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Rehabilitation project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1초

도시정비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갈등조정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nflict Resolution for the efficient promotion of Urban Rehabilitation Project)

  • 김구회;김형진;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495-2504
    • /
    • 2015
  • 본 연구는 도시정비사업의 효율적 추진에 영향을 미치는 갈등요인을 구축하고, 사업기간과 사업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갈등요인을 PLS 회귀분석을 통해 도출하고자 한다. 자료 구축은 도시정비가 완료된 사업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조합원, 세입자, 상인 등을 중심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사업기간의 경우 조합설립신청 및 인가, 철거 및 멸실신고, 사업시행계획 및 승인, 용역관련 이익집단의 사업지연 방해 등의 순으로 갈등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사업비용의 경우 조합설립신청 및 인가, 매도청구, 이주, 철거 및 멸실신고, 관리처분계획 및 인가 등의 순으로 갈등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도시재생 뉴딜 정책의 주민참여 수단으로서 크라우드소싱 시범 적용 연구 (An Application of Crowdsourcing to Expand Residents' Participation in Smart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olicy)

  • 김용국;조상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8호
    • /
    • pp.47-5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crowdsourcing as a means to expand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the process of smart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olicy. Using mobile devices, they built a crowdsourcing prototype system that enables residents to provide location-based ideas and opinions about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olicy and share and manage the collected data. The system was applied to the actual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site to draw implication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rowdsourcing is a means of strengthening expertise by utilizing collective intelligence dispersed among local residents. Through the online platform developed in this study, various ideas and opinions of the community can be collected. Second, the procedural legitimacy and transparency of the rehabilitation project can be secured by expanding the participation opportunities of the residents. Third, the efficiency of project promotion can be improved through participation of residents using online platform.

통합형 도시재생사업으로서 마르세유 유로메디테라네의 특성과 시사점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Marseille's Euromméditerranée as an Integrated Urban Regeneration Project)

  • 박원석
    • 토지주택연구
    • /
    • 제15권1호
    • /
    • pp.99-115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마르세유의 유로메디테라네의 사업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국내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로메디테라네는 마르세유의 도시재생사업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공동으로 출자・협력한 거버넌스형 사업추진기구인 EPAEM을 통해 사업을 수행하여, 유로메디테라네가 마르세유의 활성화와 삶의 질 개선에 의미 있는 성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도시재생사업으로서 유로메디테라네의 특성으로는 전면 재개발과 수복재개발 방식을 결합한 복합적 접근방법의 활용, 하드웨어적인 물리적 재생과 소프트웨어적인 경제・문화・환경적 재생을 결합한 통합적 재생의 활용, 거버넌스형 도시재생 사업구조의 활용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국내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도시재생사업 단위의 복합화 및 대형화, 국가차원의 거버넌스형 추진기구의 활용, 적절한 민관 파트너십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지적재조사에서 UAS 영상 기반 지적 경계확정 시범 연구 (Demonstration of UAS Image-Based Intellectual Demarcation in Cadastral Reexaminationy)

  • 김달주;강준오;한웅지;이용창
    • 도시과학
    • /
    • 제7권1호
    • /
    • pp.29-38
    • /
    • 2018
  • The cadastral rehabilitation project, which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12, is a project to re-examine the national land that is not in conformity with the cadastral map, There is a lot of trouble in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for business execution. This study examines the utility of UAS(Unmanned Aerial System) image - based cadastral demarcation as an alternative to budget reduction in the current state of cadastral rehabilitation, reasonable boundary adjustment, UAV(Unmanned Aerial Vehicles) is used to create 3D models and orthoimages of business districts, and to check accuracy by superimposing and comparing with digital maps of NGII(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ccuracy of the 3D model and the orthoimage through the SfM(Structure-from-Motion) - based image interpretation of the digital map of the NGII were derived. In particular, we confirmed the similarity of UAS-based orthoimage with the cadastral boundaries affirmation, It is anticipated that the cost saving effect of current survey and boundary survey can be expected. In addition, it is easy to prepare a report to reduce civil complaints, which is a problematic element of the adjustment.

하천자연도를 이용한 자연형하천 대안 선정기법 (Research on the method used to select an adequate rehabilitation plan for Natural River based on the river's degree of naturalness)

