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cational High Schools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8초

직업교육 중심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현황 분석 - 대구·경북 전자계열 학과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Curriculum of Vocational Hish Schools - Focused on Electron-Related Departments of Daegu and Gyungsangbuk-do)

  • 박소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2호
    • /
    • pp.488-504
    • /
    • 2015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analyze and compare curriculum of vocational high schools. In order to complete the purposes, the method of curriculum document analysis was used. Analysis subjects are Meister high schools, Technical high schools and Electronic high schools operating electron-related departments in Daegu and Gyungsangbuk-do.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largely to educate professional men. The educational goals of vocational high school need to be improved in terms of high school's general educational goals and character education. Secondly, curriculum of vocational high schools consists of general subjects and specialized subjects and the rates of them vary according to region and school type. Thirdly, there were various general subjects by region and school type. Each school needs to organize the subjects to suit the progress of their students and graduates. Finally, there is a need to review the scope and sequence of specialized subjects.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성과 목표 우선순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erformance goal priority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all and Medium Business(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 이병욱;이상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61-78
    • /
    • 2018
  • 이 연구는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중요 정도와 수행 정도를 비교하고, IPA기법을 통해 두 집단의 성과 목표에 대한 우선순위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중요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수행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우선순위의 차이는 어떠한가?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교원들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는 '취업역량강화' 영역의 '학생의 현장적응력 제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교원들이 수행 정도가 높다고 인식하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는 '취업연계'영역의 '중소기업 취업 기회 확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성과 목표에서 우선순위를 두어야할 영역에 대해 교원의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중소기업 특성화고 마인드 제고'영역의 '중소기업에 대한 교원의 이해 증진', '특성화고에 대한 중소기업의 이해 증진'의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화고등학교 현장실습 사고와 건강문제 예방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Prevention of Acci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s)

  • 최은희;이미경;홍진의;정혜선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4-202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on field practice safety based on existing field practice data and accident cases regarding vocational high schools and apply them to identify their impact. Methods: The existing data, accumulated since 2010, on field practic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analyzed, and educational materials regarding field practices were developed by six experts. 195 students in three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surveyed before and after being taught with the materials. The survey asked about their knowledge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nd attitudes toward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harmful environments for field practic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physical, chemical, ergonomic, and emotional labor, and the consequences were accidents, death by overwork, musculoskeletal diseases, etc. The materials covered students' rights and how to respond to workplace accidents in the 1st round, how to organize a workshop in the 2nd round, workplace safety and health signs in the 3rd round,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n the 4th round, management of physical risk factors in 5th round,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s in 6th round, wearing and managing protective equipment in 7th round, first aid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 the 8th round, CPR and defibrillator in the 9th round, sexual harassment in the 10th round, and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in the 11th round. After completing the education, their knowledge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6.52 points to 7.01 point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first, to statistically organize the data on accidents that have occurred during field practic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second, to develop a systematic curriculum for high school 1st to 3rd graders on accidents that may happen during field practic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경기도 직업계고 제공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 실태 및 효과 분석 (Analysis of Real State and Effect of Assistance Activity for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by Gyeonggi-do Vocational High Schools)

