 조명기구가 불쾌감을 더 유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ED 소자 간격에 따른 영향은 글레어 광원의 휘도가 높아질수록 크게 나타났으며, 배경휘도에 대해서도 광원의 휘도가 높아질수록 LED 소자 간격의 차이에 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UGR식은 균일한 휘도를 갖는 조명기구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만, 불균일한 휘도를 갖는 조명기구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고 판단된다.

  • PDF

건축실내 인공조명의 불쾌글레어 평가를 위한 기초적 연구 (The Fundamental Research for Discomfort Glare Evaluation of Building Interior Artificial Illumination)

  • 이진숙;김원도;김병수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7-33
    • /
    • 2006
  • 건축 실내의 조명환경의 쾌적성을 평가하는 것은 주로 불쾌감을 유발하는 글레어의 정도를 인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현재 국외에서 연구된 불쾌글레어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식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글레어의 감각을 느끼는 정도가 인종에 따라 크게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시각적인 특성에 맞는 합리적인 불쾌글레어 평가를 위한 예측식을 작성하는 것을 최종목표로 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4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기존의 불쾌글레어 평가식에 대한 검토를 통해 실험변인들을 선정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실험변인과 조건을 제어할 수 있는 실물대모형을 제작하였다. 셋째, 불쾌글레어 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선행연구에서 서양인을 대상으로 제안된 UGR평가법과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1)불쾌글레어는 광원휘도, 배경휘도, 피험자와 시선의 위치 등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실내 불쾌글레어 평가에서 광원과 피험자간의 거리보다 시야내에 글레어 광원이 위치하는 지의 여부가 더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3)대표적인 불쾌글레어 평가시스템인 UGR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한국인의 불쾌글레어감이 서양인과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내부순환반응기의 Scale-up에 따른 동력학적 특성의 변화 (Dynamic Behavior of an Internal Loop Reactor during Scale-up)

  • 최윤찬;박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5-31
    • /
    • 1997
  • The variations of gas hold-up, overall volumetric oxygen mass transfer coefficients and liquid circulation velocity in an internal loop reactor were investigated to manifest scale-up e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ficial gas velocity and gas hold-up were found as Ugr = 0.045 $\varepsilon$r in the pilot-scale and Ugr = 0.056 $\varepsilon$r in the bench-scale reactor. The overall volumetric oxygen mass tractsfer coefficient, KLa was slightly increased in the pilot-scale than in the bench-scale reactor. Flow regime was changed from the bubble flow to the churn-turbulent flow when the superficial gas velocity reached to 3.5 - 4 cm/sec in the pilot-scale.

  • PDF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 데이타 그룰 정보를 이용한 동시성 제어 방법 (A Concurrency Control Method using Data Group Information in Mobile Computing Environments)

  • 김대인;황부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2권3호
    • /
    • pp.315-325
    • /
    • 2005
  •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 이동 호스트는 제한된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이동 트랜잭션의 응답 시간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캐쉬를 사용한다. 그리고 이동 호스트에 캐슁된 데이타가 서버에서 갱신되는 경우 서버는 이동 호스트의 캐쉬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무효화 메시지를 방송한다. 그러나 주기적인 무효화 메시지 방송을 사용한 이동 호스트의 캐쉬 일관성 유지 방법은 이동 트랜잭션의 완료 결정을 무효화 메시지 수신 시점으로 지연함으로써 이동 트랜잭션의 응답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캐슁된 데이타를 사용하여 이동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경우에 이동 트랜잭션의 응답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UGR-MT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UGR-MT 방법은 데이타 그룹 정보를 사용하여 무효화 메시지 수신 이전에 이동 트랜잭션의 완료 결정을 내림으로써 이동 트랜잭션의 응답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안하는 방법은 이동 호스트의 단절 시간이 무효화 메시지 방송 구간보다 긴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이동 호스트의 전체 캐쉬 내용의 버림을 방지함으로써 캐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