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achievement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9초

중학교 영재학생의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중재방안으로서의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Reading Comprehensive Strategy Program for Underachieving Gifted Students)

  • 최선일;진석언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649-66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미성취 영재학생의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함으로써,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 원리와 교육 방안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읽기 이해 구성주의 모형과 읽기 이해 전략 모형에 따라 미성취 영재학생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미성취 영재의 조작적 정의에 근거하여 36명의 미성취 영재학생을 판별하였다. 판별된 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프로그램 전 후 읽기 이해 능력, 읽기 메타 인지 능력, 학교 성적 등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읽기 이해 전략을 이외의 다른 미성취 요인들로 인한 미성취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든 미성취 영재 학생과 그들의 선생님을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은 중학교 미성취 영재학생의 읽기 메타인지 능력과 읽기 이해 능력을 신장시켰으며, 그들의 학업 성취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특히 미성취 영재로 판별된 36명의 학생들 중 3분의 1에 해당하는 12명이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통하여 미성취 수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할 때, 중학교 미성취 영재학생들에게 읽기이해 전략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학습전략을 체득하도록 하는 것은 그들의 미성취 문제를 해결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기초학습부진아동의 내·외적동기에 따른 학업적 실패내성, 우울, 학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Inner/External Motive of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 in Basic Learning 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Depression and Academic Efficacy)

  • 박순길;조증열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135-142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생 기초학습부진아동의 내·외적동기, 학업적 실패내성(감정, 행동, 과제선호도), 우울(우울정서, 행동장애, 흥미상실, 자기비하, 생리적 증상), 학업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내·외적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밝히는 목적이 있다. G광역시 10개 초등학교 기초학습부진아동 3학년과 학년 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초학습부진아동의 학년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을 하였고, 내·외적동기 예언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하였다. 첫째, 초등학생 기초학습부진아동의 외적동기에서 3학년과 5학년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즉 기초학습부진아동은 부모의 강요나 처벌을 피하기 위해서 행동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학습부진 아동의 외적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우울정서, 흥미상실, 생리적 증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적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초등학생 기초학습부진 3학년 학생들은 5학년 학생들보다 외적동기에 의해 공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적동기에 영향을 주는 우울 변인들을 감소시키는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겠다.

The Effectiveness of Early Screening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at Risk of Reading Underachievement

  • Park, Hyun Jeong;Bang, Hee Jeong;Nam, Min
    •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 /
    • 제4권1호
    • /
    • pp.47-6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reening test for children at risk of reading underachievement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early-stage intervention program. In the first part of the study, we recruited 155 elementary first grade students for a screening test. Phonological deletion, digit naming, object naming, and sound-letter correspondence knowledge of a screening test, all assessed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predicted the reading ability at the end of the school year. In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we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e reading ability between fourteen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program and eighteen non-participating children. Reading ability was assessed by evaluating word recognition, oral reading fluency, reading comprehension, and pseudo-word recognition. The reading ability of intervention group improved more compared to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ccentuated over time. However, final analysis conducted in November revealed that two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oral reading fluency. This suggests that, unlike word recognition and comprehension, fluency might not dramatically improve in a short period.

미성취 영재와 성취 영재 간의 개인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ersonal Characteristics in Gifted Underachievers and Gifted Achievers)

  • 송수지
    • 아동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75-191
    • /
    • 2007
  • This study selected 113 gifted underachievers and 128 gifted achievers from 17 elementary schools to examine gifted children's personal characteristics(self-concept, locus of control, and learning habits) that have an effect on underachievement. Self-concept(general self-concept and academic self-concept), locus of control, and learning habits(endurance,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motivation) variables were analyzed to determine gifted underachievers' personal characteristics. (1) Comparison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f gifted achievers with gifted underachievers indicated gifted underachievers had low self-concept, external locus to control, and problems in learning habits. (2) The sub factors of habits of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had the greatest effect on underachievement of gifted children.

  • PDF

가정환경요인이 영재아의 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mily Factors on Achievement of the Gifted Children)

  • 송수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13
    • /
    • 2007
  • By targeting 113 gifted underachievers and 128 gifted achievers from 17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examines the home variables that affect gifted children's underachievement. In an effort to determine home variables of gifted achievers and underachievers, their homes' socio-economic status was analyzed and their parental child-rearing behavior was examined. First, the home environments of the gifted achievers and underachievers were compared, with the finding that their homes' socio-economic status, parental child-rearing behavior and other home factors differed. Parents of gifted achievers raised their children in a rational and democratic manner, while those of gifted underachievers tended to raise their children in an irrational and authoritarian manner. Second, discrimin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home variables tha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dicating that their homes' socio-economic status showed a low discrimination compared with their parental child-rearing behavior. Likewise, among the family factors, active involvement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underachievement of gifted childre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oftware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Underachievement

