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ll law or Wall func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LES를 이용한 판토그라프 팬헤드의 와 흘림 현상 해석 (ANALYSIS OF VORTEX SHEDDING PHENOMENA AROUND PANTOGRAPH PANHEAD FOR TRAIN USING LARGE EDDY SIMULATION)

  • 장용준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23
    • /
    • 2011
  • The turbulent flow and vortex shedding phenomena around pantograph panhead of high speed train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available experimental data and other simulations. The pantograph head was simplified to be a square-cross-section pillar and assumed to be no interference with other bodies. The Reynolds number (Re) was 22,000. The LES(large eddy simulation) of FDS code was applied to solve the momentum equations and the Wener-Wengle wall model was employed to solve the near wall turbulent flow. Smagorinsky model($C_s$=0.2) was used as SGS(subgrid scale) model. The total grid numbers were about 9 millions and the analyzed domain was divided into 12 multi blocks which we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y MPI. The time-averaged mainstream flows were calculated and well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The phased-averaged quantities had also a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data. The near-wall turbulence should be carefully treated by wall function or direct resolution to get successful application of LES methods.

매끄러운 하상위 난류의 내부 영역 유속 분포 공식 (An Inner Region Velocity-Profile Formula of Turbulent Flows on Smooth Bed)

  • 류권규;윤병만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9호
    • /
    • pp.737-744
    • /
    • 2006
  • 난류의 내부 영역의 유속은 단순한 공식으로 표현하기 매우 어려운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 속도 분포를 기술하는 여러 가지 공식들이 제안된 바 있지만, 모든 공식들은 많은 항들을 가지거나 적분형 또는 음함수꼴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이 식들이 적용하기 힘들거나, 매개 변수들을 추정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매끄러운 바닥 위를 흐르는 난류 내부 영역의 유속 분포를 표현할 수 있는 간단한 형태의 새로운 공식을 제안하였다. 이 공식은 전통적인 대수 법칙에 감쇄 함수를 곱한 형태이다. 단 하나의 추가적인 매개 변수를 도입하여, 전체 내부 영역의 유속 분포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이 공식은 벽법칙이 성립하는 바닥 근처의 유속과 대수 법칙이 성립되는 중복 영역의 유속 분포까지를 적절하게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추가된 매개 변수인 감쇄 계수는 쉽게 추정할 수 있다. 이 변수는 Reynolds 수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으며, 공식에 의하여 계산된 유속 분포도 또한 이 매개 변수의 변화에 대해서 민감하지 않다.

집회현장에서의 경찰의 물리력 사용현황과 개선방안: 차벽과 물포 사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 of Police Force in the Public Assembly: Focused on the Vehicle-wall-blocking and water cannon)

  • 황문규
    • 시큐리티연구
    • /
    • 제50호
    • /
    • pp.307-337
    • /
    • 2017
  • 집회의 자유는 헌법에서 보장하고 있는 기본권적 자유이다. 우리의 현실을 보면 집회의 자유는 경찰의 관리통제 하에 있을 때에만 보장되고, 그렇지 않을 때는 진압해야 할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심지어 경찰은 '깨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 theory)'을 거론하면서 조그만 불법이 심각한 불법․폭력시위로 변질될 수 있다는 이유로 집회의 평화성 보다는 '준법'여부에 집착하고 있는 듯한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태도는 집회에 참여하는 시민을 진압해야 할 대상으로 내몰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 글은 최근 문제되고 있는 경찰물리력 사용수단으로서 차벽과 물포를 중심으로 물리력 사용요건과 현황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차벽의 설치는 집회장소를 항의의 대상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집회가 갖는 본질적인 소통의 기능을 차단하고 있다. 따라서 차벽설치는 불법행위에 직면하여 예방을 위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차벽설치 이외 다른 방법으로는 '사람의 생명 신체에 위해를 끼치거나 재산에 중대한 손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긴급한 경우'에 한하여 허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긴급성이 없다면 차벽은 사전예방적 차원뿐만 아니라 사후예방적 차원에서도 허용되어서는 안된다. 물포는 사람의 생명․신체에 위해를 가할 우려가 있는 경찰장비로서 기본권의 중대한 제한을 가져오는 강제조치이다. 따라서 사람의 신체에 중대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조준 직사살수는 원칙적으로 금지되어야 한다. 다만 그 위험성을 고려하여 타인의 법익이나 공공의 안녕질서에 직접적인 위험이 '명백하게 초래'된 경우에 한하여 다른 대안이 없는 경우에 보충적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아울러 그 사용기준 등에 대해서는 물포가 위해성 경찰장비인 점을 고려하여 법률로 명시해야 한다.

  • PDF

가상의 단일벽 실리콘 나노튜브의 비틀림 (Torsion of Hypothetical Single-Wall Silicon Nanotubes)

  • 변기량;강정원;이준하;권오근;황호정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6권12S호
    • /
    • pp.1165-1174
    • /
    • 2003
  • The responses of hypothetical silicon nanotubes under torsion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an atomistic simulation based on the Tersoff potential. A torque, proportional to the deformation within Hooke's law, resulted in the ribbon-like flattened shapes and eventually led to a breaking of hypothetical silicon nanotubes. Each shape change of hypothetical silicon nanotubcs corresponded to an abrupt energy change and a singularity in the strain energy curve as a function of the external tangential force, torque, or twisted angle. The dynamics o silicon nanotubes under torsion can be modelled in the continuum elasticity theory.

Some characteristics of an interior explosion within a room without venting

  • Feldgun, V.R.;Karinski, Y.S.;Yankelevsky, D.Z.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38권5호
    • /
    • pp.633-649
    • /
    • 2011
  • The paper presents a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some characteristics of an interior explosion within a room with limited or no venting. The explosion may occur in ammunition storage or result from a terrorist action or from a warhead that had penetrated into this room. The study includes numerical simulations of the problem and analytical derivations. Different types of analysis (1-D, 2-D and 3-D analysis) were performed for a room with rigid wall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For the 3D problem the effect of the charge size and its location within the room was investigated and a new insight regarding the pressure distribution on the interior wall as function of these parameters has been gained. The numer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the Eulerian multi-material approach. Further, an approximate analytical formula to predict the residual internal pressure was developed. The formula is based on the conservation law of total energy and its implementation yields very good agreement with the results obtained numerically using the complete statement of the problem for a wide range of explosive weights and room sizes that is expressed through a non-dimensional parameter. This new formula is superior to existing literature recommendations and compares considerably better with the above numerical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