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5초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for the Detection of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 in Peaches

  • Li, Weilan;Lee, Seung-Yeol;Back, Chang-Gi;Ten, Leonid N.;Jung, Hee-Yo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6호
    • /
    • pp.635-643
    • /
    • 2019
  • To detect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 a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detection method were developed. The LAMP assay was designed to test crude plant tissue without pre-extraction, or heating incubation, and without advanced analysis equipment. The LAMP primers were designed by targeting an ABC transporter ATP-binding protein, this primer set was tested using the genomic DNA of Xanthomonas and non-Xanthomonas strains, and a ladder product was generated from the genomic DNA of X. arboricola pv. pruni strain but not from 12 other Xanthomonas species strains and 6 strains of other genera. The LAMP conditions were checked with the healthy leaves of 31 peach varieties, and no reaction was detected using either the peach leaves or the peach DNA as a template. Furthermore, the high diagnostic accuracy of the LAMP method was confirmed with 13 X. arboricola pv. pruni strains isolated from various regions in Korea, with all samples exhibiting a positive reaction in LAMP assays. In particular, the LAMP method successfully detected the pathogen in diseased peach leaves and fruit in the field, and the LAMP conditions were proven to be a reliable diagnostic method for the specific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X. arboricola pv. pruni in peach orchards.

자두 검은점무늬병원균의 PCR진단 및 검출 (PCR Primer Developed for Diagnosis of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 in Prune)

  • 류영현;이중환;권태영;김승한;김동근
    • 식물병연구
    • /
    • 제16권2호
    • /
    • pp.125-128
    • /
    • 2010
  • 자두 주산지인 경북 김천을 비롯하여 의성, 경산, 군위지역에 발생하는 자두과실의 검은점무늬병 병원균을 조기 검출하기 위하여 integrons를 이용한 primer를 제작하고 DNA 추출향상을 위해 전배양법을 그리고 검출감도 향상을 위해 nested PCR을 시도하였다. 제작된 integrons primer로 병반 시료를 PCR한 결과 예상되는 크기인 760 bp로 증폭이 되어 검은점무늬병의 원인 병원균은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로 확인되었고 진단용 primer로 사용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DNA 추출 방법별로 PCR 진단효율은 조사한 결과 직접 추출하는 방법보다는 10% LB배지로 전배양한 다음 DNA를 추출하는 방법이 더 효과적이었고 nested PCR을 이용할 경우에는 과원내 강우중의 X. arboricola pv. pruni의 검출도 가능하였다. 이번에 개발된 Integrons primer를 이용, 전배양법과 nested PCR을 실시할 경우 1일 이내에 병징이 나타나지 않은 유묘에서의 X. arboricola pv. pruni 감염여부나 식물검역에서의 X. arboricola pv. pruni 감염식물 진단 등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에서 분리한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의 유전적 다양성 (Genetic Diversity of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 Isolated in Korea)

  • 박소연;이영선;신종섭;고영진;정재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84-687
    • /
    • 2009
  • 핵과류 과수에 세균성구멍병을 일으키는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는 집단의 다양성이 적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분리된 X. arboricola pv. pruni의 유전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동일한 16S rDNA 염기서열을 갖는 X. arboricola pv. pruni의 type strain인 LMG852, 일본 균주 MAFF301420, 우리나라 균주 XWD1의 세 균주를 대상으로 세 개 유전자 부위의 DNA 염기서열과 RAPD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ITS와 glnA, atpD의 염기서열은 세 균주가 동일하였다. 그러나 756 염기로 구성된 atpD의 염기서열은 GenBank에 등록된 프랑스균주와 5곳에서 차이가 있었다. 40개의 random primer를 사용한 RAPD 결과는 우리나라와 일본균주는 동일한 밴드 패턴을 보이나 대표균주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나라와 일본의 X. arboricola pv. pruni의 개체군은 매우 가까워 유전적 다양성이 낮은 것으로 보이며 유럽균주와는 다른 기원과 전파 경로를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Streptomyces sp. J46의 세균성구멍병원균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에 대한 항균 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Streptomyces sp. J46 against Bacterial Shot Hole Disease Pathogen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

  • 이정은;임다정;김인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0-32
    • /
    • 2021
  • BACKGROUND: Bacterial shot hole of stone fruits is a seriuos plant disease caused by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 (Xap). Techniques to control the disease are required. In this study, microorganisms with antibacterial activity were isolated to develop as a microbial agent against the bacterial shot hole. METHODS AND RESULTS: An isolate with the strongest activity among the isolates was identified as Streptomyces avidinii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and designated Streptomyces sp. J46. J46 showed suppression of bacterial leaf spot with a control value of 90% at 10 times-diluted cell free supernatant. To investigate antibacterial metabolites produced by J46, the supernatant of J46 was extracted with organic solvents, and the extracts were subjected to chromatography works. Antibacterial metabolites were not extractable with organic solvents. Both reverse and normal phase techniques were not successful because the metabolites were extremely water soluble. The antibacterial metabolites were not volatiles but protein compounds based on hydrolysis enzyme treatment.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Streptomyces sp. J46 may be a potential as an microbial agent against bacterial shot hole. Further study to identify the metabolites is required in more detail.

