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anoscopida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한국산 통구멍과(농어목) 어류의 분류 (Synopsis of the Stargazer Fish, Family Uranoscopidae (Perciformes) from Korea)

  • 이충렬;주동수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64-374
    • /
    • 1995
  • 1986년부터 1994년까지 주로 우리나라의 서해와 남해 연안에서 채집된 한국산 통구멍과 어류에 대하여 분류학적 위치와 이들의 형태적 특징에 대하여 재검사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통구멍과 어류로는 3층 6종으로 확인되었는데 통구멍층 Uranoscopus에는 얼룩통구멍 U. japonicus, 통구멍이 U. bicinctus, 민통구멍 U. chinensis, 비늘통구멍 U. tosae 등의 4종이고, 푸렁통구멍층 Gnathagnus에는 푸렁통구멍 G. elongatus 1종, 큰무늬통구멍층 Ichthyscopus에는 큰무늬통구멍 I. lebeck sannio 1종 등 모두 6종이다. 이들 어류의 분류학적 중요 형태 형질로는 체표의 구점, 전새개골 하부의 가시 수, 호흡판의 형태, 비공판의 형태, 입술돌기의 발달 상태 등이었다. 한편 지금까지 기재되어 온 U. flavipinnis는 U. chinensis의 synonym으로 정리되었다. 우리나라의 서해와 남해에 주로 많이 분포하고 있는 종은 Uranoscopus japonicus와 Gnathagnus elongatus이고, 남해에는 U. bicinctus, U. chinensis, U. tosae 등이며 특히 Ichthyscopus lebeck sannio는 주로 제주도 부근 해역에서 출현하고 있다.

  • PDF

한국산 통구멍속(통구멍과) 어류 1미기록종 Uranoscopus tosae (New Record of the Stargazer Fish, Uranoscopus tosae(Uranoscopidae) form Korea)

  • 이충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6-30
    • /
    • 1992
  • 1992년 3월 전북 군산에서 한국 남해산 통구멍과 어류 중 전장 166.9mm되는 1개체를 수집하여 동정한 결과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서식이 확인되지 않은 미기록종인 Uranoscopus tosae로 동정되었다. 본종의 외부 형태는 Uranoscopus oligolepis와 대단히 흡사하나 양쪽 측선 위의 목부분에 비늘이 매몰되어 있고, 전비공은 관상이나 후비공은 slit형 이며, 호흡판이 좁고 길며, 전새개골의 하연에는 4개의 가시돌기가 있는 점 등이 U. oligolepis와는 달리 U. tosae와 일치하게 나타났다. 본 종의 한국명은 측선 위에 비늘이 있는 점을 들어 "비늘통구멍"이라고 명명하였다.

  • PDF

한국산(韓國産) 통구멍과(科) 어류(魚類) 1 미기록종(未記綠種), Ichthyscopus lebeck sannio (New Record of the Stargazer Fish, Ichthyscopus lebeck sannio(Uranoscopidae) from Korea)

  • 이충렬;백문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11
    • /
    • 1995
  • 1986년(年) 5월(月) 제주도(濟州道)에서 채집(採集)한 통구멍과(科) 어류 중 체장(體長) 242.2 mm 되는 1개체(個體)를 동정한 결과(結果)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서식(棲息)이 확인(確認)되지 않은 미기록종(未記錄種)인 Ichthyscopus lebeck sannio으로 동정(同定)되었다. 본 종은 외부(外部) 형태적(形態的)으로 등지느러미가 1개이고 입술에는 돌기가 발달되어 있고, 체표면에는 커다란 하얀 반점(斑點)이 많이 있으며 쇄골돌기가 없는 점 등이 본종(本種)의 주요(主要) 특징(特徵)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종의 한국명(韓國名)은 체표면에 흰무늬가 크게 나 있는 것이 눈에 잘 띠기 때문에 "큰무늬통구멍속(屬)"의 "큰무늬통구멍"이라고 명명(命名)하였다.

  • PDF

푸렁통구멍 Gnathagnus elongatus 자치어의 형태 발달 (Larval Morphology of Gnathagnus elongatus (Uranoscopidae))

  • 김성;유재명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4-128
    • /
    • 2000
  • 푸렁통구멍 자치어 시료는 1997~1999년 제주도 연안에서 봉고네트와 트롤형자치어네트로 총 45개체 채집되었으며, 체장 범위는 2.7~8.7 mm였다. 이 종은 제주도 연안과 대한해협에 분포하였다. 성장에 따른 푸렁통구멍 자치어의 체형변화는 다음과 같다. 1) 지느러미의 여린줄기는 체장이 약 5 mm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체장이 약 8.7 mm에서 정수에 달하였다. 2) 흑색 소포의 변화는 체장 3 mm 전 후에서 급격하게 일어났다. 3) 미부봉상골 위아래에 일렬로 된 혹색소포는 체장 4.3 mm 이하의 크기에서 나타났다. 4) 꼬리자루에 흑색소포는 체장 6 mm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