  • 조홍제;윤종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71-80
    • /
    • 2009
  • 도시하천은 하천특성이 다양하므로 각 하천별 자연형 하천정비계획을 위한 대안 수립 및 선정방법이 필요하다. 그런데 국내의 자연형 하천복원관련 지침이나 기준에서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천복원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연성의 회복에 있으며, 최근에는 친수성 증진을 포함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형 하천정비계획 및 사업의 대안선정에 하천자연도를 사용하였다. 국내실정에 맞도록 개발된 AHP를 이용한 하천자연도법을 사용하고, 유럽의 도시하천복원지침(URBEM, Urban River Basin Enhancement Methods)을 참고하여 자연형 하천정비계획의 대안을 간편하게 비교 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대상하천의 하천자연도 평가항목은 하천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한 후, 복수의 대안을 구성하고 대안별 하천자연도를 산정하여 비교함으로서, 각 대안별 자연성 회복효과 및 하천정비계획 성과를 측정하는 것이 용이하였다. 따라서 하천자연도 평가항목을 평가자가 대상하천의 특성에 맞게 선택하여 대안을 선정하면 자연형하천계획 수립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도심 재개발 사업의 타당성 분석 절차 및 의사결정 방법 (Feasibility Study Processes and Decision Making Methods of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 김선국;주재영;김기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71-79
    • /
    • 2004
  • 도심 재개발 사업의 타당성 분석단계에서 물리적, 환경적 요인들의 파악과 변화예측은 사업의 계속수행 여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사업특성요인, 건설환경의 변화, 수요예측 등에 대한 정형화된 분석체계가 부재하여 실제 사업 타당성 분석 시 계량화된 방법보다 경험 및 직관에 의해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사업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경제적인 측면만을 고려한 타당성 분석이 이루어져 궁극적으로 상당한 손실을 초래하는 사업으로 추진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에 대한 주된 원인은 도심 재개발 사업의 특성을 반영한 타당성 분석 절차 및 의사결정 방법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는 도심 재개발 사업의 초기 단계에서 고려하여야 할 다양한 영향요인과 연계하여 체계적인 타당성 분석 절차 및 의사결정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선방안의 체계적인 진행을 위해 이론고찰, 사례연구, 설문분석, 전문가 면담 등을 통한 분석목표 및 절차, 관련요인, 의사결정방법 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제안된 도심 재개발 사업의 타당성 분석 절차 및 의사결정 방법은 사례연구에서 나타난 분석 절차의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단계별 분석목표를 설정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의 분석과 합리적인 의사결정으로 도심재개발 사업의 타당성 분석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경주도심 노후주거지 거주민의 주생활패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Housing Lifestyle of Residents Pattern Analysis for the in Downtown Area of Gyeongju)

  • 이유영;정준현;이윤정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4-87
    • /
    • 2009
  • This study aim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housing life-style targeting Gatdui area and Daean area where the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is carried out in the form of rehabilitation housing renewal program of old residence of the downtown area in Kyungju. This is in order to examine realistic problems of the method of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 where resi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preferences are low for low-income residents by seeking the methods of rehabilitation which correspond with the fundamental objective of the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for low-income residents in urban areas. Based on the survey, we analyzed residents'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urrent way of living and preferred ways of living and the planar pattern of houses in surveyed areas, and examined the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methods for residents living in the urban slam areas and perception of subjects. Survey analysis used statistics program SPSS14.0. As a result, of it, it was found that residents in surveyed areas were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current way of living but in the preferred housing life-style, they were demanding some change.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it aims at change in paradigm of improvement of residential areas through renewal of urban deteriorated residence that characteristics of changing living space are compromised depending on living habitude left, and changing life style, and it proposes the directions of the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plan in the future.

  • PDF

재활교육이 보건간호사의 재활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에 미치는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that Rehabilitation Education Influence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Public Health Nurse)

  • 조계숙;유인자;배정희;이영자
    • 대한간호
    • /
    • 제36권5호
    • /
    • pp.63-73
    • /
    • 1998
  • The home visiting health nurses are important man-power who can serve various and persistent rehabilitation care to disabled person in community. The Community Based Rehabilition project(CBR) of national rehabilition center have been carried out from 1995. As a part of that project national health center performed rehabilition education program for home visiting health nur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effect of this education. In the first stage all of those groups were educated for two weeks in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But only two group nurses, one is in a urban and the other in a rural community, have been educated continually in the field through discussing rehabilitation care case study. The data in this study were gathered from three group healh nurses and analysed by SAS computer program. The results about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changes of the three group nurses were as follows. 1. In the pre education state the mean point of all nurses' attitude for rehabilition was 59, but in the post education state that was 90.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attitude is very significant(t=-14.1. p<0.0001l). 2. In the pre education state the mean point of all nurses' knowledge for rehabilition was 45, but in the post education state that was 78.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knowledge is very significant(t=-12.7, p<0.000l). 3. In the pre education state the mean point of all nurses' practice for rehabilition care was 37, but in the post education state that was 62.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practice is very significant(t=-7.3, p<0.000l). 4. In practice point, the two group nurses who have been educated continuously were superior to the other(t=-3.9. p<0.00l). 5. All points between the urban and rural nurse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p>0.l). 6. All changes of the attitude, knowledge and practice did not affected by age(F=0.58, p>0.l). professional career(F=O.61, p>0.l), educational background(F=0.97, p>0.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