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ield-per-recruit model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남해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우럭, Mya japonica의 자원생태학적 특성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ft-shelled Clam, Mya japonica in the Intertidal Zone of South Sea in Korea)

  • 이선길;장창익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6권3호
    • /
    • pp.234-243
    • /
    • 2000
  • This paper is to study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rowth parameters, survival rate, instantaneous coefficients of natural and fishing mortalities, and age at first capture of the soft-shelled clam, Mya japonioa in the intertidal zone of South Sea in Korea. For describing growth of the clam a von Bertalanffy growth model was adopted, The von Bertalanffy growth curve had an additive error structure and the growth parameters estimated from a non-linear regression were SH/sub ∞/=79.83mm, K=0.26, and t/sub 0/= -0.01. Survival rate (S) of the soft-shelled clam was 0.26 (SD=0.02). The instantaneous coefficients of natural mortality (M) was estimated to be 0.78/year and fishing mortality (F) 0.57/year for the soft-shelled clam. The age at first capture (t/sub c/) was estimated as 2.69 year. The mean densities of the soft-shelled clam by bottom type were 3.40 inds./m²(SE=0.18) in the sand, 63.4 inds./m²(SE= 0.53) in the muddy sand, and 0 inds./m2 (SE=0) in the gravelly sand. The mean densities of the soft-shelled clam by 3 different areas were 4.88 inds./m²(SE=0.09), 2.61 inds./m²(SE=0.13), 7.20 inds./m²(SE=0.18), respectively and the biomass of the clam were estimated as 131mt, 121mt, 665mt, respectively. An yield-per-recruit analysis showed that the current yield-per-recruit of about 8.30g with F=0.57/year and the age at first capture (t/sub c/) 2.69 year, was lower than the maximum possible yield-per-recruit of 9.60g. Fixing to at the current level and increased fishing intensity (F) could produce an increase in the predicted yield-per-recruit from 8.30g to about 9.40. However, estimated yield-per-recruit increased to 1.30g by decreasing to from the current age (2.69 year) to age two with F fixed at the current level. Yield-per-recruit was estimated under harvest strategies based on F/sub max/ and F/sub 0.1/.

  • PDF

근해 유자망에 의해 어획되는 참조기자원의 관리를 위한 가입당 산란자원량 모델의 비교분석 (Coastal Water Fisheries Resources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이은지;서영일;박희원;강희중;장창익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4호
    • /
    • pp.535-54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가입에 따른 산란자원량의 변화를 나타내어 가입남획을 방지하는 가입당 산란자원량 모델(spawning biomass per recruit model)을 비교 분석하였다. 가입당 산란자원량 모델은 연령별 선택비를 고려하지 않는 (knife-edged selectivity) 방법과 연령별 선택비를 고려한 (age specific selectivity) 방법의 두 가지가 있으며 연령별 선택비를 고려하지 않는 방법의 경우 가입당 자원량의 식에 성숙비를 곱함으로써 가입당 산란자원량을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가입당 산란자원량 추정 방법은 어구가입 이후의 모든 연령을 고려하지 않고 어구가입 연령의 성숙비만을 가입당 자원량에 곱함으로써 가입당 산란자원량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수정하여 어구가입 이후의 모든 연령을 고려한, 즉, 연령별 자원량에 대해 가중평균된 성숙비를 가입당 자원량에 곱하여 가입당 산란자원량을 추정하였다. 한국 근해에서 유자망에 의해 어획되는 참조기자원을 대상으로 기존의 방법과 새로운 방법을 적용하여 추정된 가입당 산란자원량을 비교한 결과 어구가입연령의 성숙비가 1.00 이상에서는 가입당 산란자원량이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성숙비가 1.00 미만인 연령에서는 어구가입연령이 낮을수록 오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기존 방법에 의해 가입당 산란자원량이 과소 추정되었고 어구가입연령별로 가입당 산란자원량의 오차 값을 비교하였을 때, 적게는 4세 때의 0.25 g에서 많게는 1세 때의 130.69 g만큼의 오차가 나타났다. 또한 연령별 선택비를 고려하지 않는 방법과 연령별 선택비를 고려한 방법을 통해 $F_{35%}$를 비교한 결과 연령별 선택비를 고려하지 않는 방법 중 기존 방법에 의한 $F_{35%}$가 0.349/year로 나타났으며 새로운 방법에 의한 $F_{35%}$가 0.302/year로써 새로운 방법에 의한 값이 연령별 선택비를 고려한 방법에 의한 $F_{35%}$인 0.320/year와 유사하게 추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새로운 가입당 산란자원량 방법은 대부분의 어구가입연령이 2세 미만으로 낮게 나타나는 한국 연근해 어종을 대상으로 가입당 산란자원량 모델을 통해 자원평가를 실시할 경우 가입당 산란자원량과 그에 따른 적정어획수준의 오차 값을 줄여줄 것이며 기존의 방법을 통한 $F_{35%}$의 값은 과대 추정되어 남획의 위험이 있으므로 새로운 방법을 통해 적정어획수준을 추정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된다.

