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land functional assessment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17초

HGM을 이용한 화포천 습지의 기능평가 (Assessment of Hwapo riverine wetland function using Hydrogeomorphic Approach)

  • 윤선화;김덕길;김형수;곽재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1B호
    • /
    • pp.53-60
    • /
    • 2010
  • 습지는 종 다양성이 높고 영양물질이 풍부하며 생산성이 높은 생태계로서 수문학적으로나 생태학적으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습지 기능을 평가하는데 이용되는 다양한 평가 방법중 하나인 HGM (Hydrogeomorphic)을 적용하여 화포습지에 대한 기능평가를 실시하였다. HGM방법은 하나의 기준습지를 선정한 후 대상습지와의 비교를 통해 습지의 기능을 지수화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우포늪을 기준습지로 선정하여 화포천 습지의 기능을 평가한 결과 대부분의 기능이 0.6점 이상으로 우포늪과 비교하여 비교적 긍정적인 기능지수의 값을 보여주었다. 이는 화포천 습지가 수문학적, 생지화학적, 식물서식처, 동물서식처 기능을 수행하고 있고 보전 및 관리를 한다면 보다 더 효과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HGM을 이용한 질날늪 기능평가 연구 (Functional Assessment of Jilnalnup Wetland by HGM)

  • 김예화;이란;문상균;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22
    • /
    • 2013
  • Wetlands occupy an important ecological position on the earth, carrying out very important functions and roles both ecologically and hydrologically. However, due to past industrialization, not only wetland areas but also the biodiversity of organisms has severely decreased due to several artificial interferences and damage as wetlands began to be perceived simply as targets for development and reclamation. However in recent times, with the importance of wetlands coming to the fore, the assessment of the function and value of wetlands is being made for their wise use and systematic maintenance. Accordingly, this study targeted the Jilnal Wetlands located in Haman, Gyeongnam, and conducted a functional appraisal of this wetland using the modified HGM Model which was modified & developed appropriately for the actual conditions of our country. The result of its appraisal by selecting the Upo Wetland as the reference wetland, which is a criterion of the index, showed a comparatively positive functional index with 0.89 of the Upo Wetland average. This means that the Jilnal Wetland carrys out more than 89% of the functioning of the Upo Wetland. In this regard, it is thought that the Jilnal Wetland could carry out the wetland functioning equivalent to that of the Upo Wetland through a little more systematic management.

습지형 구하도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능 평가: 만경강 대상 (Functional Assessment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Wetland-type Old River Channel:Mangyoung River)

  • 홍일;강준구;강수진;여홍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4B호
    • /
    • pp.213-220
    • /
    • 2012
  • 국내 구하도의 경우 많은 부분 하도 직강화에 의해 자연하천에서의 사행을 제한함으로써 절단된 형태로 남아있으며, 현재는 매립되어 타용도로 이용되는 육화형과 습지형 구하도로 구분할 수 있다. 습지형 구하도는 일부 농업용수 공급에 활용되고 있으나 대부분 수질악화, 수위저하, 육역화, 생태계 교란 등 관리 미흡으로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구하도의 보전 또는 복원을 통한 하천관리는 유역관리 차원에서도 매우 효과적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습지형 구하도의 기능적 가치에 대한 평가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유역관리 차원에서 습지형 구하도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만경강 습지형 구하도를 대상으로 기능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는 자연성, 서식처, 친수성, 수질 등 4개 속성의 21개 평가지표를 토대로 이뤄졌으며 각 속성별 가중치에 따라 계량화하여 수행하였다. 만경강의 습지형 구하도는 자연성과 서식처 속성의 평가결과가 양호한 반면 친수성과 수질 속성의 평가결과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량이 풍부하지 않고 부영양화가 진행된 지점의 경우 주변환경의 관리가 더욱 미흡한 관계로 타지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급하게 개선이 필요한 지역으로 설정되었다. 평가결과는 향후 하천공간 확보라는 하천의 유역관리 차원에서 습지형 구하도를 활용하기 위한 근거자료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HGM을 이용한 용담댐습지의 기능평가 연구 (Functional Assessment of Yongdam Dam-wetland by HGM)

