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 motivation and use satisfaction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9초

중국 청소년의 틱톡(Tiktok) 이용동기가 이용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nese Adolescents' Motivation to Use Tiktok 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 샤오진화;이상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107-115
    • /
    • 2020
  • 본 연구는 중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틱톡(Tiktok)의 이용동기를 밝히고 그것이 이용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용 동기와 지속사용의도의 관계를 이용만족도의 매개효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실시하였고 청소년 315명을 표본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다중 회귀분석 및 매개변수의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용 동기로는 정보/오락추구, 소통, 자기표현이 도출되었다. 이들 이용 동기 중 정보/오락추구, 소통이 이용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이용만족도는 지속사용의도에 매개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소셜미디어의 이용 동기 연구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다뤄졌던 자기표현 요인은 틱톡 이용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틱톡(짧은 동영상) 관련연구에 작은 기여를 할 수 있길 기대한다.

폐쇄형 SNS의 이용 동기에 관한 연구 (The usage motivation of closed type SNS)

  • 전병호;최재웅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97-207
    • /
    • 2015
  • A new communication revolution such as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has been transforming the way of interaction between people in both of individual level and organizational level. Recently many people have switched to closed type SNS such as Naver Band and Kakao group due to the several reas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ag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closed type SNS based on use and gratifications perspectives. Based on prior studies on use and gratifications of Internet-related media and SNS, information motivation, relationship motivation, pleasure/entertainment motivation, self-expression motivation, work motivation were identified as usage motivation of closed type SNS. According to the results, relationship motivation and work motiva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atisfaction. But other motivation factors(information motivation, pleasure/entertainment motivation, self-expression motivation)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atisfaction. Then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tention to use. This study contributes to give companies providing closed type SNS and using it as a marketing tool with the base of activation strategi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보는 게임의 이용 속성에 관한 연구: 청소년의 이용동기와 만족, 게임 이용의도와의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 Attributes of Watching Game: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Motivati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 김형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95-108
    • /
    • 2021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보는 게임 이용동기를 탐색하고, 이용만족 및 이용의도와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청소년 27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청소년의 보는 게임 이용동기는 총 5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정보 습득 동기', '사회관계/멀티태스킹 동기', '게이머/크리에이터 선호 동기', '도피/습관 동기', '대리만족/재미 동기'였다. 둘째, 대리만족/재미 동기는 보는 게임의 이용만족,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게임이용량에 따라 이용동기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는 게임 시장의 활성화 요인을 탐색하고, 성인과는 다른 청소년만의 게임 이용심리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Research on the Uses and Gratifications of Tiktok (Douyin short video)

  • Yaqi, Zhou;Lee, Jong-Yoon;Liu, Shansh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7권1호
    • /
    • pp.37-53
    • /
    • 2021
  • With the advent of the 5G era, smart phones and communications network technology have progressed, and mobile short video of people's life can be made, Of the new tools of communication, at present, China's social short video industry has shown rapid development, and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 short video app is Douyin (international version: Tiktok). Under the background of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this study discusse the relationship between Douyin users' preference degree, use motivation, use satisfaction and attention intention. This study divides the content of Douyin video into 10 categories, selects the form of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uses SPSS software to conduct quantitative analysis of 202 questionnaires after screening, and finally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 content preference degree of Douyin short video (the high group and low group) is different in users' use motivation, users' satisfaction degree and users' attention intention. ALL results are within the range of statistical significance.(2) Douyin users' video content preference degree has a positive impact on users' use motivation, users' satisfaction degree, and users' attention intention. (3) Douyin users' motiv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users' satisfaction and user' attention intention. (4) Douyin users' satisfaction degree has a positive impact on users' attention inten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suggest that Douyin platform pushes videos according to users' preferences. In addition, as the preference degree has an impact on users' motivation, satisfaction degree and attention intention of using the platform, it is important that the platform's focus should to pay attention to the preference degree of users. Collecting users' preferences at the early stage of users' entering the platform is a good way to learn from, and doing a good job of big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in the later operation.

The Impact of Learning Motivation on Continuous Use in the Mobile Game - Focusing on Chinese Mobile Game

  • Chen, Xueying;chang, Bye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6권2호
    • /
    • pp.78-91
    • /
    • 2020
  • In this study,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into th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learning motivation of players in the game, including experience, vicarious experience, the need of achievement, the need of power, and mastery motivation. Then, a discussion was conducted regarding the role played by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continuous u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519 players, most at the intermediate gaming level in . As demonstrated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erience, vicarious experience, the need of power, and the mastery of motivation have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the players' motivation of learning the game. Learning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ontinuity of use. Additio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eed of achievement and learning motivation is insignificant. Overall, the research results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social-cognitive theory relative to the learning motivation. Players began to transform, satisfied with their achievements in the game, as well as gradually evolving toward self-improvement to achieve satisfaction. It offers a new explanation and crucial reference for mastering the gaming trend among the contemporary players.

