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biquitous Smart City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7초

A Study on Strategies of Smart Green City - The Priority Analysis and Application of Planning Technique -

  • Lee, Seo-Jeong;Oh, Deog-Seong
    • KIEAE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5-17
    • /
    • 2015
  • Purpose: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planning techniques of Smart Green City with Ubiquitous method and carbon-neutral city planning techniques and to induce the main planning techniques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ive importance and practical adaptation. Method: First of all, eighteen planning techniques were derived and categorized into three organization systems and six sector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GI analysis considering the applicability of Ubiquitous service for carbon-neutral city planning techniques. Secondly, based on expert surveys and AHP analysis, the importance of Smart Green City planning techniques was evaluated. Thirdly, using case study, six cases related to Smart Green City were analyzed for the current status of application of planning techniques. Lastl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planning techniques and practical aspects,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Green City and its implication were estimated. Result: Energy, Resource and Waste and Transportation sector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sectors for Smart Green City. In addition, 'Construction of Smart Grid', 'System for Utilization of New & Renewable Energy', 'Smart Resource Circulation Management System', 'Establish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basis', 'Construction of Pedestrian / Bicycle oriented Road Environment' are essential planning techniques to create Smart Green City.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시와 행정공간정보화 연구 - 부산 센텀시티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dministrative Spatial Informatization and Ubiquitous Smart City : Focus on Busan Centum City)

  • 이상윤;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51-364
    • /
    • 2016
  • 최근 들어 본격적으로 스마트 사회가 시작되고 유비쿼터스 시대로 진입하는 등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래는 지역의 도시행정공간정보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전환점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래예측방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시나리오 플래닝 방법론을 적용하여 부산지역의 선도적인 글로벌 스마트 도시를 꿈꾸고 있는 부산 센텀시티의 도시정보화에 대한 바람직한 미래상을 도출하였다. 곧 더욱 진화될 스마트 사회와 유비쿼터스 시대에 합당한 부산 센텀시티의 상대적 미래우위전략을 찾고자, 메터데이터로서 행정공간정보화된 정보의 활용 측면을 제안하였으며, 부산 센텀시티의 성공적인 지역정보화 전략을 도출하였다. 결국 2030년 무렵에도 여전히 부산 센텀시티가 선도적인 정보화 스마트도시로 남기위해서는 현재의 도시정책 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행정공간정보화된 정보를 메타데이터로서 도시정보시스템에 제공하여 대민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가스 시설 안전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인프라 및 지능형 서비스 구축 (Developing Network Infrastructure and Smart Service for Safety Management of City-gas Facilities)

  • 오정석;성종규;김영대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6-53
    • /
    • 2011
  • 최근에 정보기술 패러다임은 유비쿼터스 기술이 도입되면서 스마트 서비스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도로, 상하수도, 가스 등과 산업 시설물에 유비쿼터스 기술이 접목되어 비용 감소 및 사고 예방성 향상이 높아지면서 관련된 연구 및 기술이 가속화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공통환경 IT기술 위주로 개발되어 산업 도메인 특성이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유비쿼터스 기술이 생활환경 및 산업시설에 활발하게 도입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도시가스 주요시설에 유비쿼터스 기술을 도입하기 위하여 현장지향형 무선 데이터 전송 인프라를 구축하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기반 도시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을 목적으로 한다.

지자체 U-City 수준진단체계 평가지표 (Evaluation Index for U-city Status Diagnostic Assessment System based on Local Governments)