  • 이찬주;현수;소준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2-9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에게 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부합한 직업계고 진학 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로교육 체계 구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경기도 중학생의 고등학교 진학 관련 정보 획득 방법, 일반고 및 직업계고에 대한 이해도와 정보 필요도, 직업계고 제공 진로교육 지원 활동 실태 및 효과(진로 선택 도움 정도)를 분석하는 것을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설문지를 개발하여 경기도 소재 중학교 627개교, 3학년 4,4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중학생의 고등학교 진학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1순위 인터넷 검색(42.0%), 2순위 가족 및 친구와 상담(25.5%), 3순위 선생님과 상담(24.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직업계고 진학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1순위 직업계고 운영 학교(학과)설명회(39.4%), 2순위 직업계고 견학(24.9%), 3순위 직업계고 교사와의 상담(15.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경기도 중학생의 진로 희망 유형별 고등학교 이해도(5점 만점)와 정보 필요도(5점 만점)는 일반고 진학 희망 학생의 경우, 이해도 3.65, 정보 필요도 3.67, 이해도와 정보 필요도의 차이는 0.02이고, 직업계고 진학 희망 학생의 경우, 이해도 2.92, 정보 필요도 3.25, 이해도와 정보 필요도의 차이는 0.33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기도 중학생의 직업계고 제공 진로교육 지원 활동에 대한 참여 실태는 전체 79.4%가 참여하고 있다. 이 중에서 참여 비율이 높은 활동은 직업계고 홍보 및 안내서(책자, 브로셔 등) 90.3%, 중학교 교실로 찾아오는 직업계고 학교설명회 87.8%, 직업계고 홍보 및 안내 동영상 시청 85.9% 등의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활동이 중학생에게 진로 선택에 도움을 주는 정도는 3.45이고, 도움을 주는 정도는 일반고 진학 희망 학생보다 직업계고 진학 희망 학생에게 0.13만큼 더 높게 나타났다.

직업기초역량으로서의 수리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보정 학습 프로그램 개발 (A Remedial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Mathematics Applying Abilities as one of Core Competencies)

  • 최승현;류현아;남금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655-674
    • /
    • 2013
  • 현재의 학업성취도 평가가 직업교육이 목적인 특성화고에 적절치 못하다는 현장의 요구를 수용하여 교육과학기술부(2012)는 2013년부터 특성화고 학생의 직업역량 강화를 위해 직업기초능력평가를 도입하기로 하였다. 이 평가의 결과는 인증서로 제공되어 취업 과정에 활용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신장시키고 나아가 이후 학생들이 직업 세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수학학습 지원 자료를 개발하는 데 있다. 특성화고 학생들은 수학 기초학력 부족으로 직업기초능력평가에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보여, 이 학생들의 잠재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수학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3학년까지 수학과 교육과정 지도 내용에서 이후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수리 활용 능력 학습 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내용 영역별 단계 및 하위 레벨을 구성하고, 해당 학습 요소를 구성하여 내용 영역별 학습 요소를 체계화하여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리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입학전형 실태: 학교의 학생 선발과 학생의 진학 결정 (The Practice of Vocational and Meister High Schools' Admission Selection and Students' School Choices Through Admission Process)

  • 백선희;이지영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1호
    • /
    • pp.1-22
    • /
    • 2017
  •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의 입학전형을 통하여 학교는 설립목적에 부합하는 학생을 선발하고 있는지, 학생은 자신의 적성, 흥미, 진로 등을 고려한 진학을 하고 있는지를 진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입학전형 과정을 홍보, 지원, 전형으로 구분하고 마이스터고 입학 담당 교사, 1학년 학부모,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진학률이 높은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중점 집단 면담(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홍보과정에서 학교는 성적 높은 학생을 모집하기 위한 홍보와 취업률 홍보에 중점을 둔 반면, 학생의 입장에서는 고등학교의 홍보 접근 기회의 불균형과 전공학과에 대한 정보부족이 발견되었다. 둘째, 지원과정에 있어서 학교는 여전히 성적을 중시하는데 반해 학생은 진로를 고려한 진학 결정을 시도하고 있었다. 셋째, 전형과정에 있어 학교의 입장에서는 특별전형과 일반전형으로 선발하는 학생이 차이가 크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학생의 입장에서는 성적이 조금 부족하다고 생각할 경우 특별전형이 일반전형에 비해 합격 가능성을 높일수 있는 기회로 활용하고 있었다.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입학전형이 보다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홍보활동의 형평성과 홍보 내용의 구체화, 학교단위의 선발 및 지원 방식에 대한 재검토, 성적 이외의 인성과 역량 등과 같은 다양한 전형요소의 평가 비중 조정, 적성과 흥미 및 진로를 고려한 의사결정을 위한 학생의 노력과 학부모 및 학교의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직업탐구영역 EBS 수능 연계 교재의 학교 현장 활용 형태와 활용 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The Qualitative Study on Application Types and Using Methodology of EBS-CSAT Prep Books of Vocation Education Division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 함승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6호
    • /
    • pp.1556-1568
    • /
    • 2015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quiry of application types and use methodology of EBS-CSAT prep books of vocation education division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Research participants are 8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and subjects are basic industry and basic drawing. The teachers had using EBS-CSAT prep books in class or after-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teachers used items explanation of after-school rather than regular classes using EBS-CSAT prep books of vocation education division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Online lectures were used for self-directed learning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rather than regular classes. Students and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needed EBS-CSAT prep books of vocation education division by free gift instead of EBS-CSAT prep books of Korea language, english, math.