  • Kim, Jeong-Rang;Lee, Soo-H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283-29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 분수 관련 내용을 학습 주제로 하여 재구성한 학습 부진 개선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학습 부진 개선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프로그램은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의 성격과 학습 부진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그 구조를 설계하였고, 학습내용을 학습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배치하였으며, 반복적으로 경험하여 충분히 학습할 수 있도록 매 차시 구축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학업 성취도, 메타인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의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으나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모든 영역에서 향상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교육 프로그램은 학습 부진 개선이라는 측면과, 소프트웨어 교육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바탕으로 학습 부진 학생이 프로그램에 재구성된 과목의 학습 내용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수학과 학습 부진아에 대한 효율적인 지도 방법 -고등학교 중심- (The Effective Method for the Underachievers - focused on high school-)

  • 이상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0권1호
    • /
    • pp.27-51
    • /
    • 2001
  • This research has the purpose of seeking and developing the efficient method for the students suffering from the problem “underachievement”, by improving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by increasing students' interest in learning and desire to study, and by changing their weak and poor teaming attitudes into desirable and positive ones.

  • PDF

초등학교 사회과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사이버 가정학습 2.0 교수학습모형 연구 (An Instruction-learning Model through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2.0 for Elementary Social Studies Underachievers)

  • 이명근;이정민;최용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07-214
    • /
    • 2012
  • 이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과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최적의 사이버 가정학습 2.0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기 위해 근거이론 방법을 통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학습부진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부진 원인을 알아보기 위한 심층면담이 이루어졌고, 면담 결과를 통해 규명된 일련의 학습부진 원인들을 공통 개념으로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25개의 학습부진 원인을 8개의 하위범주와 4개의 상위범주로 묶을 수 있었다. 그리고 학습부진학생을 대상으로 사이버 가정학습 2.0을 활용한 수업을 적용하고, 적용 기간에 학습부진학생들이 작성한 성찰일지 및 교사와의 심층면담 내용 등을 분석하여 학습부진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인식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학습부진학생들은 사이버 가정학습 2.0에 임하면서 '사이버 가정학습 2.0 적응과정', '기초지식학습과정', '과제수행과정', '반복적인 모둠토의 과정', '되알리기와 학업성취도 평가 과정' 등 다섯 가지의 구체적인 전략을 가지고 학습에 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정분석 결과로 나타난 구체적인 전략들을 토대로 학습부진학생들을 위한 사이버 가정학습 2.0 상황모형을 제안하였다.

중학교 과학학습 부진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Effect of Customized Instructional Program for Underachievers in Middle School Science)

  • 이경희;한미정;김민정;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21-436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학습부진을 해소하기 위해 부진 원인에 따라 맞춤형 지도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과학 학습부진의 특성 및 원인을 분석하여 중학교 1학년 과학학습 부진아 22명을 과학 탐구능력 부족형, 과학 학습동기 부족형, 과학 학습전략 부족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에 적용한 프로그램은 동일 단원과 주제로 구성했으며, 비교집단에는 기본 개념과 활동 중심 프로그램, 실험집단에는 원인 유형별 프로그램을 주 1회, 60분씩 15주 동안 투입하였다. 투입이 끝난 후, 적용한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검사, 과학탐구능력 검사,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 검사, 학업성취도 평가를 하였으며, 이들 평가 결과와 함께 학생활동지, 연구일지, 수업 전사내용, 학생 면담 등을 통해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 집단에 투입된 맞춤형 프로그램은 세 가지 부진유형 집단별로 탐구능력, 학습동기, 학습전략이 각각 향상되어 부진원인을 해소하였고, 더불어 학업성취도도 향상되었다. 과학 학습동기 부족형과 과학 학습전략 부족형은 다른 부진 원인도 함께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실험집단에서 과학 학습부진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과학 학습부진 원인에 따른 맞춤형 프로그램이 과학학습 부진아들의 부진원인 해소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ADHD로 인한 학습부진아동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Various Oriental Medical Therapy in Combination with Learning Therapy on School Underachievement Child caused by ADHD)

  • 위영만;강형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97-209
    • /
    • 2009
  • Objectives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is a psychiatric disorder, characterized by the primary symptoms of inattention and/or impulsivity and hyperactiv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efficiency of Various Oriental Medical Therapy combinated with Learning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DHD. Methods : This study is a clinical report of 1 ADHD child treated with Various Oriental Medical Therapy(Herb-med, acupunture, etc.) in Combination with Learning therapy. CAR(Conner's abbreviated Rating Scale), K-CBCL, ADS(ADHD Diagnostic System) were compared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Results : The results show the Various Oriental Medical Therapy in Combination with Learning therapy is efficient in the treatment of ADHD. Conclusions : Various Oriental Medical therapy including herb-med, pharmacopuncture, electroacupuncture is efficient in improvement of ADHD child. also In case of combination with Learning therapy, it is more effective in child's school life and school work. therefore, it is practical useful in the treatment of ADH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