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spectrophotometer

검색결과 544건 처리시간 0.027초

UV-VIS 분광기기의 성능검증을 위한 밸리데이션 가이드라인의 제정 및 응용 (The Proposed Validation Guidelines and Their Application for Performance Verification of UV-VIS Spectrophotometer)

  • 김경옥;강영구;이원재
    • 약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54-159
    • /
    • 2006
  • For the increasing demand for the validation of analytical results, one of the important concerns of the analyst is to be assured that the instrumentation is working to qualified conditions.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and compared several validation guidelines of the performance verification of UV-VIS spectrophotometer used in pharmacopoeias of major countries and UV-VIS instrument analytical companies, and we proposed the practically useful validation guidelines of UV-VIS spectrophotometer. Based on our proposed validation guidelines of UV-VIS spectrophotometer, several UV-VIS spectrophotometers used in drug manufacturing laboratories were validated for their performances.

착색렌즈의 UV 차단효과와 UV TESTER 평가 분석 (The Analysis of the UV cut-off effect of tinted lens and the Characteristic of UV tester)

  • 박문찬;정부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9-134
    • /
    • 2002
  • 무코팅 CR-39 안경렌즈를 brown, green, blue 계열의 색으로 시간별로 착색하여 착색농도에 따른 UV차단효과를 관찰하였다. CR-39 안경렌즈의 착색농도에 따른 UV 스펙트럼은 먼저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로 분석하였고, 그 후 시중에서 많이 사용하는 400nm UV 차단 측정기의 투과수치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착색 농도가 짙어짐에 따라 UV 차단 효과가 점점 증가하였고, 분광광도계의 UV 스펙트럼에서 400nm 기준 UV 투과률이 약 5% 미만의 경우에는 시중에서 많이 사용하는 400nm UV 차단 측정기의 투과수치에서는 0%로 됨을 확인했다.

  • PDF

UV-Spectrophotometer 를 이용한 수중 경유 분석법 (Study of Analytical Method for Diesel Fuel Using UV-Spectrophotometer in Water Samples)

  • 이종식;정광용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3-85
    • /
    • 1999
  • 관개수중에 함유된 경유정량을 위한 간이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한 본 시험의 결과, n-Pentane를 이용하여 경유를 정량하기 위한 최적 파장은 257nm, 정량범위는 $100{\sim}800mg/l$이었으며, 시료에 함유된 경유의 회수율은 $102{\sim}121%$이었다. 실험 온도를 $20^{\circ}C$ 전후로 유지시킬 경우, 침출후 1시간까지 농도변화가 5% 이내로 휘발에 의한 실험 오차가 적었다.

  • PDF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한 ORMOSIL의 투광특성 (A Study on the Charateristics of ORMOSIL as a Dye Host by Measurement of UV/VIS Spectrophotometer)

  • 김구대;이동아;강현규;문지웅
    • 분석과학
    • /
    • 제7권1호
    • /
    • pp.17-23
    • /
    • 1994
  • 졸-겔법에 의해 dye host로 사용될 수 있는 무기/유기 복합체(ORMOSIL)를 제조하였으며, 이 복합체가 dye host로 적합한 조건을 갖췄음을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90% 정도의 투광성을 얻음으로써 알 수 있었다. 이 투광성은 졸-겔 공정 중 촉매로 쓰이는 염산의 양이 적고 묵힘시간이 짧을수록 커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렇게 제조된 Host에 Rhodamine 6G Perchlorate를 도핑하여 유기염료의 형광 및 투광성을 측정한 결과 겔화온도가 증가될수록 형광 강도가 증가하며 투광성은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5,15-Bis(mesityl)-10,20-bis(4-amino)porphyrin을 포함하는 Copolyimide의 합성 (Synthesis of Copolyimide Containing 5,15-Bis(mesityl)-10,20-bis(4-amino)porphyrin)

  • 김휘성;이민호;김춘호;김미라;이진국
    • 공업화학
    • /
    • 제10권6호
    • /
    • pp.828-831
    • /
    • 1999
  • Meso-(mesityl)dipyrromethane(MS-DPM)과 4-nitrobenaldehyde로부터 5,15-bis(mesityl)-10,20-bis(4-amino)porphyrin[mesityl-$TPP(NH_2)$]을 합성하였다. Mesityl-$TPP(NH_2)$는 UV spectrophotometer[Soret-band(438 nm), Q-band(526, 572, 611 nm)]와 $^1H$-NMR spectroscopy에 의해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3,3',4,4'-Benzophenone tetracarboxylic dianhydride(BTDA)와 2,2-bis(4-(4-aminophenoxy)-phenyl)hexafluoropropane(BAPHF)를 mesityl-$TPP(NH_2)$와 축합시켜 porphyrin 구조를 포함하는 copolyimide를 합성하였다. 제조된 copolyimide 역시 UV spectrophotometer [Soret-band (428 nm), Q-band (558 nm, 599 nm)]와 FT-IR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그 구조를 확인하였고, 열분석 결과 $T_g$$T_m$은 각각 220.7와 $369.2^{\circ}C$였다.

