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site Log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1초

이용자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한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ability Evaluation for Improving Quality of User Services in CNU Digital Library Website)

  • 이응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11-32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최신의 정보기술을 적용한 XML 기반 충남대학교 전자도서관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는 로그파일 분석, 온라인 설문조사 그리고 발견평가의 3가지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입장에서의 대학도서관 웹사이트 서비스의 문제점을 분석$\cdot$평가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이용자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제고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대학 홈페이지 활용도 향상을 위한 웹 로그 프로세스마이닝 분석 (Web-log Process Mining Analysis for Improving Utilization of University Homepage)

  • 이용욱;최상현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1권4호
    • /
    • pp.51-64
    • /
    • 2014
  • The purpose of operating the main homepage of University is to provide the related information about University resources to site visitors. In this study, we analyze website browsing patterns and extract characteristics of users in order to improve its utilization. The access log files to main homepage were used to analyze the browsing patterns and converted to process log files adaptable to a process mining tool, ProM. Finally we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user friendly homepage design and suggest plans for improving its utilization to website operators.

로그 분석을 통한 웹사이트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지중해지역 연구를 위한 웹사이트(MMWS)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ctivation Method of Website through Log Analysis -Focused on the website(MMWS) for research the Mediterranean Area-)

  • 강지훈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907-916
    • /
    • 2017
  • 최근 ICT융합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학문 분야에서도 ICT융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그 사례로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이나 지역정보학(Area Informatics)등의 분야가 대표적이다. 지역연구는 특정지역에 대한 문화를 통합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해외지역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연구자들은 해당지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웹사이트를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에서 운영 중인 다국어 지중해 웹서비스 시스템 (Multilingual Mediterranean Web Service System, 이하 MMWS)은 해외지역 중에서도 지중해지역을 연구하는 연구자 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전문정보 및 일반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외지역 웹사이트 MMWS를 분석하고 이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웹사이트를 활성화하는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세부적으로 로그 분석을 통해 MMWS를 분석하며 이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글에서 제공하는 로그 분석 시스템인 구글 애널리틱스를 활용한다. 또한 웹사이트 활성화 방안으로 ICT융합 콘텐츠를 웹사이트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온라인 뉴스 웹사이트의 로그를 이용한 연관규칙 발견에 관한 연구 (Mining Association Rules from the Web Access Log of an Online News website)

  • 황현석;유기동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47-57
    • /
    • 2013
  • 인터넷의 활용으로 기업활동의 많은 영역이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고객이 웹사이트 방문 후에 어떤 활동을 하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경영활동의 성과로 연계하기 위해 웹 로그를 분석하고 있다. 온라인 뉴스 사이트에서도 방문자의 활동을 파악하고 어떤 기사에 관심이 많은지, 어떤 분야의 기사를 많이 보는지 등을 파악하여 독자에게 서비스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언론사의 웹사이트 로그를 분석하는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뉴스 웹사이트에서 수집된 로그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웹사이트 내에서의 활동을 파악하고 뉴스 기사간 연관규칙을 도출한다. 연구는 크게 방문자의 세션(session)을 파악하는 첫 번째 단계와 방문자가 읽은 뉴스 기사간의 연관규칙을 살펴보는 두 번째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차례에 걸쳐 수집된 웹사이트 로그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규칙의 의미와 온라인 뉴스 사이트에서 고려해야 하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Web Log Analysis System Using SAS/AF

  • Koh, Bong-Sung;Lee, Gu-Eu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5권2호
    • /
    • pp.317-329
    • /
    • 2004
  • The Web log has caught much attraction for tracing of customer activity. So many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n it. As a result, Web log analysis solutions has been developed and launched lately. It has been in the spotlight to the website administrators and people in practical marketing business. In this paper, we made an analysis on the various behavior patterns of customers in cooperation with SAS/AF and SCL modules, based on development of GUI from SAS package for disposal of statistical data.

  • PDF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하둡기반 맞춤형 관광시스템 (A Customized Tourism System Using Log Data on Hadoop)

  • ;김강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97-404
    • /
    • 2018
  • 인터넷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사용자 행위가 로그 파일에 기록되고, 최근에 이들을 이용한 연구와 산업이 활성화되고 있다. 본 논문은 오픈 소스 기반 분산 컴퓨팅 플랫폼인 하둡을 사용하고, 로그 파일에 기록된 사용자 행위를 분석하여 맞춤형 관광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사용자들이 검색한 웹사이트로부터 로그 파일을 얻기 위하여 구글의 Analytics를 사용하고, 하둡의 MapReduce를 사용하여 검색 항목을 추출하여 HDFS에 저장한다. Octopu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여행안내 웹사이트로부터 여행관련 관광지나 도시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MapReduce를 사용하여 관광지의 특징을 추출한다. 그리고 관광지의 특징과 사용자 검색항목을 매칭하여 사용자에게 관광하고 싶은 맞춤형 도시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매칭의 확률을 높이기 위하여 NBP(next bit permutation)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검색항목과 관광지 특징을 재정렬하는 기법을 도입한다. 그리고 개발된 시스템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39 명의 사용자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맞춤형 관광도시를 제안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nterestingness Analysis System for Web Personalizatoion & Customization

