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ner Takes All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5초

플랫폼 비즈니스에서의 승자독식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특성 (Service Characteristics Leading to "Winner-takes-all" Phenomenon in Platform Business)

  • 전익진;안재현;김도훈
    • 경영과학
    • /
    • 제33권4호
    • /
    • pp.33-49
    • /
    • 2016
  • The market of platform business is typically served by a few dominant players, presenting "winner-takes-all" phenomenon. This study aims to find service characteristics leading to the phenomenon. Six different service-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 Same-side network effect, cross-side network effects, entry barrier, multi-homing cost, switching cost, and heterogeneity of preference. To assess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f market share, HHI (Herfindahl-Hirschman Index) is calculated for top three major players. Based on the HHI value, 10 most eminent platform businesses ar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segments and each segment is characterized with key factor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provide some insight into the strategic management of platform business.

A VLSI Design for Scalable High-Speed Digital Winner-Take-All Circuit

  • Yoon, Myungchul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177-183
    • /
    • 2015
  • A high speed VLSI digital Winner-Take-All (WTA) circuit called simultaneous digital WTA (SDWTA) circuit is presented in this paper. A minimized comparison-cell (w-cell) is developed to reduce the size and to achieve high-speed. The w-cell which is suitable for VLSI implementation consists of only four transistors. With a minimized comparison-cell structure SDWTA can compare thousands of data simultaneously. SDWTA is scalable with O(mlog n) time-complexity for n of m-bit data. According to simulations, it takes 16.5 ns with $1.2V-0.13{\mu}m$ process technology in finding a winner among 1024 of 16-bit data.

인터넷 신경제의 디지털디바이드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Digital Divide in Internet New Economy)

  • 박성주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1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54-54
    • /
    • 2001
  • 인터넷으로 비롯된 신경제의 큰 특징중의 하나는 계층간의 격차 (Digital Divide)이다. 이러한 계층간의 격차는 인터넷의 특성인 Winner-takes-all 현상에 의해 일어나며 이는 확률적으로 Nonlinear Polya Game을 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가정하에서 Nonlinear Polya Game의 행태를 분석해 보고 Digital Divide를 최소화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분석의 경제적이고 정책적인 의미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신경망을 이용한 Banyan 네트워크 컨트롤러의 하드웨어 구현 (Implementation of Banyan Network Controller by Using Neural Networks)

  • 윤인철;정덕진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43권5호
    • /
    • pp.861-865
    • /
    • 1994
  • By using Neural Networks, a 8$\times$8 Banyan network controller is designed and implemented. In order to solve internal blocking and output blocking, Winner-Take-All method is used. The longer queue takes higher priority. First-in-first-out method is used among the non-blocking cells in the queue selected.The required time to select a cell is 2.7 $\mu$sec for 155Mbps. The implemented controller using Xilinx FPGA chip selects cells within 2.5$\mu$sec.

  • PDF

민주화 20년의 한국정치: 지체된 개혁과 전환기의 혼돈 (Korean Politics of 20 years after Democratic Transition: Delayed Reform and New Challenge)

  • 김만흠
    • 의정연구
    • /
    • 제15권2호
    • /
    • pp.131-158
    • /
    • 2009
  • 민주화와 더불어 선거정치에 토대를 둔 대의제가 본격적으로 가동된 지 20여 년이 지났다. 그동안 선거를 통한 정권교체도 이루었고, 민주화 세력이 적어도 두 번 이상 집권에 성공했다. 또 민주화 세력에 대한 실망으로 또 다시 정권교체가 일어나기도 했다. 선거를 통한 정권교체라는 대의정치의 기본 동력이 발휘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대의권력이 민주적 안정의 구심점이 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우리의 불안정한 민주체제는 정권변동과 대의제 환경의 변화라는 이중적인 전환 속에서 과도기의 혼돈을 겪고 있다. 민주주의 후퇴 논란도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지체된 개혁과제와 변화된 대의제의 환경에 주목해 한국 민주주의의 현실을 진단한다. 전환기적 상황으로는 민주화 동력의 소진에서 정권 재교체에 이르는 정치변동, 그리고 인터넷 시대와 정치동원 구조의 변화, 직접행동과 대의민주주의 등을 주요 논제로 다룬다. 그리고 분열의 정치와 '반쪽 정당성', 대권정치에 종속된 의회 정치라는 한국정치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는 개혁과제로 현행 대통령제의 개편을 주장한다.

효과적인 패턴 인식을 위한 개선된 Counterpropagation 알고리즘 (An Enhanced Counterpropagation Algorithm for Effective Pattern Recognition)

  • 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1682-1688
    • /
    • 2008
  • CP(Counterpropagation) 알고리즘은 Kohonen의 경쟁 네트워크와 Grossberg의 아웃스타(Outstar) 구조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패턴 매칭, 패턴 분류, 통계적인 분석 및 데이터 압축 등 활용분야가 다양하고, 다른 신경망 모델에 비해 학습이 매우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CP 알고리즘은 충분한 경쟁층의 수가 설정되지 않아 경쟁층에서 학습이 불안정하고, 다양한 패턴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패턴들을 정확히 분류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CP 알고리즘은 출력층에서 연결 강도를 조정할 때, 학습률에 따라 학습 및 인식 성능이 좌우된다.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패턴인식을 위해 다수 경쟁층을 설정하고, 입력 벡터와 승자 뉴런의 대표 벡터간의 차이와 승자 뉴런의 빈도수를 학습률 조정에 반영하고 학습률을 동적으로 조정하여 경쟁층에서 안정적으로 학습되도록 하고, 출력층의 연결강도를 조정할 때 모멘텀(Momentum) 방법을 적용한다. 제안된 CP 학습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실제 여권에서 추출된 개별 코드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개선된 CP 알고리즘이 기존의 CP 알고리즘보다 학습 성능, 분류의 정확성 및 인식 성능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OVA SVM의 동적 결합을 이용한 효과적인 지문분류 (Effective Fingerprint Classification with Dynamic Integration of OVA SVMs)

