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ve height and period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26초

포항해역에서의 파랑의 통계적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f Statistical Properties of Waves in the Sea Area of Pohang)

  • 안용호;김도영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6-221
    • /
    • 2001
  • In this paper, statistical properties of waves in the sea area of Pohang, Korea are examined absed on 1998-1999's wave data from directional wave buoy which is located Pohang(Janggigog). Wave data aquisition rate, monthly maximium, minimum and mean wave heights, frequency of wave direction are summarized. Wave height and period scatter diagrams and n-year return period wave heights are estimated. Wave periods of maximum wave heights are also estimated.

  • PDF

대진폭 해양파의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arge Amplitude Ocean Waves)

  • 김도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61-67
    • /
    • 2009
  • 이 논문에서는 freak wave가 포함된 시계열 파랑자료를 분석하였다. freak wave가 포함된 자료와 포함되지 않은 자료에 대하여 여러 가지 파랑 특성을 비교하였다. 파랑 자료는 Yura 해역에서 24시간 연속으로 측정된 자료를 분석하였고, 그 중에서 freak wave가 발생한 30분 동안 파랑과 인접한 30분간의 파랑자료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최대파의 파주기가 가장 긴 주기가 아닌 것을 볼 수 있다. 최대파의 파주기는 평균파주기보다 약간 길며, 유의파의 파주기보다는 짧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비록 해상 상태는 높지만, 레일리분포로 파고의 확률분포를 잘 표시할 수 있었다. Freak wave의 발생 전후의 파랑자료를 비교해 보면, 파랑스펙트럼의 특성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발생한 경우에 비선형성이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freak wave 발생 직 후에 오히려 유의파고의 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의 파고가 높은 것이 항상 freak wave의 발생확률을 높이지는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 PDF

A Study on Shape and Height of Shipwaves

  • Gang, Song-Jin;Kim, Mi-Kum;Kim, Chang-Je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5-110
    • /
    • 2009
  • Shipwaves am have harmful effects on ships working on the sea, in a harbour or navigational channel and caused beach erosion, seawall destruc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ve pattern generated by an individual model ship tested at different velocities and hull forms for a given water depth an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at a given distance from the sailing line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a result, the angles a's by model ship tests are smaller than those by real ship ones. Wave heights decreases with an increasing the mid-ship cross sectional area $A_s$. The maximum wave height and period increase rapidly in the subcritical speed, and beyond the critical speed the height and period decrease with increasing depth Froude number. And the period keeps constant with the distance from the sailing line.

해양기상부이와 표류부이에서 관측된 유의파고 및 파주기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ignificant Wave Height and Wave Period Observed from Ocean Data and Drifting Buoys)

  • 조형준;김백조;최규용;노민;강기룡;이철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841-852
    • /
    • 2023
  • In this study, the significant wave height and wave period of a specially designed observation system that connected two drifting buoys to an ocean data buoy was observed for 23 days from February 7 to 29, 2020,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 comparison to the ocean data buoy, the drifting buoy exhibited greater variability in significant wave height over shorter time intervals. The wave period of the ocean data buoy also appeared longer than that of the drifting buoy. The greater the observed significant wave height and wave period from both the ocean data and drifting buoys, the more pronounc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observation instruments become. Moreover, the study revealed that the disparity in observation methods between the ocean data and drifting buoy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ignificant wave height characteristics, as long as the period remained unchanged for up to half of the observation time.

파고 정보를 이용한 설계주기 추정 (Design Wave Period Estimation Using the Wave Height Information)

  • 조홍연;정원무;강주환;이기섭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84-94
    • /
    • 2023
  • 재현기간에 따른 설계주기 추정에는 일반적으로 파고-주기 관계곡선을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주기 추정을 위한 파고-주기 관계곡선의 매개변수를 선형, 로버스트 선형, 비선형 함수를 이용하여 추정하고 그 계수를 비교-평가하였다. 매개변수 추정에 사용한 자료는 해양수산부(2019) 설계파고 추정에 사용한 연 최대 파고-주기 자료이며, 태풍, 비태풍 조건으로 구분하여 매개변수 추정에 이용하였다. 추정 매개변수는 해역의 지점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추정기법의 경우에는 태풍 조건의 자료의 경우 비선형과 선형 기법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SPM 공식과 GODA 공식을 평균하여 추정하는 Suh et al.(2008, 2010) 제안 방법은 절편 매개변수는 과소추정, 경사 매개변수는 과대 추정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해역의 국지적인 특성 반영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파랑 통계자료의 특성과 신뢰성 검토 (The Characteristics of Wave Statistical Data and Quality Assurance)