모의실험을 통한 남해 멸치(Engraulis japonicus)의 어획조건에 따른 가입당 생산 분석 (Simulation-based Yield-per-recruit Analysis of Pacific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the Korea Strait with Varying Fisheries Regulations)

  • 이경환;고성길;정석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37-446
    • /
    • 2017
  • To evaluate the consequences of possible fisheries regulations of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the Korea Strait, we developed and applied a simulation-based yield-per-recruit (Y/R) model that considered temperature-dependent growth and size-dependent mortality, covering the egg to adult stages. We projected changes in commercial yield and egg production of anchovy with respect to varying biological reference points of 1) the instantaneous fishing mortality, 2) the minimum fork length of anchovy allowed to catch for protecting smaller anchovy ($L_{c,min}$), and 3) the maximum fork length allowed to catch for protecting bigger anchovy ($L_{c,max}$). Our Y/R model showed that the anchovy yield will be maximized at ca. $1.4{\times}10^6tons$ when $L_{c,min}$ ranges between 42-60 mm or at ca. $0.8{\times}10^6tons$ when $L_{c,max}$ ranges from 88-160 mm. At $L_{c,min}=30mm$, the present minimum length of catch, our simulations indicated that the anchovy yield can reach a maximum of $1.2{\times}10^6tons$ in the long-term when the present fishing effort, which annually yields ca. $0.2{\times}10^6tons$ of anchovy, can be increased by a factor of 28. We expect that our simulation-based Y/R model can be applied to other commercially-important small pelagic species in which the traditional Beverton-Holt Y/R model is difficult to apply.

체장기반 가입당생산액 분석에 의한 한국 연근해 참조기 Larimichthys polyactis 자원과 갈치 Trichiurus lepturus 자원의 관리 (Management of small yellow croaker and hairtail in Korean waters using the length-based production value-per-recruit (PPR) analysis)

  • 장창익;김현아;강희중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2권3호
    • /
    • pp.220-231
    • /
    • 2016
  • Yield-per-recruit (YPR) analysis is used to provide management guidance for the efficient use of a fish cohort. However, the individual fish price per unit weight of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or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increases dramatically by size in Korea. Therefore, age-based production value-per-recruit (PPR) analysis has recently been developed (Zhang et al., 2014). Since age determination requires a substantial amount of money and time and it is even impossible for some fish species, it is difficult to obtain age information to apply the age-based PPR model. Thus, we attempted to develop an alternative method, which uses length data rather than age information, called the length-based PPR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length-based PPR analysis was much more conservative for stock management than the YPR analysis. Furthermore, the PPR analysis was more economically beneficial than the YPR analysis, which can prevent the fish stock from the economic overfishing. In conclusion, the length-based PPR analysis could be a proper approach for stock assessment in the case that the individual fish price per unit weight increases dramatically by size, and this analysis is useful to obtain vital management parameters under data-deficient situation when traditional stock assessment methods are not applicable.

