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land preference plant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Floristic Study and Conservation Plan on Abandoned Paddy Field Type of Forest Wetlands in Korea

  • Jong-Won Lee;Ho-Geun Yun;Jong-Bin A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20-761
    • /
    • 2022
  • This study surveyed the vascular flora present in abandoned paddy field type of 237 forest wetlands in Korea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conservation, management, and monitoring and to support preparation for damage and climate change. The study period was from April 2015 to November 2021. The vascular flora of 237 forest wetlands by abandoned paddy field type were identified to consist of 128 families, 510 genera, 1,022 species, 27 subspecies, 87 varieties, 10 forma, and 1,146 taxa. 4 taxa were identified as grade II endangered wild plants, 185 taxa were identified as northern lineage plants of the Korean Peninsula, 43 taxa were endemic to the Korean Peninsula, and 58 taxa were rare plants a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Further, 296 taxa were floristic target plants and there were 86 taxa of invasive alien plants. According to wetland preference, 79 taxa (6.9%) were obligate wetland plants, 103 taxa (9.0%) were facultative wetland plants, and 61 (5.3%) taxa were facultative plants. Additionally, 66 taxa (5.8%) were facultative upland plants, and 837 taxa (73.0%) were obligate upland plants.

Categorized wetland preference and life forms of the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 Choung, Yeonsook;Min, Byeong Mee;Lee, Kyu Song;Cho, Kang-Hyun;Joo, Kwang Yeong;Hyun, Jin-Oh;Na, Hye Ryun;Oh, Hyun Kyung;Nam, Gi-Heum;Kim, Jin-Seok;Cho, Soyeon;Lee, Jongsung;Jung, Sangyeop;Lee, Jaeye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1호
    • /
    • pp.72-77
    • /
    • 2021
  • Background: In 2020, a categorized list of wetland preferences, major habitats, and life forms of 4145 vascular plant taxa occurring in the Korean Peninsula was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We analyzed the list and explored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five categorized groups according to wetland preference, along with the information on the major habitats and the life forms of the plants belonging to those categories. Results: Out of 4145 taxa, we found that 729 wetland plant taxa (18%) occur in Korea: 401 obligate wetland plants and 328 facultative wetland plants. Among the 729 wetland taxa, the majority (73%) was hygrophytes and the remaining 27% was aquatic macrophytes. Furthermore, almost all of the wetland taxa are herbs; so, woody plants are only 4.7%. The 16 carnivorous taxa distributed in Korea were characterized as obligate wetland plants. Conclusions: We expect the categorized information would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species and would be an important source for understanding,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wetland ecosystems.

전라남도 고흥군 우량 산림습원의 군락구조 및 천이경향 (Community Structure and Vegetation Succession Tendency of Outstanding Forest Wetlands in Goheung-gun, Jeollanam-do)

  • 이준혁;이정은;변준기;안종빈;김호진;윤충원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1-61
    • /
    • 2024
  • 본 연구는 전라남도 고흥군 소재 우량 산림습원 2개소를 대상으로 군락구조를 파악하고 그에따른 천이경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2023년 5월부터 10월까지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식생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자료를 토대로 군락을 분류하여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골풀아재비군락, 꽝꽝나무-진퍼리새군락, 오리나무진퍼리새군락, 진퍼리새군락, 오리나무-소나무군락, 오리나무군락의 총 6개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각 층위별 중요치를 분석한 결과, 골풀아재비군락에서는 절대습지식물인 골풀아재비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5개 군락의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는 습지의 극상종인 오리나무, 절대육상식물인 소나무와 꽝꽝나무가, 초본층에서는 중간습원의 대표종인 진퍼리새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조사지 내 출현한 모든 관속식물을 습지선호도에 따라 분류한 결과, 골풀아재비군락에서는 절대습지식물의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나머지 5개 군락에서는 절대육상식물의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다. 골풀아재비군락을 제외한 나머지 5개 군락에서는 우량 산림습원을 구성하는 식물 중 육상식물의 출현비율이 높고, 습지가 건조화되는 단계에서 나타나는 진퍼리새가 번성하고 있어 습지의 천이 및 육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남권역 우량 산림습원의 관속식물상 변화 및 보전방안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plan of Vascular Plants in Outstanding Forest Wetlands in Jeonnam Area)

  • 이종원;윤호근;강신호;안종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24-255
    • /
    • 2022
  • 본 연구는 전남권역 우량 산림습원 32개소를 대상으로 1차 조사와 2차 조사에서의 관속식물상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량 산림습원의 향후 모니터링 체계구축과 효과적인 관리를 진행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는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조사지역을 4-5년 주기로 계절별로 2회 이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남권역 우량 산림습원 32개소의 식물상 변화는 103과 311속 496종 16아종 38변종 6품종 556분류군에서 111과 362속 599종 16아종 51변종 8품종 674분류군으로 증가하였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12분류군에서 16분류군, 한반도 관속식물 적색목록은 18분류군에서 2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95분류군에서 123분류군, 한반도 석호식물은 286분류군에서 328분류군, 침입외래식물은 17분류군에서 26분류군으로 전체 식물상이 증가함에 따라 특기할만한 식물도 동시에 증가하였다. 하지만 느리미고사리, 나도고사리삼, 개쓴풀, 개박하 등은 지역적으로 절멸하여 현지 내외 복원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습지선호도에 따른 유형이 구분된 식물은 절대습지식물은 69분류군에서 78분류군, 임의습지식물은 63분류군에서 69분류군, 양생식물은 64분류군에서 82분류군, 임의육상식물은 85분류군에서 96분류군, 절대육상식물은 275분류군에서 34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습지식물류의 분포 비율은 약간 감소하고 육상식물의 분포 비율은 다소 증가하여 산림습원 육화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경계를 구분할 수 있는 조사기법 등을 개발되어야한다. 그리고 산림습원을 효과적으로 보전할 수 있는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확대 지정하여 체계적으로 관리·감독해야 한다.

장애인복지관 프로그램 운영자의 옥상녹화 구성요소 선호도 (A Study on the Preference for Green Roof Operators of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 윤지영;강은지;강현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54-462
    • /
    • 2012
  • 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장애인들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복지관 운영자를 대상으로 옥상녹화지의 공간, 시설 및 식재식물,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대상지는 세 지역으로 전원형태의 복지관인 남양주 장애인복지관, 도심형의 서울 장애인복지관, 전원과 도심의 중간형태를 띠고 있는 시흥 장애인복지관을 선정하여 대상지별 특성에 따른 선호도 차이에 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 지역 모두 50%이상이 복지관내 옥상녹화지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며 이용목적으로는 산책과 대화의 장소로서 옥상을 활용하고 있었다. 시설물 선호도는 세 지역에서 벤치, 파고라, 휴지통 등 휴게시설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식재식물은 허브식물, 관상수 등 관상가치가 높은 식물을 선호하고 있었다. 공간선호도의 경우 텃밭, 체험실습장, 생태습지 등 원예프로그램을 할 수 있는 자연체험공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복지관 옥상녹화지는 휴식공간과 함께 장애인들의 자연학습공간으로서 충분히 활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선호 프로그램의 경우 자연체험프로그램(28.9%)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원예프로그램(27.0%) 순으로 나타나 옥상에서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장애인복지관 옥상녹화지를 단순 휴게의 공간 뿐 아니라 장애인들의 자연체험, 원예치료공간으로서 치유기능을 부각시킬 수 있는 녹화구성요소의 차별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