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TIVE SHOOTS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2초

Adaptation success of Zostera marina to a new transplant environment

  • Li, Wen-Tao;Lee, Kun-Seop
    • ALGAE
    • /
    • 제25권1호
    • /
    • pp.27-35
    • /
    • 2010
  • Marked declines in seagrass meadows are increasingly being reported from coasts around Korea and many regions of the world. The transplantation of seagrasses has been attempted to mitigate and control their degradation from a range of anthropogenic factors. In this study, Zostera marina shoots, which were collected from a donor bed in Koje Bay, were transplanted in Jindong Bay in December 2004. In 2008, a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shoot morphology, growth, and reproduction strategy of Z. marina was carried out between the donor and transplant sites to assess their adaptation success. Shoot height, individual shoot weight, and leaf productivity at the transplant site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at the donor site. However, below-/aboveground tissue ratio was significantly lower at the transplant site compared to the donor site. Z. marina survival was maintained through vegetative reproduction, while peak season for lateral shoot recruitment was late winter for both donor and transplant site populations. However, vegetative reproduction mainly occurred during late winter and spring at the transplant site, whereas lateral shoots were evident across all seasons except late spring in the donor site. More pronounced seasonal variations were found at the transplant site compared to the donor sit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Z. marina populations at the two sites possess distinct phenotypic variations induced by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Z. marina transplants have adapted well to the new transplant environment.

Phenology of Zostera caespitosa in Tongyeong on the coast of Korea

  • Yoon, Joon-Sik;Kim, Nam-Gil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3호
    • /
    • pp.121-128
    • /
    • 2021
  • The variations of morphological features, density and biomass of vegetative shoots and characteristics of reproductive shoots of Zostera caespitosa were examined in Tongyeong, Korea. 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leaf length, width and sheath length of Z. caespitosa showed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 (p < 0.001). The highest aboveground value was recorded in late spring to summer and the lowest value in winter. Density and biomass also showed seasonal variations. Annual average shoot density and biomass of Z. caespitosa were recorded as 1,223.4 leaf m-2 and 5,956.9 g w.w.m-2, respectively, and had the highest value in June and lowest values in November and January. Reproductive shoots were observed from April (13℃) to June (21℃). Pistils erected outside sheath, anther dehiscing and small embryos were found in April. Mature fruit and released seeds were found in May and Ju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species had a high growth rate in late spring and early summer (15℃-20℃). Reproductive shoots of Z. caespitosa may initially appear at about 10℃ in spring and seed have been released at about 20℃ in fall.

In vitro Formation of Tuberous Roots from Root Ends in the Rooted Tuberous stem without shoots in Cyclamen persicum MILL.

  • Lim, Jong-Gu;Junzo, Fujigaki
    • Plant Resources
    • /
    • 제7권3호
    • /
    • pp.222-225
    • /
    • 2004
  • In Japan, propagation of cyclamen is mainly from seedlings. However, seeds are expensive and germination is slow and non..uniform. Therefore, to achieve genetically uniform propagation, multiplication must be vegetative. The rooted tuberous stems without shoots as sources of explants were cultured on the media containing BA and sucrose. After 30 days cultivation, tuberous roots were produced from the root ends attached to a tuberous stem and its capability was dependent on the type of media. The highest percentage of tuberous root formation was observed in Culture on the medium of 1/3 MS containing 0.05mgL$^{-1}$ NAA, 0.5mg L$^{-1}$ BA and 5% sucrose. Growth rates of the tuberous root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cutting positions of a root in explants. The highest growth of was observed if small amount of root end was cut at initiation of tissue culture.

