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ste entrance zon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자원회수시설용 폐기물 벙커의 환기설비설계 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the Ventilation Equipment in a Waste Bunker For a Municipal Waste Incinerator)

  • 이태구;문정환;허진혁;이재헌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51-59
    • /
    • 2007
  • The waste bunker usually consists of waste entrance zone and waste pit. In this paper, the distributions of air flow, $NH_3$ concentration and $H_2S$ concentration in a waste bunker were investigated to prevent an odor generated in a waste pit from dispersing to the waste entrance zone by numerical method. Four cases were considered such that 1) the waste incinerators is operated, 2) the waste incinerators is stopped, 3) the waste incinerator is operated and the direction of a supply diffuser is $45^{\circ}$ upward, 4) the waste incinerator is stopped and the direction of a supply diffuser is $45^{\circ}$ upward. In case of 1), the fresh air from the waste entrance zone is exhausted smoothly to the main exhaust grill of the waste pit. It means that an odor dispersion to the waste entrance zone will not occur. However in case of 2), the induction of fresh air is so small and the supply air with an odor in waste pit can flow to the waste entrance zone. Therefore, an odor will be dispersed to the waste entrance zone. This paper shows the solution that the supply diffuser with the direction of $45^{\circ}$ upward is chosen. As a result in case of 3) and 4), an odor dispersion to the waste entrance zone does not occurred and on odor is exhausted smoothly to the auxiliary exhaust grill.

포항 옥명 폐기물 매립장에서의 전기탐사 (Electrical surveys at the Okmyung waste landfill of Pohang)

  • 이기화;윤종렬
    • 지구물리
    • /
    • 제1권1호
    • /
    • pp.41-50
    • /
    • 1998
  • 포항 옥명 폐기물 매립장과 매립장 입구 전방지역에서 1997년 8월과 1998년 1월에 걸쳐 슐럼버져 전기비저항 수직탐사, 쌍극자 비저항탐사 및 전자기 유도방식을 이용한 전기전도도 수평탐사를 실시하였다. 전기비저항 수직탐사는 매립장 내부와 매립장 입구 전방지역에서 11점과 4점이 실시되었으며, 쌍극자 비저항탐사도 각각 1측선씩 실시되었다. 또한 전기전도도 수평탐사는 총 164점이 4개의 측선을 따라 매립장 입구 전방지역에서 수행되었다. 자료의 해석결과 제 6매립장에서는 0.3∼3 Ωm의 저비저항대가 지표하 65 m까지 나타나고 있어 하부지층의 침출수에 의한 오염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예상 침출수위는 지표하 3∼6 m로 추정되었다. 제 9매립장은 2 Ωm이하의 저비저항대가 지표하 11∼15 m까지 나타나고 있어 하부지층의 오염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매립장 입구 전방지역에서는 비저항 탐사자료나 전기전도도 수평탐사 자료 모두 천부의 비저항값이 낮게 나타나 이 지역에서는 풍화대의 오염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같은 지역내에서도 제 6매립장이 가까이 위치하는 남쪽지역이 침출수의 영향을 더욱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