  • PDF

Synthesis of CdSe-TiO2 Photocatalyst and Their Enhanced Photocatalytic Activities under UV and Visible Light

  • Lim, Chang-Sung;Chen, Ming-Liang;Oh, Won-Ch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5호
    • /
    • pp.1657-1661
    • /
    • 2011
  • In this study, CdSe-$TiO_2$ photocatalyst were synthesized by a facile solvothermal method and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with energy dispersive X-ray (EDX) analysis and UV-vis diffuse reflectance spectrophotometer. The photocatalytic activity was investigated by degrading methylene blue (MB) in aqueous solution under irradiation of UV light as well as visible light. The absorbance of degraded MB solution was determined by UV-vis spectrophotometer.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dSe-$TiO_2$ photocatalyst exhibited much higher photocatalytic activity than $TiO_2$ both under irradiation of UV light as well as visible light.

Ink Binder용 UV 경화형 조성물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UV Curable Urethane Acrylates for Ink Binder)

  • 박현주;한창덕;오상택
    • 접착 및 계면
    • /
    • 제14권4호
    • /
    • pp.167-17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ink binder용으로 isophorone diisocyanate (IPDI)/polyether polyol/2-hydroxyethyl acrylate (HEA)계 UV 경화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중합하였다. HEA/PETA 혼합 비율을 달리한 조성물의 UV 조사 시간에 따른 광경화거동을 FT-IR spectrophotometer, probe tack tester 및 Photo-DSC로 확인하였다. UV 조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전환률 및 gel content는 증가하였으며 probe tack은 감소하였다. 반응성 희석제로 사용한 PET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저장탄성률, 인장강도 및 초기분해 온도가 증가하였다. HEA/PETA 비율이 30/70인 경우 UV 경화 후 PMMA sheet에 대한 부착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가감자운액(加減紫雲液) 도포가 자외선으로 유발된 피부 홍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gam-Jawoonaek about Erythema by UV Exposure)

  • 김태연;김용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4-101
    • /
    • 2014
  • We studied to investigate the erythema reduction effects generated by Gagam-Jawoonaek(GJ) application(appl.) after UV exposure. Twenty women in their twenties to fifties with no skin diseases were recruited. We exposed UV as a 6 subsites on the left upper arm of subjects using multi-port solar simulator. After setting Gagam-Jawoonaek(GJ) application(appl.) subsites and non-appl. subsites, we measured erythema degrees($a^*$ values) of the subsites using spectrophotometer. We measured $a^*$ values four times(before UV exposure, before application of GJ, twenty-four and forty-eight hours after first application of GJ). We analyzed data using student's t-test. After UV exposure, $a^*$ values on the left upper arm increased. Twenty-four hours after first GJ treat., the changes of $a^*$ value on GJ treat. subsites($1.22{\pm}0.13AU$) were bigger than GJ non-treat. subsites($1.04{\pm}0.12AU$),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Forty-eight hours after first GJ treat., the changes of $a^*$ value on GJ treat. subsites($1.95{\pm}0.11AU$) were bigger than GJ non-treat. subsites($1.58{\pm}0.13AU$), a statistically significance. Gagam-Jawoonaek could decrease erythema by UV exposure.

대기 중 암모니아 성분의 분석법 연구: UV/VIS 분광계를 이용한 간이비색계의 상대 성능평가 (Some considerations for the analytical approaches to measure atmospheric ammonia: tests on a relative performance of a portable colorimeter against UV/VIS spectrophotometer)

  • 김기현;박신영;김선태
    • 분석과학
    • /
    • 제18권5호
    • /
    • pp.425-43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대기 중 암모니아 성분의 농도 계측에 활용하는 간이비색계의 성능을 UV/VIS 분광계에 대비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상 두 가지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검출한계, 재현성, 직선성, 정확도 등의 기준항목을 다양하게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간이비색계의 성능은 대체로 UV/VIS 분광계와 양호한 일치도를 보일 정도로 좋은 결과를 보였다. 검출한계를 평가한 결과 두 가지 시스템 모두 $3{\mu}g$에 가깝게 나타났다. 그러나 간이비색계의 경우, 아주 낮은 농도와 고농도대에서 상대적으로 문제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암모니아의 절대량이 $10{\mu}g$ 이하일 때는 재현성에 대한 문제가 두드러졌고, $100{\mu}g$ 이상의 고농도대에서는 직선성이 제한되는 문제로 인해 분석이 어려웠다. 따라서 만약 대기시료를 30 리터 정도로 채취한다고 가정하면, (별다른 희석을 가하지 않고 분석한다면) 500 ppb에서 5 ppm의 농도대에서 간이비색계를 적용하는 것이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도대에 따른 간이비색계의 제한적인 특성을 충분히 감안하고 사용할 경우, 간이비색계를 활용한 분석은 상당히 양호한 결과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HPLC를 이용한 석유제품 내의 가시적 식별제 분석 (Determination of Visible Marker in Petroleum Using HPLC)

  • 임영관;김동길;임의순;신성철
    • 공업화학
    • /
    • 제21권3호
    • /
    • pp.306-310
    • /
    • 2010
  • 석유제품의 분별 및 유종의 불법혼입방지를 위해 현재 석유제품 내에 일정한 색을 띄는 가시적 식별제(착색제)를 혼입, 유통시키고 있다. 하지만 타유종이 미량 혼입되었을 경우, 육안으로 이를 판별하기 힘들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시적 식별제를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이들을 분석할 수 있는 두 파장(370 nm, 645 nm)을 찾아내었다. 이렇게 분석된 파장에서 HPLC를 이용해 국내 석유제품 내의 가시적 식별제를 분리, 분석하였다. 또한 정상 석유제품에 타유종을 혼합한 뒤, 가시적 식별제를 분석함으로 석유제품의 불법 혼합판별을 할 수 있는 분석방법을 찾아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