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rtual Bitmap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Bit-map-based Spatial Data Transmission Scheme

  • OH, Gi Ou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8호
    • /
    • pp.137-142
    • /
    • 2019
  • This paper proposed bitmap based spatial data transmission scheme in need of rapid transmission through network in mobile environment that use and creation of data are frequently happen. Former researches that used clustering algorithms, focused on providing service using spatial data can cause delay since it doesn't consider the transmission speed. This paper guaranteed rapid service for user by convert spatial data to bit, leads to more transmission of bit of MTU, the maximum transmission unit. In the experiment, we compared arithmetically default data composed of 16 byte and spatial data converted to bitmap and for simulation, we created virtual data and compared its network transmission speed and conversion time. Virtual data created as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and skewed distribution to compare difference of reading time. The experiment showed that converted bitmap and network transmission are 2.5 and 8 times faster for each.

IEEE 802.11b에서 가상비트맵을 제어하는 저전력 무선 접속 기법 (Low Power Wireless Interfacing Scheme Controlling Virtual Bitmap in IEEE 802.11b)

  • 송명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1A호
    • /
    • pp.65-71
    • /
    • 2006
  • IEEE 802.11b 무선 네트워크에서 스테이션들이 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때, 액세스 포인트(AP)가 주기적으로 비콘(beacon)을 전송하여 스테이션들을 관리한다. 비콘을 수신한 후 스테이션들이 전송매체에 대해 경쟁하고 전송매체가 이용 가능할 때까지 전송매체의 상태를 계속해서 검사한다. 따라서 각 스테이션에서 에너지 소모는 무선 네트워크의 부하에 따라 증가한다. 이 논문에서 다수의 스테이션들이 있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가상비트맵을 제어하여 스테이션에서 에너지 소모를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IEEE 802.11b 무선 인터페이스의 저전력 모드의 문제점이 설명되었고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제안되었다. 네트워크 시뮬레이터인 ns2를 이용하여 제안된 방법에 대해 모의실험이 수행되었고 IEEE 802.11b의 저전력 모드와 비교했다. 스테이션이 깨어있는 시간으로 측정된 결과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스테이션들이 AP를 경유하여 통신이 이루어질 때 에너지 소모가 개선되는 것을 보여준다.

Bitmap Intersection Lookup (BIL);A Packet Classification's Algorithm with Rules Updating

  • Khunkitti, Akharin;Promrit, Nuttachot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767-772
    • /
    • 2005
  • The Internet is a packet switched network which offers best-effort service, but current IP network provide enhanced services such Quality of Services, Virtual Private Network (VPN) services, Distribute Firewall and IP Security Gateways. All such services need packet classification for determining the flow. The problem is performing scalable packet classification at wire speeds even as rule databases increase in size. Therefore, this research offer packet classification algorithm that increase classifier performance when working with enlarge rules database by rearrange rule structure into Bitmap Intersection Lookup (BIL) tables. It will use packet's header field for looking up BIL tables and take the result with intersection operation by logical AND. This approach will use simple algorithm and rule structure, it make classifier have high search speed and fast updates.

  • PDF

멀티 비트 트리 비트맵 기반 패킷 분류 (A Multibit Tree Bitmap based Packet Classification)

  • 최병철;이정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3B호
    • /
    • pp.339-348
    • /
    • 2004
  • 패킷 분류근 인터넷 망에서 QoS(Quality of Service)보장, VPN(Virtual Private Network)등과 같은 사용자들의 다양한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패킷 헤더는 기본적으로 IP(Internet Protocol) 패킷 헤더 내의 목적지 주소뿐만 아니라 발신지 주소, 프로토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포트 번호 등 여러 필드들을 조합하여 룰 테이블로부터 best matching 룰을 찾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 비트 트라이 구조의 트리 비트맵을 이용하여 하드웨어적인 룰 검색이 가능한 패킷 분류 기법을 제안한다. 검색 대상 필드 및 패킷 분류 룰을 구성하는 프레픽스를 비교 단위가 되는 일정한 비트 크기의 멀티 비트로 나누고, 이와 같이 구분된 멀티 비트 단위로 트리 비트맵 기반의 룰 검색 기능을 수행한다. 제안한 기법은 프레픽스의 일정한 상위 비트들에 대해서는 인덱싱 키로 사용하여 룰 검색을 위한 메모리 액세스 횟수를 줄이도록 하였다. 또한 룰 검색시 성능 저하를 초래하는 백트랙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룰 테이블 구축시 마커 프레픽스에 대한 처리 기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IPMA(Internet Performance Measurement Analysis) 프로젝트에서 제공하는 라우팅 테이블의 프레픽스들을 이용하여 2차원 즉, 목적지 주소와 발신지 주소의 2필드로 구성되는 랜덤 룰 셋을 생성하고 제안한 기법에 대한 메모리 소요량 및 성능 비교를 하였다.

