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d yeasts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산 야생효모에 관한 연구 2 (Studies on the wild yeasts in Korea (II))

  • 박명삼;라철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95-102
    • /
    • 1970
  • From the crops Drosophila collected in Mt. Sokni and Mt.Kyeryong, 7 strains were isolated and then 6 species of wild yeast were identified. 1) Of these six species of wild yeasts two were to be of genus Saccharomyces(Ascosporgenous), two Torulopsis and two Trichosporon (both genuses of Asporogenous). 2) It was found that the fermentation of the wild yeasts isolated from Drosophila was much better than that of any others ; in particular, S. florentinus and S. cerevisiae were good in fermenting maltose. 3) After being cultivated in malt extract agar medium at $25^{\circ}C$ for 3 days, the vegetative cells were found to be big but Torulopsis cells small. 4)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species of yeasts used fro food by Drosophila largely depends on genus and species of Drophila. 5) Of the yeasts isolated from the Drosophila, Trichosporon capitatum and Torulopsis dattila, which has not previously been recorded, were identified. 6) It is believed, therfore, that S.florentinus, powerful in fermenting maltose, will be extremely useful in terms of industrial application.

  • PDF

Production of Anti-dementia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from the Wild Yeasts Saccharomyces cerevisiae WJSL0113 and Wickerhamomyces anomalus JSF0128

  • Kim, Ji-Yoon;Lee, Sang-Yeop;Han, Sang-Min;Lee, Jong-Soo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47-457
    • /
    • 2018
  • In this paper, the screening of potent acetylcholinesterase (AChE) inhibitor - producing yeasts from wild yeasts and the condition for the production of anti-dementia AChE inhibitors are described. Among one hundred and seven non-pathogenic wild yeast strains from the waters and soils of three main river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midstream of Yeongsangang river in Sangju, sporogenous Saccharomyces cerevisiae WJSL0113 and asporogenous Wickerhamomyces anomalus JSF0128 were selected as useful strains for the production of potent AChE inhibitors. The AChE inhibitors of S. cerevisiae WJSL0113 and W. anomalus JSF0128 had a maximum yield when they were incubated in yeast extract-peptone-dextrose media (pH 6.0 in S. cerevisiae WJSL0113 and pH 5.0 in W. anomalus JSF0128) for 18 hr at $30^{\circ}C$, respectively.

대전과 충남 지역에서 채취한 야생화로부터 효모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Yeasts from Wild Flowers of Daejeon City and Chungcheongnam-do in Korea)

  • 민진홍;현세희;강민구;이향범;김창무;김하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41-144
    • /
    • 2012
  • 자연환경에서 분포하고 있는 효모의 mycoflora를 확인하고 궁극적으로 이들을 고부가가치의 산업에 응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대전과 인근 충남지역 일부의 야생화들을 채집하여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대전지역 야생화 42점에서 32종의 효모들을 54균주 분리하였고 이들 중 Cryptococcus 속균과 Phodotonula 속균 등이 우점균이었으며 Metschnikowia 속균과 같이 희귀 효모들을 20여종 분리하였다. 대전 인근의 충남 금산군과 논산군 일부지역의 야생화 28점에서 모두 18종의 효모들을 26균주 분리하였다. 이들 균 중에서 Candida 속균과 Pseudozyma 속균 등이 우점균으로 분리되었다.

Characteristics of Two Unrecorded Yeasts from Wild Flowers in Ulleungdo, Korea

  • Hyun, Se-Hee;Min, Jin-Hong;Lee, Hyang Burm;Kim, Ha-Kun;Lee, Jong-Soo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0-173
    • /
    • 2014
  • Two unrecorded yeasts, Meyerozyma caribbica UL5-1 and Pichia silvicola UL6-1 were screened from 58 yeasts which were isolated from wild flowers in Ulleungdo in Gyeongsangbuk-do, Korea. The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se unrecorded yeasts were investigated. Both yeasts were oval in shape and formed pseudomycelia. P. silvicola UL6-1 formed ascospore, but M. UL5-1 did not. P. silvicola UL6-1 and M. caribbica UL5-1 also grew in vitamin-free medium and 5% NaCl-containing yeast extract-peptone-dextrose medium. The two unrecorded yeasts assimilated glucose, galactose, xylose, cellobiose, trehalose, glycerol and sorbitol, and also fermented glucose, fructose and mannose. The supernatant of both M. caribbica UL5-1 and P. silvicola UL6-1 showed high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84.2% and 82.6%, respectively. Cell-free extract of P. silvicola UL6-1 also showed very high anti-diabetic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85.8%).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New Records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Yokjido, Korea