사관생도의 SNS이용 동기와 생도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탐색을 통한 제언 (Suggestions through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dets' Motivation to use SNS and Life Satisfaction)

  • 석혜선;임소정;안동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407-412
    • /
    • 2023
  • 우리는 군 내 장병들의 휴대폰 사용이 전면 허용된 오늘날 상황에서 장병들의 휴대폰의 사용, 특히 SNS 의 사용의 현 실태를 확인하고 군 생활에 기능적인 SNS 사용을 위한 합의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SNS 이용 동기에 주목해 각 하위변인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를 탐색하여 군 관리자로 하여금 장병들의 SNS 사용에 대해 올바르게 지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육군3사관학교 생도 189명을 대상으로 SNS 이용 동기와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였고 SNS 이용 동기의 각 하위변인과 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생도들의 SNS 이용 동기는 정보 추구가 가장 높았으며, 지위 추구가 가장 작았다. 다음으로 SNS 이용 동기 중 정보 추구는 만족도의 하위요인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지위 추구는 오히려 만족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정보 혹은 아이디어 탐색을 위한 SNS 사용을 장려해야 한다. 또한, 사관생도들의 이러한 연구결과는 SNS의 허용이 장병의 만족도를 높여줄 것이라는 막연한 믿음이 합리적이지 않음을 증명하며, 그러므로 군 내 기능적인 SNS 활용을 위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틱톡(Tik Tok) 이용자의 연애유형이 연애 동영상의 이용 동기,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ik Tok Users' Love Types on Love Videos' Motivation and User Satisfaction)

  • 조맹;양천;이상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703-720
    • /
    • 2022
  • Based on the love styles theory used in psychology, this paper classifies users(Passionate Love, Game-playing Love, Friendship Love, Practical Love, Possessive Love, Altruistic Love) and investigates satisfaction with the motivation for using TikTok love videos(Entertainment, Social Relationship, Love skills-learning, Self-verification, Problem-solving) according to the theory of use and satisfaction. First, 414 users were selected to conduct TikTok surveys to collect data. The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among the six love types, game-playing type and possessive type have a positive (+) impact on entertainment motivation and love skill-learning motivation. Game-playing type also have a positive (+) impact on social relationship motivation and self-verification motivation. In addition, altruistic type and possessive type are also factors to strengthen the motivation of self-verification. The altruistic type, possessive type and practical type will improve the problem-solving motivation. Finally, through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game-playing love type, entertainment motivation, love skill-learning motivation and self-verification motivation can improve user satisfaction. The above results enrich the research of user classification as well as providing inspira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and communication efficiency of TikTok's video and enhancing user experience.

A Study on Motivation and Utilization of SNS f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Moon, Jae-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271-276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고등학생들이 SNS를 사용시 중요시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적 동기, 기능적 동기, 유희적 동기, 심리적 동기가 SNS 이용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이러한 만족도는 가치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동기를 제외한 유희적 동기, 기능적 동기, 심리적 동기가 SNS 이용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이러한 만족도는 학생들의 가치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의 고교생들이 SNS를 사용하는 이유는 자신들이 필요로 하고 자신들이 즐거워하는 즉 개인적인 관점에서 SNS를 사용하는 것이지 사회적 현상 등과는 관계가 없다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사회적 동기는 기능적 동기, 유희적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동기인 여러가지 사회적 현상은 청소년들이 SNS를 사용하는 계기 및 주제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으며 기능적 동기는 유희적 동기와 심리적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SNS가 제공하는 여러 다양한 기능이 SNS를 선택하여 사용하는데 긍정적인 작용을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SNS의 이용 동기에 관한 연구: 개방형 SNS와 폐쇄형 SNS의 비교 (The usage motivation of SNS: A Comparison of Open type and Closed type SNS)

  • 전병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81-192
    • /
    • 2015
  • A new communication revolution such as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has been transforming the way of interaction between people in both of individual level and organizational level. Recently many people have switched to closed type SNS such as Naver Band and Kakao group due to the several reas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ag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SNS based on use and gratifications perspectives. Based on prior studies on use and gratifications of Internet-related media and SNS, information motivation, relationship motivation, pleasure/entertainment motivation, self-expression motivation, work motivation were identified as usage motivation of SNS. This empirical study explores how these motivations vary between open type SNS(facebook and twitter) and closed type SNS(band and kakao group).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e the base of activation strategi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mpanies using SNS as a marketing tool.

구독경제 서비스 만족과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용동기와 플랫폼, 서비스 특성요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and Continued Use Intention of the Subscription Economy Service: Focusing on Use Motivations, Platform & Service Characteristics)

  • 김민정;김태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535-542
    • /
    • 2023
  • 본 연구는 구독경제 서비스에 대한 만족과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 고찰을 통해, 개인 특성과 서비스 특성 변인을 함께 고려하고자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서비스 이용동기, 플랫폼 특성요인과 제품 및 서비스 특성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구독경제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동기는 기능적, 유희적 경제적 동기로 나타났으며, 플랫폼 특성요인 중 플랫폼 최신성과 서비스 특성요인 중 편의성, 경제성, 인지된 개인화가 영향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이용의도에는 기능적, 유희적 동기와 편의성이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였으며, 사회적 동기는 부적 영향력을 보였다. 또한 경제적 동기와 플랫폼 최신성, 경제성, 인지된 개인화는 구독경제 서비스 만족도를 매개하여 지속이용의도에 긍정적 영향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