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ice Assistanc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4초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혁신저항 요인 연구 - 모바일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 중심으로 - (A study on innovation resistance of voice user interface - With emphasis on mobile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ce service -)

  • 허즈에;자오즈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67-46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의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Voice User Interface, VUI) 사용에 있어서 혁신저항요인을 연구한다.

  • PDF

보이스피싱 발생 및 대응방안 (Voice Phishing Occurrence and Counterplan)

  • 조호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76-182
    • /
    • 2012
  • 보이스피싱(Voice Phishing)은 전화를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불법적으로 알아내어 이를 토대로 예금을 인출해가는 사기수법으로 피해사례들이 속출하면서 새로운 사회문제로 등장하였다. 그 피해의 대상은 선량한 일반 시민으로 무차별적으로 공략하고 있으며 주로 중국인 대만인 등 외국인들에 의해 저질러지는 범죄이다. 범죄의 착수가 우리나라 국경 밖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형태의 범죄유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이스피싱과 관련하여 현재의 발생실태와 사례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대응현황을 모색하고자 한다. 보이스피싱 관련 범죄는 지속적인 홍보와 단속에도 불구하고 범죄가 근절되지 않고 오히려 수법이 다양화 전문화 되면서 발전해 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향후 보이스피싱을 근절하기 위해서는 금융 통신 수사분야에서 문제점에 대한 대응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또한 신속한 수사의 착수와 수사관련 기법의 개발을 통해 경찰 단속활동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고, 국제 범죄적 성격을 보이고 있으므로 인터폴등 관련기관 및 국제공조협력이 강화되어야 한다.

Development of a Work Management System Based on Speech and Speaker Recognition

  • Gaybulayev, Abdulaziz;Yunusov, Jahongir;Kim, Tae-Hyong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89-97
    • /
    • 2021
  • Voice interface can not only make daily life more convenient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s but als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factory. This paper presents a voice-assisted work management system that supports both speech and speaker recognition. This system is able to provide machine control and authorized worker authentication by voice at the same time. We applied two speech recognition methods, Google's Speech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service, and DeepSpeech speech-to-text engine. For worker identification, the SincNet architecture for speaker recognition was adopted. We implemented a prototype of the work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voice control with 26 commands and identifies 100 workers by voice. Worker identification using our model was almost perfect, and the command recognition accuracy was 97.0% in Google API after post- processing and 92.0% in our DeepSpeech model.

대화형 음성 지원을 통한 지능형 검색 시스템 (Intelligent Retrieval System with Interactive Voice Support)

  • 문규진;우요섭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9-3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음성인식을 통해 상품검색을 도와주는 지능형 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음성인식과정에서 잘못 인식된 어휘를 자동으로 수정하기 위해 어휘간의 관계를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하는 시스템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스템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실험 결과 간단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음성인식이 잘못된 어휘를 바로잡아 상품검색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멀티모달 정보변환을 통한 시각장애우 보행 보조 시스템 (Walking Assistance System for Sight Impaired People Based on a Multimodal Information Transformation Technique)

  • 유재형;한영준;한헌수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465-472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 multimodal information transformation system that converts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voice information to provide the sight impaired people with walking area and obstacles, which are extracted by an acquired image from a single CCD camera. Using a chain-code line detection algorithm, the walking area is found from the vanishing point and boundary of a sidewalk on the edge image. And obstacles are detected by Gabor filter of extracting vertical lines on the walking area. The proposed system expresses the voice information of pre-defined sentences, consisting of template words which mean walking area and obstacles. The multi-modal information transformation system serves the useful voice information to the sight impaired that intend to reach their destination. The experiments of the proposed algorithm has been implemented on the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and verified its superiority to exactly provide walking parameters sentences.

화자 독립 방식의 음성 인식 칩 및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전동 휄체어의 구현 (Implementation of Motorized Wheelchair using Speaker Independent Voice Recognition Chip and Wireless Microphone)

  • 송병섭;이정현;박정제;박희준;김명남
    • 센서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0-26
    • /
    • 2004
  • For the disabled persons who can't use their limbs, motorized wheelchair that is activated by voice recognition module employing speaker independent method, was implemented. The wireless voice transfer device was designed and employed for the user convenience. And the wheelchair was designed to operate using voice and keypad by selection of the user because they can manipulate it using keypad if necessary. The speaker independent method was used as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in order that anyone can manipulate the wheelchair in case of assistance. Using the implemented wheelchair, performance and motion of the system was examined and it has over than 97% of voice recognition rate and proper movements.

