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lker and Avant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초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간호개념개발 연구의 동향 (Trends of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 이수미;이진혜;황유경;고일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78-190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rends of nursing concept development in Korean journal papers to improve accurate understanding of nursing concepts. Methods: A systematic review of 216 concept development articles published from 1970 to 2018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was conducted using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databases. Results: The most common method of concept development was Walker and Avant's concept analysis method, identified in 139 (64.3%) of the 216 studies, followed by 48 examples of hybrid models (22.2%) and 15 examples of evolutionary methods (6.9%). Chinn and Kramer's method, Norris's clarification, Wilson's method, and others were also used. The concepts of "spirituality" and "fatigue" were most frequently analyzed. Among the 139 studies that used Walker and Avant's concept analysis method, 127 studies (91.4%) applied all the recommended steps; the others applied the recommended steps partially, omitting description of model cases/additional cases, antecedents/consequences, and empirical indicators. Among the studies using the hybrid model, among two (5.7%) did not describe attributes, three (8.5%) did not provide definitions, and 16 (45.7%) did not present empirical indicators in the final stage. Conclusion: Among concept development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Walker and Avant's concept analysis method is most commonly used. In case of most studies using Walker and Avant's method a suitable concept analysis process is applied, but in case of other studies using the other concept development method, a suitable concept analysis process is not applied. Therefore, a suitable concept analysis process must be applied for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research.

Walker와 Avant 기법을 활용한 원불교 마음공부집단상담 프로그램에서의 마음공부의 개념 분석 (The Concept Analysis of Won-Buddhism's Maumgongbu in Group Counseling based on Walker and Avant's Strategy)

  • 양경희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29-244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Maumgongbu to meet the needs of people by analysing the concept of Maumgongbu in group counseling.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Walker and Avant's Concept Analysis Strategy. Dictionaries, Wonbuddhism's Kyunjions and literatures, and participants' journals were reviewed after enrolling in Onsarm maumgongbu group counseling. Results : The attributes of the Maumgongbu include emotion, object, self-reflection, attribution, and creativity. The antecedents of "Maumgongbu" are the conditions arising from negative emotions. The Maumgongbu helps people find the emotional causality of their inner self by self-reflecting, getting out of false belief, restoring positive emotions, maintaining healthy and warm relationships with oneself, family, friends and society. Above all, the Maumgongbu makes people experience tranquility and true happiness and activate their positive energy or power. Conclusions : If there is a clear indication of linkage to principles, attributions, precedents and consequences, and empirical referents to any of Maumgongbu programs, there is no doubt that our understanding of the human mind and lives will be greatly enriched. Furthermore, self-discipline and steadfast complements give us calmness, peacefulness and better quality of life.

Walker와 Avant 방법에 근거한 여성의 성 주체성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Female Sexual Subjectivity based on Walker and Avant's Method)

  • 최윤아;고일선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43-255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attribute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female sexual subjectivity. Methods: Walker and Avant's concept analysis process was used to analyze 27 studies from the current literature that relates to female sexual subjectivit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women's study in sociology, psychology, theology, law, health science, and nursing was reviewed. Results: The defining attributes of female sexual subjectivity were sexual self-awareness, sexual decision making, sexual desire, and good sexual communication with partner. The antecedents of female sexual subjectivity were social environment, sexual education, sexual experi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consequences of female sexual subjectivity were safe sex, prevention of sexual victimization, and sexual satisfaction. Conclusion: Female sexual subjectivity is defined as sexual self-awareness, sexual decision making, sexual desire to seek sexual pleasure and safety, and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partner in terms of sexual behavior, sexual experience and sexual health. Based on these results, a scale measuring female sexual subjectivity is needed.

Walker와 Avant 방법에 근거한 허약 노인 개념 분석 (Concept Analysis of Frail Elderly based on Walker and Avant's Method)

  • 김재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94-40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허약노인에 대한 개념의 명확한 속성 규명과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Walker와 Avant(2005)의 개념분석을 위한 기본 원리에 근거하여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 허약노인에 대한 개념 사용의 연구결과는 허약노인은 건강과 질병의 중간상태에 있다. 허약노인은 신체적으로 근감소증, 염증, 인슐린 저항성에서 신체적으로 취약하고, 진행된 질병의 결과로 입원, 낙상, 장애,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생활습관, 경제적 요인과 관련된 다면적 속성을 가지며, 일상생활에 제한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하여 의존적이며, 회복시간과 회복의 정도가 저하되는 것과 소진(exhaustion)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역동적 과정(dynamic process), 다면적 요소(multidimensional factors), 의존성(dependency), 취약성(vulnerability)이다. 허약노인은 건강과 질병의 중간 상태로 변화 가능성을 내포한 역동적 과정이며, 신체적, 정신적, 인지적, 사회 환경적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노인으로, 신체적 취약성과 함께 적응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노인을 의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허약노인의 개념분석과 이해를 통해 노인의 허약 수준을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장기요양상태에 이르지 않도록 지역사회 방문간호를 포함한 보건의료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할 것이다.

