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netian blind louver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차양식 방화루버의 화염 및 온도 전파 억제 특성 (The Flame and Distributed Temperature Restraint Properties of Fire Venetian Blind Louver in Buildings)

  • 채영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20-127
    • /
    • 2015
  • 이 연구는 화재시 수직화염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차양식 방화루버의 실용화 및 설계기법 개발에 관한 일련의 연구로써 구조물에서 화염 억제 특성을 해석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고 실험을 통해 해석기법의 검증과 차양식 방화루버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 방화루버의 수직화염 억제뿐만 아니라 열전달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2개의 실대형 실험을 계획하였다. 실험체는 전체 $3m{\times}3m$의 시험체 중 $850mm{\times}1,800mm$의 개구부를 두고 상부에 실험용 방화루버 ($900mm{\times}900mm{\times}175mm$)를 설치하였으며, 건설기술연구원에서 ISO834 화재하중 규모로 1시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변수는 방화루버의 두께로 1.5mm, 2.0mm로 설정하였다. 실험결과 차양용 방화루버는 상부의 수열온도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화재하중 가력 초기에서 6분 (로내 온도 $600^{\circ}C$)에서 우수한 차열성능을 나타냈다. ISO 834 화재하중 60분에서 방화루버 상부 500mm, 800mm 위치의 수열온도는 루버 두께에 상관 없이 각각 로내 온도 대비 11, 10%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화재발생 후 상부층으로 화염 전파 억제 및 온도 전달 제어 측면에서 차양용 방화루버는 유효한 방안 중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베네치안 블라인드의 슬래트 각도변화가 건물의 냉난방 부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the Heating and Cooling Load of Building by Slat Angle Variation of Venetian Blind)

  • 조성환;신기식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171-183
    • /
    • 1995
  • Generally, among many kinds of shading devices such as venetian blind, sunscreen, louver and curtain, venetian blind is using widely because the mechanism is so simple and easy to use solar insolation by controlling the slat angle. Analysis of time dependent heat transfer through the window with venetian blind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use it effectivly. Therefore, in this study, theoretical thermal analysis method was developed to analyze time dependent heat transfer through a double pane window with and without venetian blind, and was made one module of TRNSYS(A Transient Simulation Program)program. By this way, it was analyzed that how much the variation of slat angle, slat colour and slat absorptivity of venetian blind would be affected on the heating and cooling load of building, and also which colour and angle of slat was optimal for the heating and cooling load of building.

  • PDF

학교 건물에서 외부 차양 장치 유형에 따른 일반교실 내 빛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aylighting Environment in Classroom of an School Building Due to the External Shading Devices)

  • 임재한;정진주;이지영
    • 교육시설
    • /
    • 제15권2호
    • /
    • pp.4-1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daylighting environment in classroom of an school building due to the external shading devices such as fixed louvers, light shelves and exterior venetian blinds. In this study, we have made a field research with regard to the facade design in classroom of an school building. And we have made a classification of external shading devices considering the design parameters. Finally, through RADIANCE simulation, we have calculat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illuminance, uniformity ratio of illuminance and daylight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uilding designer with the basic daylighting performance data at early design stages.

복층유리 격자루버시스템의 주광특성에 관한 시뮬레이션 평가 (Evalu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Daylight Distributions of Grating Louver System in a Pair Glass by Computer Simulation)

  • 박병철;최안섭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1-9
    • /
    • 2009
  • 최근 실내에 유입된 주광을 활용하여 인공조명의 에너지를 절감하는 광센서 조광제어시스템에 관한 연구는 유용한 주광의 유입을 위한 자동 차양장치와의 통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연구는 자동 롤러쉐이딩시스템과 베니션블라이드에 관한 연구로, 이 두 시스템은 주광의 입사를 수직적으로 계산한 일영각을 기준으로 차양장치의 높이 및 각도를 계산하여 제어하고 있다. 본 연구는 광센서 조광제어시스템과 연동을 위한 새로운 차양장치로 주광의 유입을 수직 수평으로 제어하는 복층유리 격자루버시스템을 제안하고, 창면의 위치에 따른 루버의 간격을 산출하였으며,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격자루버시스템의 주광유입특성을 분석하고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