  • 홍진혁;조성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2)
    • /
    • pp.883-885
    • /
    • 2005
  • 지지 벡터 기계(Support Vector Machine: SVM)를 이용한 다중부류 분류기법이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SVM은 이진분류기이기 때문에 다중부류 분류를 위해서 다수의 분류기를 구성하고 이들을 효과적으로 결합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정적인 다중분류기 결합 방법과는 달리 포섭구조의 분류모델을 확률에 따라 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확률적 분류기인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NB)를 이용하여 입력된 샘플의 각 클래스에 대한 확률을 계산하고, OVA (One-Vs-All) 전략으로 구축된 다중의 SVM을 획득된 확률에 따라 포섭구조로 구성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OVA SVM에서 발생하는 중의적인 상황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고성능의 분류를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문분류 문제에서 대표적인 NIST-4 지문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1.8\%$의 거부율에서 $90.8\%$의 분류율을 획득하였으며, 기존의 결합 방법인 다수결 투표(Majority vote), 승자독식(Winner-takes-all), 행동지식공간 (Behavior knowledge space), 결정템플릿(Decision template) 등보다 높은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효과적인 지문분류를 위한 SOM기반 OVA SVM의 결합 기법 (SOM-based Combination Method of OVA SVMs for Effective Fingerprint Classification)

  • 홍진혁;민준기;조성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B)
    • /
    • pp.622-624
    • /
    • 2005
  • 대규모 지문인식 시스템에서 비교해야할 지문의 수를 줄이기 위해서 지문분류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최근 이진분류기인 지지 벡터 기계(Support Vector Machine: SVM)를 이용한 지문분류 기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부류 지문분류에 적합하도록 자기 구성 지도(Self-Organizing Map:SOM)를 이용하여 OVA(One-Vs-All) SVM들을 결합하는 지문분류 기법을 제안한다. SOM을 이용하여 OVA SVM들을 동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 지도를 생성하여 지문분류 성능을 높인다. 지문분류에 있어 대표적인 NIST-4 지문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Jain이 구축한 FingerCode 데이터베이스에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1.8\%$의 거부율에서 $90.5\%$의 분류율을 획득하였으며, 기존의 결합 방법인 승자독식(Winner-takes-all)과 다수결 투표(Majority vote)보다 높은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시간 지연을 갖는 쌍전파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근전도 신호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G Signals Recognition using Time Delayed Counterpropagation Neural Network)

  • 권장우;정인길;홍승홍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95-401
    • /
    • 1996
  • In this paper a new neural network model, time delayed counterpropagation neural networks (TDCPN) which have high recognition rate and short total learning time, is proposed for electromyogram(EMG) recognition. Signals the proposed model increases the recognition rates after learned the regional temporal correlation of patterns using time delay properties in input layer, and decreases the learning time by using winner-takes-all learning rule. The ouotar learning rule is put at the output layer so that the input pattern is able to map a desired output. We test the performance of this model with EMG signals collected from a normal subjec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recognition rates of the suggested model is better and the learning time is shorter than those of TDNN and CPN.

  • PDF

선도 R&D 계획에 관한 계량서지분석; 과학문헌에서의 유망동향 탐색 (Bibliometrics for advancement R&D Planning : Detecting Emerging Trends in Scientific Literatures)

  • 이우형;이명호;박준철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8권4호
    • /
    • pp.19-40
    • /
    • 2009
  • 승자독식(Winner Takes All)이라는 글로벌 경쟁원리로 인해 세계 주요 국가들 사이에 R&D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도 R&D 지원 확대 및 다양한 정책기획 활동 등이 전개되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구 국가 차원에서 기획 및 정책조정이 효과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 차원에서는 "기획의 양척 과다와 질적 부실"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반면에 기술 융복합화의 가속화 등 R&D 환경의 불확실성은 더욱 높아졌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규모 증가와 함께 연구기획의 복잡성은 더욱 더 높아졌다. 최근에는 국가 차원의 비전수립과 중장기 정책기획에 기초하여 사업기획과 과제기획을 연계 수행하는 등 기획을 통해 과제를 도출하는 하향식 접근이 강조되면서 기획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최근 연구기획의 새로운 기법으로서 정보분석 방법론(Information Analysis Method)이 대두되고 있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적 기획을 위하여 기존 기술기획 위원회(Peer Review) 방식 외에 정보분석 방법론을 통한 보완이 필요하다. 본고의 목적 크게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연구기획 및 연구기획 방법론으로 기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전문가 위원회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둘째, 최근 대두되고 있는 정보분석 방법론과 정보분석 시스템 구축, 그리고 이를 활용한 10대 기술(반도체, 디스플레이, 디지털 망원전파, 이동통신, BcN, 차세대 컴퓨팅, SW솔류션, 디지털콘텐츠, 임베디드 SW, 지식정보보안)에 대한 유망기술 발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