  • PDF

동해 덕산항에 생육하는 포기거머리말(Zostera caespitosa Miki) 군집의 생물계절학과 형태 변이 (Phonology and Morphometrics Change of Zostera caespitosa Miki Populations at the Duksan Port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 이상룡;이성미;최청일
    • 환경생물
    • /
    • 제20권4호
    • /
    • pp.339-346
    • /
    • 2002
  • 동해 덕산항에 생육하는 포기거머리말(Zostera caespitosa Miki)군집의 생물계절학과 형태 변이를 1998년 3월부터 2000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포기거머리말의 형태적인 형질(식물체 길이, 잎 길이, 엽초 길이, 잎 너비와 잎 수),생식 형질(불염포, 육수화서와 종자)의 수와 크기, 생육밀도, 생물량과 이화학적 특성 (수온, 영양염 농도)을 관측하였다. 형태적인 형질은 엽초를 제외하고 계절에 따라 유의한 차이 (p<0.05)를 나타내었다. 식물체길이는 수온에 따라 명확한 년 순환을 나타내었다. 영양지는 지속적으로 출현하였으나 생식지는 1월 중순부터 4월초까지 적은 수만이 출현하였다. 포기거머리말의 개화기는 2월 중순부터 시작되었으며, 4월초에 성숙한 종자가 출현하였다. 해수내의 질산염과 인산염의 농도는 계절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암모니아의 농도는 계절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식물체의 형태적인 형질과 이화학적인 형질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포기거머리말 생식 단계와 생활사는 수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덕산항에서 포기거머리말군집의 생육밀도와 지상부 생물량은 각각 $511.6\pm{25.6}\;shoots\;m^{-2}$$413.4\pm{19.8}\;g\;dry\;wt\;m^{-2}$로 추산되었다.

In vitro Organogenesis and Propagation of Heloniopsis orientalis Thunb

  • Jong-Woo Nam;Yoon-Kyung Choi;Kyeong-Mi Cho;Young-Been Kim;Sung Hwan Yim;Kee Hwa Ba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9권3호
    • /
    • pp.150-154
    • /
    • 2023
  • Heloniopsis orientalis (Liliaceae) is an important horticultural crop native to Korea. Under natural conditions, germination is poor and plant growth is delayed. Therefore, we have developed a vegetative propagation method to produce plants with vigorous growth characteristics via tissue culture. The regenerated shoots were then initiated directly from leaf explants on an MS medium containing either 0.5 to 2.0 mg/L 2,4-D or 1.0 to 3.0 mg/L BA. Healthy plantlets with adventitious roots were formed o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1.0 mg/L BA (81%). BA triggered callus initiation without caulogenesis or rhizogenesis, and callus formation was better on the half-strength MS medium than on the full-strength medium. This in vitro propagation protocol will be useful for conservation, as well as for mass propagation.

크림손클로버, 헤어리베치, 호밀 추출물이 몇 가지 작물의 종자 발아와 유근 생장에 미치는 allelopathy 효과 (Allelopathic Effects of Crimson Clover, Hariy Vetch and Rye on Germination and Radicle Elongation of Several Crops)

  • 이지현;이병모;전승호;정종일;김민철;심상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1-379
    • /
    • 2010
  • 피복작물의 생육 단계에 따른 allelopathy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각 피복작물의 영양생장기, 개화기, 결실기에 채취한 시료로 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해 콩, 무, 유채, 상추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콩과 무에서는 각 피복작물 추출물의 처리구에서 발아율에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유채에서는 크림손클로버의 개화기 20% 추출물, 헤어리베치의 영양생장기, 개화기, 결실기 20% 추출물, 호밀의 영양생장기 20% 추출물들에서 20% 이상의 발아 억제가 나타났으며, 상추는 영양생장기의 크림손클로버와 헤어리베치의 20% 추출물 처리에서 발아세가 낮게 나타났다. 피복작물의 영양생장기 추출물에서 유근 생장 억제율이 가장 높았으며 $GR_{50}$ 값도 낮게 나타났다. 피복작물 추출물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도 영양생장기 때 가장 높았고, 결실기로 생육이 진전되면서 감소되었다. HPLC 분석 결과 크림손클로버 추출물에서 검출 된 p-hydroxybenzoic acid를 제외한 나머지 phenolic acid 함량들은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과 다른 경향을 보였으며, 헤어리베치 추출물에서는 coumarin, 호밀 추출물에서는 BOA와 caffeic acid를 제외한 나머지 물질들이 개화기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그러나 크림손클로버와 호밀 추출물에서 분석 물질들의 총 함량은 영양생장기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초종간 상호교잡에 의한 Genetic Tumor의 유도 및 Teratoma Shoot의 특성 (Formation of Genetic Tumor and Characteristics of Teratoma Shoot from Tobacco Interspecific Reciprocal Hybrids)