  • 이미영;신주호;이재용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0-28
    • /
    • 2016
  • 유비쿼터스 도시(ubiquitous city, U-City)는 도시건설에 정보통신기술(ICT)이 접목되어 시민 삶의 질을 제고하고 도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스마트한 도시의 개념을 내포한다. 유비쿼터스 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은 U-City의 구성요소로 도시통합운영센터, 지능화시설, U-City 기반시설 등을 제시하나 구체적 기준이 부재한 상태이다. 이로 인해 지자체들이 자의적 판단과 현실적 제약으로 U-City를 차별적으로 구축하고 있어 지자체 U-City의 질적 향상 및 품질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기이다. 지난 1-2차 연구단계에서는 U-City의 구성요소인 유비쿼터스 계획, 기술, 기반시설, 서비스 수준진단목표로서 안정성, 연결성, 목적부합성, 발전성을 기반으로 전반적 평가항목들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는 3차 단계로 지역현실에 맞게 지자체의 U-City 수준을 진단하기 위해 갱신 및 시범 적용이 가능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평가지표를 단계별로 소개한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U-City의 스마트화를 위한 지속적인 발전 및 고도화를 촉진하기 위해 자생적인 지역단위의 U-City로 정착할 수 있고 U-City의 재활성화 촉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비쿼터스도시종합계획과 유비쿼터스도시계획 비교 연구 -U-서비스 계획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between Ubiquitous City Comprehensive Plan and Ubiquitous City Plan - Focusing on U-Service Plan)

  • 유지송;정다운;이미숙;민경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83-93
    • /
    • 2015
  • 최근 U-City 계획을 수립한 지자체의 U-서비스는 시설 및 도시 관리 위주의 서비스로 구현되고 있으며, 시민 맞춤형 U-서비스는 계획에만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U-City 종합계획과 U-City 계획의 U-서비스 내용을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과 단어 빈도 분석을 통해 비교 검토하여 향후 시민 맞춤형 U-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제1, 2차 U-City 종합계획과 4개 지방자치단체의 U-City 계획 중 U-서비스 계획 내용을 추출하여 주요 단어들을 산출하였고, 도출된 단어를 통해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과 단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U-City 종합계획에서는 지자체의 특색에 따른 서비스 추가와 정책 재정 지원 및 시민의 필요사항을 반영하여 다양한 분야의 시민 맞춤형 U-서비스 개발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U-City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 또한 증가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A Research on the Proposal of U-Pavilion Adopted in Korean Residential Development

  • Yun, YongGib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5권1호
    • /
    • pp.1-8
    • /
    • 2013
  • Over the past two decades following the 1990s, South Korea's IT industry has developed rapidly. In keeping with this trend, the architectural and urban planning sectors have also converged with IT and achieved advancement in new directions. This evolution includes a variety of conceptual terminologies such as 'home automation', ''home network', 'smart home, and 'ubiquitous-city'. However, smart homes and U-cities simply represent a conceptual extension of home networks, and there is little real difference in the technologies involved. In particular, U-cities remain focused on infrastructure rather than on the development of specific content; consequently, they have failed to demonstrate distinctive features to clearly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conventional cities. In such a context, this research aims at the proposal of a 'ubiquitous pavilion' as a component of the efforts to develop a range of architectural contents that utilize ubiquitous technologies. By grafting the pavilion, one of the most basic forms in architecture, with cutting-edge ubiquitous technologies,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a multi-purpose architectural space readily and simply available not only in newly emerging U-cities, but to conventional cities as well.

고리원전과 지진재난방재 연구 -스마트 생태도시와 유비쿼터스 행정공간정보화 구축측면에서- (A Study on Preservation of Disaster from Earthquake for Kori Nuclear Power Plant -In terms of Ubiquitous Administrative Spatial Informatization System and Smart Ecological City-)

  • 이상윤;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43-254
    • /
    • 2017
  • 최근 들어 스마트생태환경보장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이는 200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스마트사회가 시작되고 유비쿼터스 시대로 진입하는 등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래에 따라 빅데이터를 활용한 유비쿼터스 행정공간정보화측면에서 요즘 들어 더욱 주목받고 있다. 또한 스마트사회에서의 유비쿼터스 스마트도시건설 측면에서 환경보전과 이에 따른 재난방재차원에서 한층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래예측방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시나리오 플래닝 방법론을 적용하여 지진발생과 같은 재난상황 시 고리원전 사고와 이에 따른 연속적인 재난방재차원의 유비쿼터스 행정공간정보화에 대한 바람직한 미래상을 도출하였다. 빅데이터와 빅데이터 시스템 활용이 더욱 심화될 2030년 무렵에 우리나라의 도시재난방재정보화 수준이 지금보다 수준 높은 위상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스마트생태도시를 구현하는 차원에서 선진적인 빅데이터 행정공간정보화 ICT 재난방재시스템 마련이 중요하다.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U-City와 Smart City의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Study on the Trends of U-City and Smart City Researches using Text Mining Technology)