증강현실을 이용한 전력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 교환 기법 설계 (Design of Data Exchange Technique for Power Facilities Monitoring using Augmented Reality)

  • 김동현;김석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6-22
    • /
    • 2020
  • 개인 전력 생산자 및 기반 지식이 부족한 비전문가의 경우 EMS(Energy Management System)을 통해 시설을 제어, 관리, 운영하기 어렵기 때문에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적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시스템들은 센서에서 수집된 아날로그 신호 값에 대한 컬럼 값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컬럼들을 결합한 후 데이터를 변환하는 과정으로 인하여 데이터 엑세스 효율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다양한 아날로그 신호 파형에 대한 액세스 패턴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인덱스들로 인하여 고속 연산 처리가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력설비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비트맵 생성기(Bitmap Generator)를 비-트리 구조에 삽입하여 물성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정보를 공통 키로 암호화하여 각 기기 사이에서 공유되는 리소스에 대한 자원을 계측적으로 제어하는 증강현실 기반 전력시스템의 데이터 교환방법을 제안한다.

그래픽 분할 실행 환경에서 가상 비트맵 관리 방법 (A Method of Virtual Bitmap Management for Graphic Separated Software Execution Environment)

  • 양경아;최지훈;김원영;정문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09-311
    • /
    • 2012
  • 최근 데스크탑 가상화 서비스와 관련한 솔루션들이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들 솔루션은 클라이언트의 수가 늘어날수록 서버의 부담이 커지며, 특히 3D 그래픽을 지원하는 고사양의 SW 를 지원하기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서버에서 데이터 집중적인 작업을 실행하고, 클라이언트 PC 에서는 그래픽 처리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작업을 분담하여 실행하는 서버 기반 그래픽 분할 실행 기술[4]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그래픽 분할 실행 기술을 개발하는데 있어 이미지 비트맵 관련 함수가 실행되었을 때 나타나는 비트맵 불일치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백업 비트맵을 이용한 가상 비트맵 관리 기법을 제안하여 궁극적으로 분할 실행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자 한다.

주거환경분석시스템의 CAD 시스템 통합을 통한 공동주택단지설계 시 일조 및 조망분석에 관한 연구 (The Analysis of View and Daylights for the Design of Public Housing Complexes Using a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System Integrated into a CAD System)

  • 박수훈;유정원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37-145
    • /
    • 2007
  • This paper concerns about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program implementation for design and analysis on public housing complexes such that view and daylight analysis processes are automated and integrated into existing design routine to achieve better design efficiency. Considering the architectural design trends this paper chooses ArchiCAD as a platform for a CAD system, which contains the concepts such as integrated object-oriented CAD, virtual building and BIM.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system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The first component is the 3D modeling part defining 3D form information for external geographic contour models, site models and interior/exterior of apartment buildings. The second is the parametric library part handling the design parameters for view and daylight analysis. The last is the user interface for the input/output and integration of data for the environment analysis. Daylight analysis shows rendered images as well as results of daylight reports and grades per time and performs the calculations for floor shadow. It separates the site-only analysis from the analysis of site and exterior environmental parameters. View analysis considers horizontal and vertical view angles to produce view image from each unit and uses the bitmap analysis method to determine opening ratio, scenery ratio and void ratio. We could expect better performance and precision from this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system than the existing 2D drawing based view and daylight analysis methods and overcome the existing one-way flow of design information from 3D form to analysis reports so that site design modifications are automatically reflected on analysis results. Each part is developed in a module so that further integration and extension into other related estimation and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s are made possible.

A Proposal of the Olfactory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Its Application for Scent Generator Using Web Service

  • Kim, Jeong-Do;Byun, Hyung-Gi
    • 센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49-255
    • /
    • 2012
  • Among the human senses, olfactory information still does not have a proper data presentation method unlike that regarding vision and auditory information. It makes presenting the sense of smell into multimedia information impossible, which may be an exploratory field in human computer intera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lfactory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which is a way to use smell as multimedia information, and show an application for scent generation and odor display using a web service. The olfactory information can present smell characteristics such as intensity, persistence, hedonic tone, and odor description. The structure of data format based on olfactory information can also be organized according to data types such as integer, float, char, string, and bitmap. Furthermore, it can be used for data transmitting via a web service and for odor display using a scent generator. The scent generator, which can display information of smell, is developed to generate 6 odors using 6 aroma solutions and a diluted solution with 14 micro-valves and a micropump. Throughout the experiment, we confirm that the remote user can grasp information of smell transmitted by messenger service and request odor display to the computer controlled scent generator. It contributes to enlarge existing virtual reality and to be proposed as a standard reference method regarding olfactory information presentation for future multimedia technology.

저전력 무선접속에서 비콘 탐색 (Search of Beacon in Low Power Wireless Interface)

  • 송명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4A호
    • /
    • pp.365-372
    • /
    • 2007
  • IEEE 802.l1b 무선 네트워크에서 스테이션들이 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때, 스테이션들은 액세스 포인트 (AP)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비콘(beacon)에 동기를 맞춘다. 잡음이나 이웃한 무선 네트워크의 트래픽으로 인해 비콘 수신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다음 번 비콘까지 깨어서 에너지를 소모하게 된다. 이 논문에서 에너지를 적게 소모하면서 다음 비콘을 탐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IEEE 802.l1b 무선 인터페이스의 저전력 모드에서 비콘 수신 장애 문제점이 설명되었고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한 새로운 탐지 방법이 제안되었다. 네트워크 시뮬레이터인 ns2를 이용하여 제안된 방법에 대해 모의실험이 수행되었고 IEEE 802.l1b의 저전력 모드와 비교했다. 스테이션이 깨어있는 시간으로 측정된 결과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프레임의 수신오류가 발생할 때 에너지 소모가 개선되는 것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