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acuum packer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Establishment of Shelf-life of Vacuum Packaged Pork Loins for exporting to Japan (대일 수출용 진공포장 냉장등심의 유통기한 설정)

  • 이무하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18 no.2
    • /
    • pp.115-124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vestigate hygienic conditions of domestic packing plant for export and the shelf-life by Japanese standards. vacuum packaged chilled port loins provided by five packers(A, B, C, D and E) were transported to Japan in the same condition, Four packers(A, B, C adn d) produced the samples as hygienic as possible and one packer produced loins in the traditional hygienic condition, In TTC(2,3,5-triphenyl tetrazolium chloride) test all samples showed the negative reaction from the date of the quarantine(14 days after slaughtering) to 50 days The numbers of total plate count(TPC) of A, B, C and D packers that were below 108CFU/g until 50 days were accepted by Japanese Standards but TPC of E packer was over 107CFU/g at 30 days. VBN values increased sig-nificantly(P<0.01) in samples of A,B and D packers in the samples of C packer and E packer at 5% and 0.1% level respectively. The pH values of the vacuum packaged chilled pork for export at 14 days after slaughtering were 5.43∼6.00 In sensory evaluation, A, B, C and D packers which improved hygi-enic condition produced the products with good color and appearance. low drip until 40 days storage at $0^{\circ}C$ But as the storage time increase off-flavor occured at 40days in A and D packer and at 50days in B and C packer. 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of microbiologic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evalution the edible periods of Korean vacuum package chilled porks may be estimated to 40∼50 days for the packers who improved hygienic condition and the shelf lives were calculated as 32∼40 days from edible period by a factor of 0.8(safety coefficient) while that of the pork from E packer which was produced in the traditional hygienic condition was estimated to 30 days after slaughtering at $0^{\circ}C$ Therefore the shelf-life of the pork of E packer would be only 24 days.

  • PDF

Development of a Continuous Auto Vacuum Packer Using Vacuum Prototyping -Kinetic Analysis- (Virtual Prototyping을 이용한 연속식 자동진공포장기 개발 -기구학적 분석 -)

  • 엄천일;정종훈;이종욱;이갑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2a
    • /
    • pp.118-124
    • /
    • 2003
  • 최근 농산물 시장의 개방에 따라 외국의 값싼 농산물이 지금 우리 유통시장에서 점차적으로 많이 판매되고 있다. 우리 농가의 생산소득을 높이기 위해서 경쟁력이 높은 고품질의 농산물이 생산되어야만 한다. 특히, 지금 우리나라 쌀 시장이 2004년에는 완전 개방되므로 이에 대비해서 쌀의 고품질화 및 특수미 개발로 우리 쌀의 국내소비량 및 국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최근에 국내에서 여러 가지 특수미가 유통 및 판매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배아미, 영양강화미, 발아현미, 무세미, 기능성 쌀 등을 들 수 있다. (중략)

  • PDF

Modeling, Simulation and Development of an Automatic Vacuum Packer for Rice Using Functional Virtual Prototyping (기능적 가상 시작기 기술을 이용한 자동 벨 진공포장기의 모델링, 시뮬레이션 및 개발)

  • Yan, T.Y.;Chung, J.H.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9 no.3
    • /
    • pp.233-242
    • /
    • 2004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자동 쌀 진공포장기의 3차원 기능적 가상시작기 모델을 개발하여 포장기의 구동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고자 하였다. 개발한 3차원 가상시작기는 주로 압축판부, 테이프부착부 및 진동판부로 구성되었다. 가상시작기의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제품포대의 두께변수를 이용하여 3차원 가상시작기를 파라미터화하였다 자동 진공포장기의 최대 처리능력 6포/분, 포대규격: 45cm${\times}$35cm을 충족하기 위해 각 주요부를 구동하는 모터 작동제어로직(motion control function)을 적절하게 설계하였다. 설계한 작동제어로직에 의하여 각 모터를 구동할 때 필요로 하는 적정 동력은 각각 100W, 25W 및 90W로 결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 진공포장기의 실제 시작기를 제조한 후 설계한 작동제어로직을 각 구동모터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검증하였다. 개발한 3차원 가상시작기 모델을 시뮬레이션하여 선정한 모터들은 각 주요부를 원활하게 구동할 수 있었다. 제안한 작동제어로직은 주요부의 요구된 작동 시권스를 만족시켰으며 이때 자동진공포장기의 처리능력은 6.7 포/분이었다. 개발한 자동 쌀 진공포장기의 포장성공률은 92.6%이었다.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n Automatic Vacuum Packer (자동진공포장기의 개발 및 성능평가)