청소년의 시간관리행동과 생활만족도: 인문계고, 특성화고, 평생교육시설 학생들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Management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among Students in Non-vocational High Schools, Vocational High Schools and Life-long Education Schools)

  • 남경애;고선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2권3호
    • /
    • pp.103-117
    • /
    • 2008
  • This study focuses on time management behavior, which differs in (1)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s and (2) the experience of education about time management. Also,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ime management behavior on life satisfaction of vocational and non-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also those who attend life-long education schools. The study sample consists of 367 teen-ag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experience of education about time management has a great effect on time management behavior. Students experiencing education about time management have higher scores in time management behavior than those who lack such experience. It also show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ime management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in non-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those attending life-long education schools.

  • PDF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 영역의 성과와 과제에 대한 수산·해운 전공 교사의 인식 (Recognition on the Achievements and Challenges of Vocation Education Division CSAT by Fisheries and Shipping affiliate Teachers)

  • 류대성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5호
    • /
    • pp.1479-1490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the fishery and maritime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n the outcomes and future agenda. In addition, it delineates the importance of the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being carried out for 10 years in the College Scholastic Achievement Test (CSAT). In order to gather relevant information, 76 teachers who work in 12 different fishery and shipping vocational high schools around the country were surveyed. The findings of the fishery and maritime department teachers' recognition on the matter are as follows: First, the biggest impact the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had was on the promotion of continuing education and on the fulfillment on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desire to compete and enter universities. Second, the CSAT with the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allowed students to choose a variety of paths after high school whether they be full-time employments or pursuing a degree in universities. Third, the biggest obstacle for the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is in the most metropolitan universities not honoring the CSAT scores as a criterion in the admission process.

전문계 고등학교 의상과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목표 및 내용에 관한 연구 (The Changes and Present Status of Education in Clothing Departments at Vocational High Schools)

  • 유혜자;정미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71-384
    • /
    • 2010
  •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educational system for the clothing departments at vocational high schools.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fashion industry, employment potential in the clothing department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s, numerical changes in the educational statistics, and curriculums were investigated by papers, reports, and statistic data. The statistic data were derived from the 'Center Educational Statistics and Information', 'School Information' (Hak-gyo Alimi),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s' and internet home pag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Technical service workers that graduate from clothing department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limited competitiveness in a thriving fashion industry field. Highly developed fashion industries require more professional workers in fashion design, fashion marketing, and fashion materials. Compared to 1994, when 35 classes were conducted in 5 vocational high schools, 69 classes are now conducted at 15 schools. They have over 2,000 students and produce over 600 graduates. However, 222 credits of the $1^{st}$ curriculum in 1958 went down to 82 credits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o complete the credits of clothing departments. The 15 courses of the 1st curriculum fell to 5 courses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on the number of major subjects. It is a fundamental problem that major courses in clothing education have been excessively reduced despite the demand for of highly specialized workers in the fashion industry. In the view of operating conditions of those schools, there were several problems such as the wide gaps in the curriculum, limited equipment, the supply of teachers, and counseling on the choice of college or a career. In conclusion, the following measures are required: 1) the increase of complement credits in major subjects and renovation of curriculum, 2) national substantial support to change the social circumstance concerning vocational education and occupational consciousness, 3) operation of credit approving systems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for students that have completed the same courses at vocational high schools, 4) designing realistic programs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cooperation systems with corporate enterpri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