  • 김덕길;신한규;김재근;김형수;유병국;안경수;장석원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665-675
    • /
    • 2011
  • 댐 상류지역 및 주변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습지는 댐의 수질개선, 동식물의 서식처 확보 등과 같은 생태보전 및 경관 제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댐이 지니고 있는 습지의 역할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문지형학적 방법인 HGM을 이용하여 댐습지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포늪과 보령댐을 기준습지로 선정하여 용담댐의 기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전체적인 기능이 0.6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댐습지와 자연습지를 비교했을 때, 댐습지가 자연습지의 약 6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댐에 위치하고 있는 습지의 관리와 보전이 잘 이루어진다면 보다 더 효과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묵논에 형성된 자운늪의 유형분류 및 기능 평가 (Wetland Type Classification and Functional Assessment of an Abandoned Rice Paddy Ja-un Wetland)

  • 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5-70
    • /
    • 2003
  • This research aims to classify wetland types and evaluate functions of a wetland created by abandoned rice paddies. The case study area is Ja-un wetlan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In this study, wetland typ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basic elements of wetlands such as hydrology, vegetation, and soil conditio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ased upon field surveys, drawing maps and publication, and modified-RAM which can evaluate the general functions and conservation values of wetlands. The analysis shows that several types of wetlands were identified, such as Palustrine/ Perennial/ Hydrophytes, Palustrine/ Perennial/ Openwater, Palustrine/ Seasonal/Herbal, Palustrine/ Seasonal/ Shrub and Scrub, Palustrine/ Seasonal/ Hydrophye, and Riparian/ Seasonal/ Shrub and Scrub in the Ja-un wetland. The average level of functions of the wetlands is very "HIGH", and it is recommended that prompt conservation measures should be taken.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연구(1) - HGM을 이용한 기능평가 : 보령댐을 대상으로 - (Study on Assessment of Value and Functions of Dam-wetland(1) - Assessment of Functions by HGM : Focussing on Boryung Dam -)

  • 신한규;김덕길;김재근;김형수;안재현;유병국;안경수;박두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15-132
    • /
    • 2009
  • 댐의 습지로서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댐도 하나의 습지로 정의하고, HGM 습지 평가 방법에 따라 보령댐을 우포늪의 습지 기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보령댐의 습지로서 수문학적 기능은 단기적이고 작은 흐름들에 대해서는 취약성을 가지지만, 반면 장기적이고 큰 흐름들에 대해서는 강점을 가진다. 생지화학적 기능은 우포의 약 50%정도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 서식처로서의 기능도 식물 군집의 유지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 서식처로서의 기능은 우포늪에 준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다만 조류의 서식처로서의 기능이 다소 부족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보령댐의 장점과 단점을 명확히 하여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강 할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HGM 적용을 통한 하도습지의 기능평가 제고 방안 연구 (Improvement of Functional Assessment for Riverine Wetlands using HGM Approach)

  • 염정헌;김태성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78-385
    • /
    • 2016
  • 본 연구는 유수역에 적용 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HGM(Hydrogeomorphic) 기능 평가 틀을 제안 하였고, 이와 더불어 유수역에 적합한 기준습지를 습지보호지역 중 유수역에 해당되는 곳에 적용함으로써 기준습지의 활용성 제고를 목적으로 하였다. 기능평가는 기존의 HGM 평가 틀을 기반으로 하였으나, 유수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수문학적, 생지화학적, 식물서식처, 동물서식처 기능에 따른 총 10개 항목의 기능지수(Functional Capacity Index, FCI)를 산정하였다. 유수역에 적합한 기능평가 틀의 각 항목별 지수를 하도 습지보호지역인 2개소의 습지에 적용해 본 결과 인공호안 하도습지인 담양하천습지는 제외지내 식생 분포 면적비율, 단위면적당 식물종수, 버드나무 분포 면적비율 등의 값이 높게 분석되었고, 이들 변수 값이 반영된 양분 순환(947,668.00), 식물종풍부도 및 특징적인 식생 군집 유지(6.39), 서식처의 공간구조적 유지(11.00) 등의 기능지수 값이 상대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자연호안 하도습지인 한반도습지는 담양하천습지에 비해 하천 규모가 크고, 생물종다양성과 관련된 변수값이 높았으며, 이와 관련된 에너지 감쇄(17,805.16), 지표하 저류(0.54), 이입된 원소와 화합물 제거(103,052.73), 잔재생체량 유지(2.31), 산포 및 연결성 유지(6.50), 저서성무척추동물의 종다양성(1.60), 척추동물의 종다양성 및 종수(2.52/ 151.50) 등에서 기능지수 값이 상대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금산군 생활권 마을습지 기능평가 및 현명한 이용 전략 연구 (A Study on Wise Use and Function Assessments of the Geumsan-gun Village Wetlands)