박물관 안내를 위한 시나리오 기반의 AI 음성 챗봇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Scenario-based AI Voice Chatbot System for Museum Guidance)

  • 정선우;최은성;안선규;강영진;정석찬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1-102
    • /
    • 2022
  • 인공지능이 발전하면서 AI 챗봇 시스템의 활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예로 공공기관에서는 민원, 행정 분야에서 업무 보조, 전문지식 서비스 등으로 챗봇 활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으며 민간기업은 대화형 고객 응대 서비스 등으로 챗봇을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나리오 기반의 AI 음성 챗봇 시스템을 제안하여 박물관의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관람객에게 양방향성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현한 음성 챗봇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특정 디렉터리를 감시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는 감시자 객체와 음성 파일이 생성되면 순차적으로 모델별 추론을 수행하여 AI의 응대 음성을 출력하는 이벤트 핸들러 객체로 구성되며, 스레드와 데크를 활용한 중복 방지 기능을 포함하여 단일 GPU 환경에서 추론 중에 GPU의 연산이 중복되지 않도록 한다.

음성 및 동영상 객체 인식 기반 요리 보조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Cooking Assistance System Based on Voice and Video Object Recognition)

  • 이종환;곽희웅;박기수;송미화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27-729
    • /
    • 2022
  • 모바일 서비스에서 음성인식을 활용한 애플리케이션이 가져다 주는 편리함으로 레시피 애플리케이션에 접목시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 레시피 추천, Google Video Intelligence API를 사용하여 객체 영상분할, Google Assistant를 활용한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한 레시피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M2M 기반의 지능형 보행보조시스템 (A Machine-to-machine based Intelligent Walking Assistance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 강창순;조화섭;김병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3B호
    • /
    • pp.287-296
    • /
    • 2011
  • 시각장애인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백색 지팡이(White Stick)는 지상의 부유장애물에 대한 감지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보행중인 시각장애인에게 현재 위치정보와 응급상황 발생시 효과적인 보호 조치를 제공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시각장애인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보행을 할수 있는 사물지능통신(M2M : Machine-to-Machine) 기반의 지능형 보행보조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보행보조지팡이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다수의 보행보조지팡이 사용자를 원격 지원하는 서버로 구성된다. 보행보조지팡이는 초음파센서와 문자-음성 변환기술 등을 이용한 장애물 감지 및 인지 가능뿐만 아니라, 서버에서 제공하는 지리정보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 장치 등을 이용한 현재위치 알림 및 확인, 위급상황 대처 기능 등을 제공한다. 서버는 지리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보호자나 구호기관에 위급상황 발생위치 알림, 보행 동안의 주요 정보(장소 시간 및 횟수 등)를 제공한다. 제안 시스템의 시제품을 통한 기능 및 성능 시험 결과 만족스런 결과를 얻을수 있었다.

자동차 전면부와 음성 어시스턴트의 스타일 관계 분석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ehicle Front Images and Voice Assistants)

  • 박민정;민소영;김태수;석현정
    • 감성과학
    • /
    • 제25권4호
    • /
    • pp.129-138
    • /
    • 2022
  • 음성 어시스턴트가 차량에 탑재되기 시작하면서, 차량의 조형적 특징과 음성 어시스턴트간의 연관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자동차에 적용된 음성 어시스턴트와 외관의 조화스러움에 대하여 공통된 감성적 특징을 기반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12가지 차량 이미지와 6가지의 음성 어시스턴트에 대해 15종의 형용사를 바탕으로 감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온라인 개별 인터뷰로 진행되었으며, 총 24명의 대학생이 참여하였다. 참여자들은 각 자극물을 대표하는 감성 형용사 3종을 1, 2, 3위로 평가하고, 선정 이유에 대한 간단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설문 결과에 대해 주성분분석을 수행하여 2개의 주요 요인을 추출한 뒤, 각 요인을 축으로 하여 자극물을 분포시켰다. 분포도를 바탕으로 감성적 특징을 도출하고자 계층적 군집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자동차 이미지와 음성 어시스턴트를 설명하는 감성적 차원으로 "편안한-급진적인"과 "가벼운-무거운"이 추출되었다. 두 차원을 바탕으로 자극물들을 분포시킨 결과, 자동차와 음성 어시스턴트가 동일한 축을 바탕으로 다양하게 분포해 두 요인이 자극물간 감성적 특징을 도출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자극물들의 분포도를 바탕으로 계층적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17개의 자극물을 4가지 군집으로 추렸다. 각 군집은 도전적인, 우아한, 위엄있는, 활기찬 그룹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의 조형적 특징과 음성 어시스턴트의 감성적 이미지를 동시에 설명할 수 있는 두 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축을 바탕으로 그려진 분포도에 군집 분석을 수행해 감성적 특징을 분류하였으며, 총 4개의 감성적 특징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자동차의 조형적 특징에 맞춘 음성 어시스턴트 제안을 위한 디자인 품평 가이드로 활용되어, 추후 출시되는 차량에서 사용자들의 자동차 음성 어시스턴트 감성 경험이 증진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