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on file system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4초

유니온 파일시스템에 대한 보안 위협 및 대응 방법 (Security Treats about Union File System and Responce Methodology)

  • 한성화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45-446
    • /
    • 2021
  • 유니온 파일 시스템은 다양한 파일과 디렉토리를 통합하여 단일 파일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로, 통합에 사용되는 Source File/Directory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컨테이너 플랫폼 등의 많은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고 있다. 유니온 파일 시스템을 사용할 때, 사용자는 Write-able Layer에 접근하며, 여기에는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보안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유니온 파일 시스템 생성에 사용되는 Source File과 Directory에는 별도의 보안 기술을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니온 파일 시스템 사용 시 발생될 수 있는 Source File/Directory에 대한 보안 위협을 차단하기 위한 접근통제 메커니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접근통제 메커니즘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증 구현한 후 기능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접근통제 메커니즘은 유니온 파일 시스템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Source File/Directory를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Overlay2 파일 시스템의 소스 보호 방법에 관한 연구 (Overlay2 file system's Source Protection Methodology)

  • 한성화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397-1402
    • /
    • 2021
  • Overlay2 파일 시스템은 다수의 directory를 하나로 통합하여 mount 하는 union 파일 시스템 중의 하나이다. 이 overlay2 일 시스템 마운트에 생성되는 write-able layer는 source directory에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특징이 있어 application 배포를 위한 컨테이너 플랫폼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overlay2 파일 시스템은 mount에 사용되는 source directory에 있는 파일을 임의 변조할 경우, 그 변조 내용이 write-able layer에 적용되는 보안 취약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안 취약점을 제거하기 위한 overlay2 파일 시스템의 source directory 보호 기술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아키텍처에 따라 실증 구현 후 source directory 보호 기능을 검증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보호 기술은 실효적이라고 판단되었다. 다만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수동적인 보호 방식이므로, 이를 운영체제 레벨에서 자동 보호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서비스 맞춤형 컨테이너를 위한 블록 입출력 히스토리 학습 기반 컨테이너 레이어 파일 시스템 선정 기법 (A Method of Selecting Layered File System Based on Learning Block I/O History for Service-Customized Container)

  • 용찬호;나상호;이필우;허의남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6권10호
    • /
    • pp.415-420
    • /
    • 2017
  • OS-level의 가상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기존의 가상화 기술인 가상 머신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컨테이너는 기존의 리눅스 컨테이너에 유니온 마운트 포인트(Union Mount Point) 와 레이어 구조의 이미지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의 배포가 가능하다. 이러한 컨테이너의 특징들은 스냅숏 기능을 제공하는 레이어 구조의 파일 시스템에서만 사용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의 특징에 따라 적절한 레이어 파일 시스템을 선택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레이어 파일 시스템들의 특징을 조사한 뒤, 레이어 파일 시스템의 동작 원리인 Allocate-on-Demand 및 Copy-up 방식에 따른 파일 시스템의 쓰기 성능 평가를 수행한다. 또한 각 레이어 파일 시스템 방식의 블록 입출력 사용 데이터를 학습한 인공 신경망을 통해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적합한 레이어 파일 시스템 방식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한다.

서비스 맞춤형 컨테이너를 위한 컨테이너의 레이어 파일 시스템 연구 (Study on Layered File System for Service-customized Container)

  • 용찬호;허의남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0-43
    • /
    • 2017
  • OS-level 가상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가상 머신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다. 특히 컨테이너는 기존의 리눅스 컨테이너에 유니온 마운트 포인트(Union Mount Point)와 레이어 구조의 이미지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의 배포가 가능하다. 이러한 컨테이너의 특징들은 RoW(Redirect-on-Write), CoW(Copy-on-Write) 등의 스냅숏 기능을 제공하는 특정 파일 시스템에서만 사용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에 따라 적절한 파일 시스템을 사용해야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컨테이너 이미지의 레이어구조를 사용할 수 있는 파일 시스템들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에 따른 쓰기 작업의 성능 평가를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