  • 양덕춘;윤의수;최광태;이정명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5-139
    • /
    • 1998
  • 연초 N. glauoa(2n=24)와 N. langsdorffii(2n=18)의 종간상 호교잡에 의하여 종간잡종을 획득하였다. N. glauca $\times$ N. langsdorffii 교잡에서는 100%의 F$_1$ 종자를 획득할 수 있었으나, N. langsdorffii $\times$ N. glauca교잡에서는 종자결실이 극히 불량하였다. 그러나 종자 발아율은 모두 양호하였으며, 정상 식물체로 생장하였다. F$_1$식물체의 chromosome수를 조사한 결과 모두 2n=21개로 종간잡종임이 확인되었으며, 엽병의 존재여부 및 형태, 잎의 형태, 꽃잎의 형태와 색깔 및 크기, 화분의 색깔 등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종간잡 종임을 재차 확인 할 수 있었다. F$_1$잡종식물체에서는 spontaneous tumor인 genetic tumor가 형성되었으며, N. glauca을 모본으로 한 교잡체에서는 생식생장기부터 형성되었고, N. langsdorffii을 모본으로 한 잡종체에서는 생식생장기 이후에만 형성되었다. 특히 genetic tumor 조직을 기내에서 식물호르몬 무첨가 배지에서 배양할 경우 생장이 매우 왕성하였으며 많은 teratoma shoot를 형성하였다. 또한 genetic tumor 조직이 아닌 일반 F$_1$식물체의 잎과 줄기절편도 식물호르몬 무첨가 배지에 접종되었을 때에도 15일경부터 callus가 왕성히 형성되었으며, 30일경부터는 수많은 teratoma shoot가 형성되었다. 식물호르몬 무첨가배지에서 잡종체의 teratoma shoot 형성은 N. langsdorffii $\times$ N. glauca 보다 N. glauca $\times$ N. langsdorffii가 더 양호한 경향을 보였다. Teratoma shoot 중에서는 뿌리는 가지고 있지 않지만 지상부가 정상적으로 자란 shoot를 절취하여 다시 조직배양 할 경우에는 영양생장기에 배양잡종식물체에서 많은 genetic tumor가 형성되었다.

  • PDF

슬래쉬소나무의 화아원기(花芽原基) 형성(形成)의 생리학적(生理學的) 연구(硏究)(I) 당년지(當年枝)의 형태(形態)와 자화(雌花)의 착화(着花)와의 관계(關係) (Physiology of Strobilus Initiation in Slash Pine I. Ovulate Strobilus Production in Relation to Shoot Morphology)