  • 박미옥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5-24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pose the functional assessment and a wise use strategy on the ecologically valuable 'village wetlands' distributed in living area in Geumsan gun, Chungnam province, Korea. The targets of the functional evaluation were 24 wetlands, selected from 123 village wetlands, where villages and agricultural lands or core ecosystems are located within living area near the wetland and wetlands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The functional 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RAM (Rapid Assessment Model) and the conservation strategies were suggested. As a result of the functional evaluation, 9 wetlands were rated 'high' (2 'absolute conservation' and 7 'conservation' strategies), 14 wetlands were rated 'medium' ('enhancement' strategies), and one wetland was rated 'low' ('restore or enhancement' strategy). In consideration of the results of the functional evaluation, interviews with village residents, and historic meaning, 6 important village wetlands were selected that require additional management strategies, such as conservation, enhancement, and restoration. 2 wetlands were from "absolute conservation" strategy and 4 wetlands derived from "conservation" and "enhancement" strategy wetlands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ical connectivity of wetlands, the use of surrounding land, and the function as a biological habitat. The wise use and conservation strategy was specifically proposed respectively.

습지형 구하도의 기능평가 제안 (Proposal of Functional Assessment for Wetland-type Abandoned Channel)

  • 강수진;강준구;홍일;여홍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47-559
    • /
    • 2012
  • 구하도는 예전에 물이 흘렀던 흔적을 말하며 우리나라는 1960년대 하천정비사업으로 인해 인위적으로 생성된 습지형 구하도가 대부분이다. 습지형 구하도는 홍수조절을 하며, 생물서식의 보고가 되고, 인간에게 심미적 가치를 주는 등 중요한 생태계이다. 하지만 폐천부지로 분류되어 관리가 소홀하고 그 흔적조차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습지형 구하도의 훼손정도를 명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관리 및 투자의 근거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습지형 구하도의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국내 습지형 구하도 환경에 적합한 4가지 속성(자연성, 서식처, 친수성, 수질)과 21개의 지표를 선정하였으며, 낙동강의 두 개 지점에 적용해 본 결과 지점1은 중 장기적으로 보호 또는 개선이 필요한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지점2는 우선보호지역으로 나타났다. 이 평가법은 국내에 방치되어 있는 습지형 구하도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관리에 도움을 줄 것이며, 향후 국가하천사업시 하도에 최적화된 평가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충청남도 내륙습지 특성 및 기능평가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Assessment of Inland Wetlands in Chungnam Province)

  • 박미옥;구본학;김하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92-100
    • /
    • 2009
  • This study was surveyed from May to October, 2008 in order to classify type distribution and evaluate the function of inland wetland as a ecological axis in Chungnam province. Assessment was done by modified-RAM (Rapid Assessment Method). RAM is consisted of total 8 functions and divided into high, moderate, low. The conservation grade of RAM is divided into 4 grades; absolute conservation, conservation, improvement and restoration. Throughout survey on total 13 wetlands of Lacustrine, Palustrine wetland which are distributed in Chungnam province, their function was assessed. As result, the 2 wetlands were judged as absolute conservation grade by assessment of 8 functional contents, and 7 sites were improvement wetlands and 4 sites were conservation wetlands. The function of wetlands assessed as conservation grade showed high in water quality protection and improvement. Also, showed high in vegetation diversity, wildlife habitat and aesthetic recreation. Meanwhile, showed low in Water quality purification, Shoreline/Stream Bank Protection. Of wetlands evaluated as conservation grade, Jeong-juk Ji and Dun-ri reservoir were assessed as absolute conservative area. These wetlands are essential to be managed continuously as a area having high ecological value. Farther, these wetlands will be done as a axis of ecological network related to 'Kumbuk jeongmaek' eco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