  • Jung, Youn-Hong;Kim, I-I;Park, Kyoo-seok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707-713
    • /
    • 2003
  • Convenience and promptness of the internet have been not only making the electronic commerce grow rapidly in case of website, analyzing a navigation pattern of the users has been also making personalization and customization techniques develop rapidly for providing service accordant to individual interestingness. Web personalization and customization skill has been utilizing various methods, such as web log mining to use web log data and web mining to use the transaction of users etc, especially e-CRM analyzing a navigation pattern of the users. In this paper, We measure exact duration time of the users in web page and web site, compute weight about duration time each page, and propose a way to comprehend e-loyalty through the computed weight.

  • PDF

에어비앤비(Airbnb) 웹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고객 행동 예측 (Consumer behavior prediction using Airbnb web log data)

  • 안효인;최유리;오래은;송종우
    • 응용통계연구
    • /
    • 제32권3호
    • /
    • pp.391-404
    • /
    • 2019
  • 그동안의 고객 행동에 대한 예측은 주로 고객이 가지는 고정적인 특성을 이용해왔다. 최근에는 점차 고객들의 활동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하면서 각 고객의 웹 로그를 추적하는 일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방대한 양의 웹 로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된 반면, 이에 대한 연구는 로그 데이터를 정리하거나 기술적인 특성만을 설명하는 것에 그쳤다. 본 연구에서는 웹사이트 Kaggle에서 제공하는 Airbnb 고객들의 성별, 연령 등의 기본 정보 및 웹 로그가 포함된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첫 숙소 예약까지 걸리는 개인의 의사 결정 시간을 예측하였다. Lasso, SVM, Random Forest, XGBoost 등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최적의 모형을 찾고, 웹 로그 데이터의 유무에 따른 예측 오차를 비교하여 웹 로그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오분류율이 약 20%로 낮은 랜덤 포레스트 분류모형을 최적모형으로 선택하였다. 또한, 웹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객 개개인의 행동을 예측한 결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 예측의 정확도가 최대 두 배 더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웹 컨텐츠 선호도 측정을 위한 대용량 웹로그 분석기 구현 (Implementation of big web logs analyzer in estimating preferences for web contents)

  • 최은정;김명주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83-90
    • /
    • 2012
  • With the rapid growth of internet infrastructure, World Wide Web is evolving recently into various services such as cloud computing, social network services. It simply go beyond the sharing of information. It started to provide new services such as E-business, remote control or management, providing virtual services, and recently it is evolving into new services such as cloud computing and social network services. These kinds of communications through World Wide Web have been interested in and have developed user-centric customized services rather than providing provider-centric informations. In these environments, it is very important to check and analyze the user requests to a website. Especially, estimating user preferences is most important. For these reasons, analyzing web logs is being done, however, it has limitations that the most of data to analyze are based on page unit statistics. Therefore, it is not enough to evaluate user preferences only by statistics of specific page. Because recent main contents of web page design are being made of media files such as image files, and of dynamic pages utilizing the techniques of CSS, Div, iFrame etc. In this paper, large log analyzer was designed and executed to analyze web server log to estimate web contents preferences of users. With mapreduce which is based on Hadoop, large logs were analyzed and web contents preferences of media files such as image files, sounds and videos were estimated.

웹 아카이브 OASIS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Web Archive OASIS)

  • 남재우;이수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9
    • /
    • 2021
  • OASIS는 온라인상의 디지털 정보자원을 체계적으로 수집·관리·보존하기 위해 2004년도부터 시작된 국립중앙도서관의 웹 아카이빙 프로젝트이다. 본 연구에서는 OASIS 웹 사이트의 접속 로그 분석과 이용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OASIS 프로젝트에 대한 사람들의 인지도는 매우 낮았고, 웹 사이트의 첫 접속자가 많았다. 둘째, OASIS 이용률 제고를 위한 적극적인 홍보나 서비스 개편 등이 미흡했다.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개선점으로 자체적인 직접 홍보와 타 기관과 연계한 간접홍보를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흥미와 재미를 유발하는 콘텐츠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