수형자 교정에 대한 개념분석 (A Concept Analysis of Prisoner Corrrection)

  • 정현옥;한승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357-366
    • /
    • 2018
  • 본 연구는 수형자 교정에 대한 개념분석을 통해 그 속성을 파악하고 개념을 명확히 하여 간호중재프로그램 개발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2011년에서 2015년까지 발표된 국내외 수형자 교정에 대한 연구문헌을 PubMed, NDSL RISS을 이용하여 2016년 4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검색하였다. 37편의 문헌을 Walker와 Avant의 개념분석방법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수형자 교정의 속성은 응보, 자기성찰, 긍정적인 문제해결, 재사회화로 나타났다. 수형자 교정의 정의는 법에 위반되는 반사회적이고 반도덕적인 행위로 교정시설에 수용된 수형자를 대상으로 과학적이고 개별화된 형벌을 집행하고, 수형자의 내면적 성찰을 통해 삶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게 할 뿐만 아니라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제공으로 문제해결과 사회적응능력의 향상,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조화를 통한 재사회화와 범죄로부터 국민과 사회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수형자 교정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고, 치료적 교정을 위한 간호중재프로그램 개발 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간호조직에서의 억압에 대한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Oppression in Nursing Organization)

  • 두은영;최수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98-50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조직에서의 억압에 대한 개념의 속성을 파악함으로써 억압에서 벗어나기 위한 교육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간호조직에서의 억압에 대한 속성, 선행요인, 결과요인을 밝히고자 Walker와 Avant의 방법을 이용하였고 2006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국내 및 국외 선행연구 최종 17편을 선정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개념의 속성은 낮은 자아존중감, 권한의 부족, 수평적 폭력이었다. 선행요인은 억압자, 위계적인 조직구조, 주변화이었으며, 결과는 직무만족도, 조직침묵, 환자안전 및 간호의 질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고려해보면, 간호조직 내의 억압을 벗어나기 위해서 간호사는 병원의 위계적인 근무환경 개선과 전문 간호사로서의 자기 인식이 중요하다. 따라서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자기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만성질환자의 건강동기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Health Motiv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 정미정;이한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575-58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질환자의 건강행동에 대한 건강동기 개념의 속성을 파악하여, 만성질환자를 위한 근거기반 간호에 기여하고자 함이다. Walker와 Avant의 개념분석 단계에 따라 만성질환자의 건강과 관련된 동기에 대해 연구한 14편의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선정하고, 추가적 문헌고찰을 통해 개념을 분석하였다. 만성질환자의 건강동기 속성으로 다음의 3가지가 도출되었다. 첫째, 건강행동을 위한 심리적 욕구, 둘째,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다차원적인 상태, 셋째, 변화 가능하고 행동변화를 유발하는 정서적 힘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선행요인, 속성, 결과를 고려하여 건강동기를 증진하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근거에 기반한 체계적 만성질환자 관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에서의 심리적 안전(psychological safety)에 관한 개념분석 (Psychological Safety in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A Concept Analysis)

  • 강숙정;배정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31-34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에 있어 심리적 안전 개념의 명확한 속성을 규명하고 파악하여 다양한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간호학생의 심리적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환경 조성에 기여하고자 함이다. Walker와 Avant (2010)의 개념분석 단계를 사용하여 15개의 심리적 안전과 관련된 문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심리적 안전의 속성으로는 다음 4가지가 도출되었다: 1) 편안한 느낌이나 상태; 2) 두려움 없이 행동할 수 있는 상태; 3) 조직에 대하여 신뢰할 수 있는 느낌; 그리고 4) 자신에게 무해하다는 느낌.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선행요인, 속성, 결과 등을 고려하여 심리적 안전을 보장하도록 하는 학습환경을 조성한다면 시뮬레이션 교육의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에 대한 개념분석 (Hospitalization Stress in Child : Concept Analysis)

  • 이영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27-335
    • /
    • 2020
  • 본 연구은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 개념분석 연구로 개념의 속성을 확인하고 명확한 개념을 내리고자 시도 되었고, Walker & Avant의 개념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아동의 입원스트레스 속성은 생리적 변화, 개인-환경 상호작용, 인지적,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적 반응, 대처방식으로 인한 내재적, 외현적 변화로 도출되었다. 아동의 입원스트레스 선행요인은 질병의 심각성, 생물학적 요인, 지지체계였으며, 결과는 입원생활적응, 질병 및 건강회복, 아동발달 증진, 대처기술의 획득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 선행요인을 해결하기 위해 질병의 인지지각이 되어야 하고 부모-가족의 지지체계가 조성되어야 한다. 이후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에 대한 더 많은 질적 연구와 아동의 입원스트레스 속성이 잘 반영된 도구개발 연구, 입원스트레스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간호사의 전문성에 대한 개념분석 (Professionalism of the Nurse: A Concept Analysis)

  • 이경미;김수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94-107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성이 구체적 속성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Walker와 Avant의 개념분석 방법에 따라 간호사의 전문성의 개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전문성의 속성은 고도의 간호지식 탁월한 간호기술, 인간 중심 간호 수행, 윤리성, 책임감, 동료 간 협력, 자율성, 탁월한 상황판단 및 문제해결력으로 파악되었다. 선행요인으로는 충분한 기간에 걸친 간호교육과 경험, 연구 활동, 개인적 자질, 자기주도적 훈련이었으며, 간호사의 전문성의 결과는 전문직 정체성 향상, 이직의도 감소, 간호만족도 향상, 건강회복과 안녕의 증진, 간호의 질 향상, 병원의 평판과 수익 증대, 사회적 인정 획득, 간호전문직 발전, 국가 건강 재정적 이익 확보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전문성 개념의 속성을 밝혀 규명함으로써 사회적 요구에 따른 전문직 간호의 발전을 위한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작업으로서, 양질의 간호 제공을 위한 간호사의 전문성 수립의 토대를 마련함에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