  • 박종헌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3-70
    • /
    • 2009
  • This paper discusses the influence on long-tenn predictions of the ship response in ocean by using the Global Wave Statistics data, GWS, and wave information from the remote sensing satellites. GWS's standard scatter diagrams of significant wave height and zero-crossing wave period are suggested to be corrected to a round number of 0.01/1000 fitted with a statistical analytic model of the conditional lognormal distribution for zero-crossing wave period. The GEOSAT satellite data are utilized which presented by I. R. Young and G. J. Holland (1996, named as GEOSAT data). At first, qualities of this data are investigated, and statistical characteristic trends are studied by means of applying known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s. The wave height data of GEOSAT are compared to the data observed onboard merchant ships, the data observed by measure instrument installed on the ocean-going container ship and so on. To execute a long-tenn prediction of ship response, joint probability functions between wave height and wave period are introduced, therefore long-term statistical predictions are executed by using the functions.

  • PDF

2차원 조파수조에서의 파 생성 특성 조사 (Investigation of Characteristics of Waves Generated in Two-Dimensional Wave Channel)

  • 안재열;최정규;김형태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8-75
    • /
    • 2013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waves generated by a flap-type wave maker in a two-dimensional wave channel. Measurements are carried out for various water depths, wave heights, periods, and lengths capacitance-type wave height gages.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hown to satisfy the dispersion relation of the linear wave theory. For waves with a small height and long period, the wave profiles agree well with those of the linear wave theory. However, as the wave height and period become higher and shorter, respectively, it is shown that the wave profiles measured in the present experiments are different from the linear wave profiles, and the measured wave heights are smaller than the target wave heights, which may be due to the non-linearity of the waves. As the wave progresses toward the channel end, the wave height gradually decreases. This reduction in the wave height along the wave channel is explained by the wave energy dissipation due to the friction of the side walls of the channel. The performance of the wave absorber in the channel is found to be acceptable from the results of the wave reflection tests.

′98-′99 마라도해역에서의 파랑의 특성 (Wave Properties in the Sea Area of Mara-do in ′98 and ′99)

  • 안용호;정진영;류황진;김도영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8-116
    • /
    • 2001
  • In this paper, statistical properties of waves in the sea area of Mara-do, Korea are examined based on 1998-1999's wave data from a directional wave buoy which is located in Mara-do. Wave data aquisition rate, monthly maximium, minimum and mean wave heights, frequency of wave direction are summarized. Wave height and period scatter diagrams and n-year return period wave heights are estimated. Wave periods of maximum wave heights are also estimated.

  • PDF

극한파의 통계적 특성에 대한 연구 (On statistical Properties of the Extreme Waves)

  • 류황진;김도영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9-316
    • /
    • 2003
  • In this paper,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ocean waves in the sea area of Hong-do, Korea are examined based on 1998-2002's wave data from a directional wave buoy. Wave data aquisition rate, mean wave heights, frequency of wave direction are summarized. Wave height and period scatter diagrams and n-years return period wave heights are estimated. Wave periods of maximum wave heights are also estimated. Large amplitude wave characteristics during the typhoon Prapiroon in 2000, Rusa in 2002 are also examined.

  • PDF

비선형 파동계에서의 파고와 주기 결합 확률분포 (Joint Distribution of Wave Crest and its Associated Period in Nonlinear Random Waves)

  • 박수호;조용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5호
    • /
    • pp.278-293
    • /
    • 2019
  • 파고와 주기 결합분포는 그 공학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주기에 대한 해석 모형의 부재로 인해 파고 분포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현재 비선형성이 주기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의견이 상존한다. 이에 비해 파고 분포의 경우, 많은 노력이 이루어져 성과가 상당하나, 아직 이러한 성과는 파고와 주기 결합분포로 확대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파고와 주기의 결합분포를 조건부 주기 분포와 파고 분포의 곱으로 정의하였다. 이어 비선형 불규칙 파동계에서의 파고 분포, 임의의 대역폭을 지니는 비선형 불규칙 파랑계에서의 파고분포를 유도하고, 이를 Longuet-Higgins(1975, 1983), Cavanie et al.(1976)의 조건부 주기확률분포와 결합하여 새로운 파고와 주기 결합분포를 제시하였다. 검증과정은 Wallops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수치 모의된 파랑시계열자료와 경사가 1:15인 단조해안에서 진행되는 불규칙 파랑 천수과정 수치모의를 통해 얻은 강비선형 파랑자료를 활용하여 수행되었으며, 모의 결과 finite banded waves를 대상으로 한 파고 분포와 Cavanie et al. (1976)의 조건부 주기 확률분포를 활용하는 경우 가장 근접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