  • 엄천일;정종훈;이갑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7a
    • /
    • pp.259-266
    • /
    • 2003
  • 2004년 쌀 시장개방을 대비하고 갈수록 높은 소비자의 구미요구에 맞은 고품질 쌀을 생산하기 위하여 특수미 및 영양미의 생산이 시급하다. 더 나아가 우리 농가의 생산소득을 높이기 위해서 경쟁력이 강한 고품질의 농산물이 반드시 개발되어야 한다. 최근에 국내에서 여러 가지 특수미가 유통 및 판매되고 있다. 예를 들자면, 배아미, 발아현미, 무세척미, 기능성 쌀 등을 들 수 있겠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an Automatic Packer Using Vacuum Packaging and its Effects on the Rice Quality

  • Yan, T.Y.;Chung, J.H.;Rhee, C.O.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9 no.2
    • /
    • pp.131-14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배아미, 현미, 가능성쌀들 및 진공을 요하는 식품의 품질을 보존하기 위해서 연속식 자동진공포장기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다. 배아미의 진공포장 성공률은 92.6%이었고, 실패율 7.4%에서 진공포장기 자체에서 불완전 테이핑의 밀봉작업으로 진공이 서서히 풀리는 경우가 5.5%, 그리고 진공하기 전 자동비닐포장기에서 포장시 봉지 윗부분 밀봉이 불완전해 1.9%가 진공이 풀렸다. 이에 개발한 자동진공포장기의 진공포장성공률은 약 94.5%수준이었다. 진공포장기로 진공시간에 따른 진공압력을 측정하였고, 배아미 2, 3, 5 kg를 진공포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각각 6, 8, 11초이었다. 진공포장으로 처리한 배아미와 진공포장 처리하지 않은 배아미를 각각 3재월간 저장실험하여 백도, 함수율, 과산화물가, 산가를 저장기간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백도는 진공처리가 2 감소, 비처리가 4 감소하였고, 함수율은 진공처리가 0.8%감소, 비처리가 1.3%감소, 과산화물가는 진공처리가 최대 1.89 meq/kg까지 서서히 증가하였고, 비처리가 3.45 meq/kg까지 급속히 증가하였다가 서서히 감소하였다. 산가 역시 진공처리가 최대 0.71 mg/g까지 서서히 증가하였고, 비처리의 경우는 0.98 mg/g까지 급속히 증가하였다. 그리고 현미의 진공포장에서도 산가 및 과산화물가 변화가 배아미 경우와 비슷하였다. 또한 진공포장 제품에 인위적으로 쌀벌레들을 넣은 경우 15일 지나면 산소부족으로 모두 사멸하였다. 따라서 개발한 진공포장기로 진공포장한 경우 배아미 및 현미의 품질을 잘 보존할 수 있었다.

Storag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cuum-Packaged Fresh Meat with Oxygen Barrier Second-Heat-Seal Film or Shrink Film (산소차단성 융착필름과 수축필름에 진공포장된 생육의 품질 특성과 저장성 비교)

  • 이근택;윤찬석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21 no.3
    • /
    • pp.235-245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Second-Heat-Seal film(SHS) as an alternative material to PVDC/EVA shrink film(VSP) being currently used by domestic meat packer for vacuum-packaging of fresh meat. The samples from pork loin and beef striploin and round were stored at 2$^{circ}C$ for 5 weeks and measured for the changes of microbial counts, color, pH, volatile basic nitrogen(VBN), purge loss and sensory parameters. The pork loins packed with SHS showed higher spermine contents during the whole storage period at 2$^{circ}C$, and lower counts in total microbes and lactic acid bacteria after 28 days storage at 2$^{circ}C$ than those packed with SHS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packed with VSP over the storage time. Nevertheles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wo packaging treatments in the other quality parameters evaluated.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SHS film might have a possibility to substitute for VSP film for vacuum-packaging of fresh meat at least from a materials point of view.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