  • 임시영;임용민;이재용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87-97
    • /
    • 2014
  • 현재 도시는 문제를 해결하고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ICT 기술을 접목시킨 지능형 도시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지능형 도시는 U-City, Smart City 등으로 정의되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 U-City와 Smart City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타 연구와의 차별성으로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논문 추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논문 추세를 통해 U-City와 Smart City의 차이점을 분석 도출하여, 향후 U-City 연구의 방향에 일조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국내 U-City는 도시에 대한 실제적 적용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Smart City는 단일 서비스 제공이나 기술개발 쪽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유추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집합의 구성에 주관적인 의견이 반영되었고, 키워드와 초록만을 분석하였다는 한계점을 지니므로 논문의 본문 또는 관련 연구보고서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U-City와 Smart City의 차이점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스마트생태도시와 유비쿼터스 행정공간정보화연구 -부산 에코델타시티 수질오염 재난방재 측면에서- (A Study on Smart Eco-city and Ubiquitous Administrative Spatial Informatization : In terms of Water Pollution and Disaster Prevention of Busan Ecodeltacity)

  • 이상윤;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827-840
    • /
    • 2016
  • 최근 들어 본격적으로 스마트사회가 시작되고 유비쿼터스 시대로 진입하는 등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래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유비쿼터스 행정공간정보화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전환점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래예측방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시나리오 플래닝 방법론을 적용하여 부산에코텔타시티의 수질오염과 이에 따른 재난방재차원의 유비쿼터스 행정공간정보화에 대한 바람직한 미래상을 도출하였다. 곧 더욱 진화될 스마트사회와 유비쿼터스 시대에 합당한 스마트생태도시를 구현하는 도시재난방재정보화의 상대적 미래우위전략을 찾고자, 빅데이터 행정공간정보화 방재시스템을 제안하였으며, 부산에코델타시티를 위한 성공적인 빅데이터 수질오염 및 재난방재정보화 전략을 도출하였다. 결국 빅데이터와 빅데이터 시스템 활용이 더욱 심화될 2030년 무렵에 우리나라의 도시재난방재정보화 수준이 지금보다 수준 높은 위상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부산에코델타시티와 같은 스마트생태도시에서 유기적으로 기능하는 선진적인 빅데이터 행정공간정보화 ICT수질오염방재시스템 마련이 중요하다.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시티 정책 (Smart City Policy Considering Spatial Characteristics)

  • 배성호
    • 지역연구
    • /
    • 제35권3호
    • /
    • pp.25-32
    • /
    • 2019
  • 도시문제 해결과 함께 4차 산업혁명의 신(新)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세계적으로 스마트시티의 전략적 가치가 증대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2003년 '유비쿼터스 도시(U-City)'를 한국의 고유 스마트시티 브랜드로 도입하여 추진하였다. U-City의 한계 극복을 위해 2018년 백지상태 부지에 4차 산업혁명기술의 테스트베드로서 국가 시범도시(세종 5-1생(生), 부산 EDC; Eco Delta City) 조성을 포함한 「스마트시티 추진전략」이 수립 및 발표되었다. 이후 국내외 변화된 여건과 그간의 정책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도시성장단계별(신규-기존-노후) 맞춤형 스마트시티 조성·확산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스마트시티 조성 및 확산은 혁신 생태계 구축 및 글로벌 이니셔티브 강화를 위한 중장기 로드맵으로 제3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19~'23)을 중점으로 추진되고 있다. 아울러, 정부는 스마트시티 정책을 추진하는 데에는 시민, 민간기업, 지자체 등 다양한 주체가 함께 참여하여 따뜻한 삶의 공간으로 열린 도시이자 포용 도시로서 스마트시티를 조성 및 추진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