  • 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1-28
    • /
    • 1980
  • 채종원(採種園)에서 18년생(年生) 접목묘(接木苗)인 슬래쉬 소나무를 대상(對象)으로 하여, 구과형성(毬果形成)과 가지의 형태학적(形態學的)인 상관관계(相關關係)를 조사했다. 춘기(春期)에 조사한 지당(枝當) 자화수(雌花數)와 상관관계가 가장 큰 것은 전년도(前年度) 신초지(新梢枝)의 지당(枝當) 엽중량(葉重量)이었다. ($R^2=+0.41$). 웅화수(雄花數)는 신초지(新梢枝)의 엽중량(葉重量)과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여주었다. ($R^2=-0.21$). 웅화(雄花)에서 자화(雌花)로의 성전환(性轉換)은 그 가지의 생장력(生長力)(vigor)이 증가함에 따라서 촉진(促進)되었다. 자화(雌花)가 거의 착화(着花)되지 않는 개체목(個体木)의 토부수관(土部樹冠)에서 채취(採取)한 정아(頂芽)와, 자화(雌花)나 웅화(雄花)가 대량(大量)으로 착화(着花)한 개체(個体)의 정아(頂芽)로, 유관속 조직의 생장(生長)을 비교(比較)한 결과, 전자(前者)가 후자(後者)보다 훨씬 빨랐으며, 이는 자화(雌花)를 생산(生産)하지 않는 정아(頂芽)는 강(强)한 영양생장(營養生長)의 경향(傾向)을 나타냄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 PDF

음나무(Kalopanax pictus Nakai)의 종자번식 및 녹지삽목 번식기술 (Seed Germination and Softwood Cutting Technique of Kalopanax pictus Nakai)

  • 용영록;이문호;김병섭;김학기;김종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3-59
    • /
    • 2001
  • 본 연구는 음나무의 대량증식을 위한 실용적인 실생번식과 녹지 삽목 기술을 개발하고자 실시 하였다. 실생 번식을 위한 노천매장과 1$0^{\circ}C$ 후숙처리는 1주이내에 배의 크기를 3mm이상 유도하였고 발아율은 대조구에 비해 노천매장과 1$0^{\circ}C$에서 후숙된 종자에서 70%이상 높게 나타났다. 녹지 삽목 실험에서 는 삽수의 모수령이 발근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1년생 삽목묘 신초를 삽수로 사용한 것이 68.9%의 발근율로 가장 높고, 모수의 수령이 유령일수록 발근율이 높고, 반면 수령이 증가할수록 발근 능력이 감소하였다. 삽목 시기별 발근 실험에 있어서 1차 생장한 6월 13일 삽목한 삽수가 68.9%로 발근율이 가장 높아 6월중순이 삽목 적기였다. 식물생장조정제 종류 및 농도별 처리에서는 IBA 1000mg.L$^{-1}$ 농도에서 30분간 침적했을 때 발근율이 70%, NAA 1000mg.L$^{-1}$에서 66.7%의 순으로 2000mg.L$^{-1}$ 30초, 500mg.L$^{-1}$ 10시간 처리구 보다 발근율이 높게 나타났다.

  • PDF

Effect of Nitrogen and Silicon Nutrition on Bioactive Gibberellin and Growth of Rice under Field Conditions

  • Hwang, Sun-Joo;Hamayun, Muhammad;Kim, Ho-Youn;Na, Chae-In;Kim, Kil-Ung;Shin, Dong-Hyun;Kim, Sang-Yeol;Lee, In-Jung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281-286
    • /
    • 2007
  • Gibberellins are growth hormones that play a pivotal role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lants. Present investigations were carried to check the effect of nitrogen(N) and silicon(Si) on bioactive $GA_1$ and its immediate precursor $GA_{20}$ at different growth stages of two rice cultivars with different maturity traits. It was observed that the endogenous bioactive $GA_1$ level gradually increased during vegetative stage and anthesis stage of both Junghwabyeo(early flowering cultivar) and Daesanbyeo(late flowering cultivar). However, the $GA_1$ and $GA_{20}$ content start decreasing during the seed filling stage in both rice cultivars, which indicated a possible relationship of bioactive $GA_1$ and floral development. Our results also confirmed that early 13-hydroxylation pathway was operated at all developmental stages of rice plant. Variation in the levels of the endogenous gibberellins in rice shoots were measured by GCMS-SIM using $^2H_2$-labeled gibberellins as internal standards. Combined application of N and Si enhanced growth parameters and reduced lodging index of both rice cultivars. It was thus concluded that the level of physiologically active $GA_1$ increased during vegetative and early reproductive stage, but starts declining at seed filling sta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