Xanthomonas aboricola pv. pruni에 의한 자두 검은점무늬병의 발생과 핵과류 과수 품종에 대한 병원성 (Occurrence of Bacterial Black Spot on Plum by Xanthomonas aboricola pv. pruni and It's Pathogenicity on Varieties of Some Stone Fruits)

  • 류영현;이중환;권태영;김승한;김동근
    • 식물병연구
    • /
    • 제18권1호
    • /
    • pp.40-44
    • /
    • 2012
  • 자두 검은점무늬병에 걸린 식물체로부터 순수분리된 X. arboricola pv. pruni 균을 NA배지에서 배양한 후 국내재배 핵과류에 분무접종한 결과 자두, 매실, 살구에 있어서는 과실에 뚜렷한 병원성을 나타내었으나 복숭아 과실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매실과 살구에서는 극심한 초기 과민성반응이 나타났는데 과실의 50% 정도가 생장 정지되어 낙과되는 현상을 보였으며 병반의 크기는 자두와는 달리 크게 진행되지 않고 많은 점무늬를 형성하는 병반형태를 나타내었고 복숭아에서는 과실병징이 나타나지 않았다. 접종된 여름철 신초가지에서 자두 포모사품종에서는 도관부까지 궤양조직이 형성되었으나 살구 그리고 매실에서는 체관부일부에서만 궤양조직이 형성되어 분리된 병원균은 자두 포모사품종에 특이적인 감염조직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약제별 및 살포시기별 자두 검은점무늬병 방제효과 (Control Efficacy of Different Types of Chemicals with Different Spraying Schedules on Plum Bacterial Black Spot)

  • 류영현;이중환;권태영;김승한;김동근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349-353
    • /
    • 2012
  • 자두 검은점무늬병은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에 의한 세균성 병해로 과실표면에 검은 반점형태의 병징이 발생하여 과실 상품성을 저하시켜 자두 재배농가에 큰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데 이러한 자두 검은점무늬병에 대한 효과적인 약제 방제체계를 개발하기 위하여 몇 종의 화학약제와 살포체계를 구성하여 휴면기중에는 동제 약제를 그리고 과실생육기중에는 항생제계열 약제를 살포하였는데 과실생육기중에서의 항생제계열 약제살포는 휴면기중의 동제 약제살포보다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자두의 개화만개 10일 후부터 10일 간격으로 3회의 항생제계열 약제살포는 93%의 높은 방제가를 얻을 수 있었는데 비해서 휴면기중의 동제 약제살포는 26-42%의 낮은 방제가를 얻는데 그쳤다. 또한 항생제계열 약제의 처음 살포시기가 개화만개 후 20일이나 30일 보다는 개화만개 후 10일에서 더 높은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채소 재배에서 사용하는 농용 항생제에 대한 주요 식물병원세균의 저항성 평가 (Evaluation of Resistance of Phytopathogenic Bacteria to Agricultural Antibiotics)

  • 김지연;백광현;이선영
    • 식물병연구
    • /
    • 제29권2호
    • /
    • pp.168-17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3종의 농용 항생제를 대상으로 Pectobacterium carotovorum,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Clavibacter michiganensis subsp. michiganensis, C. michiganensis subsp. capsici 및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를 포함하는 식물병원세균 91 균주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하였으며 다양한 농도의 발리다마이신에이 단독성분에 의한 흡광도 측정을 통해 분광학적으로 균주 생장을 확인하였다. 주성분으로 옥시테트라사이클린과 스트렙토마이신이 합제된 농용 항생제의 경우 안전사용기준 농도의 100배에서도 모든 균주가 생장하지 않았다. 그러나 스트렙토마이신이 주성분인 농용 항생제의 경우 안전사용농도와 그 10배의 농도에서 91개 균주 중 각각 4%와 2%에서 생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리다마이신에이의 경우에는 안전사용농도와 그 10배, 100배의 농도에서 각각 97%, 93%, 73%의 균주가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P. carotovorum이 발리다마이신에이에 가장 높은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리다마이신에이 단독성분을 통한 저항성을 확인한 결과, 농용 항생제 발리다마이신에이에 저항성을 가지는 균주와 가지지 않는 균주 간의 경향성은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식물병원세균에서 항생제 저항성 발달을 이해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ntibacterial Activity of Pharbitin, Isolated from the Seeds of Pharbitis nil, against Various Plant Pathogenic Bacteria