  • Hyun, Se-Hee;Lee, Jong-Soo
    • Mycobiology
    • /
    • 제42권2호
    • /
    • pp.198-202
    • /
    • 2014
  • Two new yeast records, Cryptococcus adeliensis YJ19-2 and Cryptococcus uzbekistanensis YJ10-4 were screened from 60 yeasts strains that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wild flowers in Yokjido, Gyeongsangnam-do, Korea. The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recorded yeasts and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the supernatants and cell-free extracts obtained from their cultures were investigated. The two newly recorded yeasts did not form ascospores and pseudomycelia. They also grew well in yeast extract-peptone-dextrose broth. C. uzbekistanensis YJ10-4 grew in a vitamin-free medium and was also tolerant to sugar and salt.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the supernatant from C. adeliensis YJ19-2 was high (71.8%) and its cell-free extract also showed very high (81.2%) antidiabetic $\acute{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향신료 재배 토양과 주변 산림 토양으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Unrecorded Wild Yeasts Obtained from Soils of Spice Fields and Mountains)

  • 김지윤;한상민;박선정;장지은;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51-160
    • /
    • 2020
  • 향신료 재배 토양 내에서 분리한 효모 중 이들의 분포와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의 향신료 재배토양에서 35종 58균주의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Trichosporon moniliiforme균이 우점균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대둔산 일대 산림토양에서 46균주의 야생효모들을 분리하였고 이들 향신료 토양들과 산림 토양 등에서 분리한 야생효모들 중 아직까지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Debaryomyces vindobonensis GHY31-3, Pseudozyma alboarmeniaca CD23-5, Filobasidium stepposum SFG1-4, Aureobasidium caulivorum HD17-5, Metschnikowia noctiluminum HD29-2, Papiliotrema anemochoreius NK2-12, Hannaella surugaensis DCH25-5, Microbotryozyma collariae DCH1-4, Rhodosporidiobolus lusitaniae DCH30-2, Wickerhamiella azyma DCH46-3등 10균주의 국내 미기록 효모들을 선별하였다. 이들 미기록 균주들은 구형-타원형으로 출아, 분열법으로 영양 증식하였다. Filobasidium stepposum SFG1-4균주를 포함하는 5균주들은 포자를 형성하였고 Pseudozyma alboarmeniaca CD 23-5등 3 균주들은 비타민을 첨가하지 않은 YPD 배지에서도 모두 생육하였다. Wickerhamiella azyma DCH 46-3는 20% 포도당을함유한 YPD 배지에서, Debaryomyces vindobonensis GHY31-3 균주는 5% NaCl을함유한 YPD 배지에서 잘 자라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이들의 무세포추출물들의 항산화 활성은 거의 없거나 10% 미만이었지만,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Filobasidium magnum SFG1-3가 28.6%로 높게 나타났으며, 미백성 tyrosinase 저해활성은 Rhodotorula mucilaginosa GHP40-2 균주의 무세포추출물이 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금강 상류와 태안, 순천만 해변들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균학적 특성 (Isolation of Wild Yeasts from Riversides in Geumgang Upstream, Taean and Suncheonman Seashores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Unrecorded Wild Yeasts)

  • 박선정;장지은;이향범;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67-79
    • /
    • 2021
  • 금강 상류와 태안, 순천만 등 해안주변환경의 야생효모들의 효모 종 분포특성을 조사하고 국내 미발표된 효모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균학적 특성들을 알아보고자 금강 상류인 충남 금산의 천내강과 서해안에 있는 청포대 해수욕장 및 순천만 습지대 주변의 물과 토양들로부터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 중 국내 미기록 효모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균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금산의 천내강 주변 물과 토양 40점에서 49종의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태안의 청포대 해수욕장과 순천만 습지대 주변 물과 식물체 부식물 및 토양 80점에서 각각 56종, 36종의 야생효모 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지역에서분리, 동정한야생효모들중C. michaelii NNIBRFG28278, Sp. japonicus NNIBRFG28271, D. buhagiarii NNIBRFG28279, U. spermophora NNIBRFG28273, N. pomicola NNIBRFG31590, C. natalensis NNIBRFG31591, C. pseudorhagii NNIBRFG31592, C. santamariae NNIBRFG31593, Cu. terricola NNIBRFG31594, M. nashicola NNIBRFG31595등 10균주들이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로 최종 선별되었다. 이들 미기록 효모들은C. pseudorhagii NNIBRFG31592과 Cu. terricola NNIBRFG31594 만이 구형이고 나머지 균들은 난형으로 Sp. japonicus NNIBRFG28271와 C. natalensis NNIBRFG31591 두 균주만이 포자를 생성하였다. U. spermophora NNIBRFG28273균주는 vitamin-free배지에서도 생육이 아주 양호하였고 Sp. japonicus NNIBRFG28271균주는 15% NaCl을 함유한 YPD배지에서도 생육이 양호한 호염성균이었다.