  • Nguyen, Hoa Thi;Yu, Nan Hee;Park, Ae Ran;Park, Hae Woong;Kim, In Seon;Kim, Jin-Cheo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0호
    • /
    • pp.1763-1772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isolate and characterize antibacterial metabolites from Pharbitis nil seeds and investigate thei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various plant pathogenic bacteria. The methanol extract of P. nil seeds showed the strongest activity against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 (Xap) with a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 value of $250{\mu}g/ml$. Among the three solvent layers obtained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P. nil seeds, only the butanol layer displayed the activity with an MIC value of $125{\mu}g/ml$ against Xap. An antibacterial fraction was obtained from P. nil seeds by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and identified as pharbitin, a crude resin glycoside, by instrumental analysis.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pharbitin was tested in vitro against 14 phytopathogenic bacteria, and it was found to inhibit Ralstonia solanacearum and four Xanthomonas species.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values against the five bacteria were $125-500{\mu}g/ml$ for the n-butanol layer and $31.25-125{\mu}g/ml$ for pharbitin. In a detached peach leaf assay, it effectively suppressed the development of bacterial leaf spot, with a control value of 87.5% at $500{\mu}g/ml$. In addition, pharbitin strongly reduced the development of bacterial wilt on tomato seedlings by 97.4% at $250{\mu}g/ml$, 7 days after inocul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rude extract of P. nil seeds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biopesticide for the control of plant diseases caused by R. solanacearum and Xanthomonas spp.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pharbitin against phytopathogenic bacteria.

복숭아 과원에서 월동 후 세균구멍병 방제를 위한 보르도액 최적 살포시기 (The Best Spray Timing for the Control of the Bacterial Shot Hole with Bordeaux mixture (6-6) after Wintering in the Peach Orchard)

  • 김산영;박원흠;손희정;이숙희;송영운;박소득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6-112
    • /
    • 2015
  • 복숭아 과원에서 월동 후에 세균구멍병 방제를 위한 보르도액(6-6)의 최적 살포시기를 구명하기 위해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복숭아 미백도와 유명 및 천홍 품종에서 2001년과 2002년, 2014년 3월 하순부터 4월 중순까지 보르도액(6-6)을 살포한 후 복숭아 세균구멍병 발병 양상과 약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2002년에 보르도액 살포시기별 세균구멍병 이병률의 경우 잎에서 10.2~11.7%, 과실에서 1.7~2.2% 정도였으며, 2014년에 보르도액 종류별 세균구멍병 이병률은 잎에서 21.2~30.4%, 과실에서 1.7~4.4%였다. 약해는 보르도액 처리 후 1주일 경에 미약하게 발생하였다. 착과율은 미백도에서 20.7~29.8% 였으며, 유명에서는 35.4~61.9% 정도였다. 개화기에 자가 조제한 보르도액을 살포했을 때 복숭아 세균구멍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보르도액 자가 조제구와 완제품 배량 처리구의 경우 21~25% 정도의 이병엽률로 완제품 기준량의 28~30% 정도에 비해 방제효과가 높았다.

다수성 매실 품종 '옥주' (Breeding of a New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Siebold et Zucc.) Cultivar 'Okjoo' with High Yields)

  • 김윤경;강삼석;최장전;조광식;원경호;이한찬;최진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6호
    • /
    • pp.912-916
    • /
    • 2014
  • 매실(Prunus mume Siebold et Zucc.)은 장미과에 속하는 과수로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기침이나 소화불량의 민간 요법 과실로써 사랑받아 왔다. 1993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에서 '옥영'과 '임주'를 교배하여 그 중 과실이 크고 과형이 좋으며 풍산성인 '옥주' 품종을 2006년에 선발, 육성하여 새로운 품종으로 등록하였다(등록번호: 4556호, 2013.6.18). '옥주' 품종의 만개기는 '옥영'보다 4일, '임주'보다 2일 빠르며 꽃잎색은 분홍색이고 꽃가루는 없다. PCR을 이용한 자가불화합인자 분석결과, 옥주의 자가불화합성 인자는 $S_3S_6$이었다. '옥주'의 성숙기는 6월 하순으로 과실은 원형이며 봉합선이 얕다. 평균과중 18.5g이며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7.66^{\circ}Brix$, 산 함량은 4.81%, 과피색은 녹색이지만 햇빛을 많이 받는 쪽의 과실 일부가 적색을 띄기도 한다. 또한, 검은별무늬병과 세균성구멍병의 발생이 비교적 적고, 수량성이 높아 재배농가들이 새로운 품종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