낙동강 상주보와 금강중류 대청댐 주변으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균학적 특성 (Isolation of Wild Yeasts Obtained from Waters and Soils of Riversides in Sangjubo of Nakdong River and Daechung Dam of Geumgang Midstream, Korea and Characterization of Unrecorded Wild Yeasts)

  • 한상민;박동재;김지윤;임효진;이향범;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37-249
    • /
    • 2020
  • 경상북도 낙동강의 상주보와 금강중류인 대전시 신탄진의 대청댐주변의 야생효모들의 종 분포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이들지역의 토양과 물들로부터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낙동강의 상주보에서 채취한 시료 47점에서 모두 39종 94 균주의 야생효모들이 분리, 동정되었고 Cryptococcus속 균들이 가장 많았다. 이들중Rhodosporidium azoricum JSL-GRU-009를 포함한 3균주들이 아직까지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미기록 효모들로 최종 선별되었다. 또한, 금강중류지역인 대전시 신탄진의 대청대교와 대청댐주변 토양과 물등 130종의 시료들로부터 105종 209균주들이 분리, 동정되었고 이들 야생효모 균주들로부터 Bullera pseudoalba JSL-GRU-005를 포함한 10종의 균들이 국내 미기록 효모들로 최종 선별되었다. 이들 낙동강 상주보와 대청댐등에서 선별된 13균주들의 균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이들 미기록 균주들은 구형~타원형으로 출아, 분열법으로 영양 증식하였다. R. azoricum JSL-GRU를 포함한 9균주들이 포자를 형성하였고 10균주들이 비타민을 첨가하지 않은 YPD 배지에서 생육하였다.R. azoricum JSL-GR균주는 20% 포도당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잘 생육하였고, R. oryzicola JSL-GRU-003를 포함한 3 균주는 5% NaCl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생육하였다.

우리나라 해안 근접지역과 일부 내륙지역 야생화들로부터 분리한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특성 (New Records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Coast Near Areas and Inland Areas, Korea)

  • 현세희;이향범;김창무;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74-80
    • /
    • 2013
  • 국내 해안 근접지역과 내륙 일부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야생화들로부터 분리, 동정한 효모들 중에서 국내 미기록 효모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미생물학적 특성들을 조사하였다. 동해시의 야생화들에서 Candida silvae와 Cryptococcus terrestris, 안동시 부근의 야생화에서는 Auriculibuller fuscus의 국내에서 보고되지 않은 효모들을 분리하였다. 충남 내륙지역인 금산군에서는 Candida quercitrusa, Hanseniaspora opuntiae등의 미기록 효모들을 분리하였다. 또한 서해안 지역의 대천시에서는 Hannaella zeae, 태안시의 야생화에서는 Ca-ndida saopaulonensis, Sporobolomyces carnicolor, sporobolomyces phaffii등이 미기록 효모들로 분리, 선별하였고 예산군에서는 Candida oleophila와 Jaminaea angkoriensis 미기록 효모들을 분리하였다. 우리나라 서남부지역인 광주시 야생화에서는 Hanseniaspora vineae, 최남단인 완도군에서는 Pseudozyma hubeiensis, Pichia mexicana 등 모두 8곳에서 14종의 미기록 효모들을 분리하였다. 이들 미기록 효모들의 형태적, 배양학적 성질들이 조사한 결과 유포자 효모가 3종, 무포자 효모가 11종이었고 위균사 형성 효모가 7종이었으며 각기 다른 배양학적 특성을 보였다.

각종 곡류들로부터 야생 효모의 분리 및 종 다양성 (Isolation and Diversity of Wild Yeasts from Some Cereals)

  • 한상민;박원종;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4-67
    • /
    • 2015
  • 전통 재래시장 등에서 수집한 곡류 11점에서 효모 14종 26균주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 균주 중에서 Saccharomyces cerevisiae가 5균주로 단일 종으로는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Pseudozyma antarctica도 4균주가 분리되었으며 Cryptococcus magnus를 포함하는 Cryptococcus도 5종이 분리되었다. 또한 서리태와 차조에서 각각 4종의 비교적 많은 야생 효모들이 분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