한국 근해 복수어구 및 다종어업 자원 평가모델 연구 I. 단일어구에 의한 다종자원의 이용 (A Study on the Multi-gear and Multi-species Fisheries Assessment Models in Korean Waters I. Multi-species by a Single Gear)

  • 서영일;장창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55-358
    • /
    • 2001
  • 본 논문은 한국 근해 다종어업 자원의 평가모델에 대한 연구결과로서 대형기선저인망쌍끌이어업과 같은 단일어업에 의하여 다종자원을 이용하는 형태이다. 단일어구에 의한 다종자원의 평가모델은 단일어구에 어획되는 다종자원 중 어획량비율이 상위를 차지하는 어종을 선별한 후 각 어종에 대한 혼획율 및 자원생태학적 특성치를 추정하여 Beverton and Holt (1957)의 가입당생산량 모델을 변형시킨 다종가입당 생산량모델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모델은 현재의 $t_c$에서 다종에 대한$F_{0.1}$에 해 당하는 F값을 구하여 각 어종별 가입당산란자원량 모델에 적용하였으며, 이때의 산란자원량 수준인 $F_{x\%}$를 추정하여 자원평가에 이용하였다.

  • PDF

가입당생산량(yield-per-recruit) 모델을 이용한 제주 동부연안 오분자기류(Haliotis diversicolor)의 어업관리 (Fisheries Management of an Abalone Haliotis diversicolor in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using Yield-per-recruit Model)

  • 고준철;유준택;최영민;김재우;임양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3-151
    • /
    • 2008
  • 조사기간 동안 오분자기류의 각장조성은 2004년 이후 소형개체의 어획비율이 증가하였고, 연도별로 어획개시연령($t_c$) 및 순간어획사망계수(F)를 추정한 결과, $t_c$r는 2006년에 1.926세로 2004년에 비해 약 0.09세 낮아진 반면, F는 2006년에 1.088/year로 2004년에 0.574/year보다 크게 높았다. 가입당생산량(Yield-per-recruit)모델을 사용하여 $t_c$와 F의 변화를 연도별로 조사한 결과, 2004년의 경우 현재의 F값인 0.574/year을 유지하면서 $t_c$를 2.7세로 높이거나, 현재의 $t_c$값인 2.01 세에서 F를 0.800/year로 높이면 최대 가입당생산량을 얻을 수 있었고, 2005년의 경우 현재의 F값인 0.578/year에서 $t_c$를 2.5세로 높이거나, 현재의 $t_c$값인 1.946세에서 F를 0.880/year으로 높일 때 최대의 가입당생산량을 얻을 수 있었다. 반면, 2006년의 경우 현재의 F값인 1.088/fear에서 $t_c$를 3.1세로 높이거나, 현재의 $t_c$값인 1.926세에서 F를 0.810/year로 낮추면 최대 가입당생산량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연도별 $F_{0.1}$$F_{MAX}$를 추정해 본 결과, 2004년과 2005년에 비해 2006년에 추정된 $F_{0.1}$(0.427/year)과 $F_{MAX}$(0.804/year) 모두 현재의 F(1.088/year) 보다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결과를 종합해보면 2006년에 들어 성장남획의 징후는 뚜렷하였고, F와 관련된 조업 해녀수의 인위적 감소는 힘들기 때문에 $t_c$를 3.1세(각장 4.2 cm) 로 높이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한국 근해 참조기의 자원평가 및 관리방안 (Stock Assessment and Management Implications of Small Yellow Croker in Korean Waters)

  • 강창익;김수암;윤성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2-290
    • /
    • 1992
  • 한국근해 참조기의 지난 20여년 동안의 어획자료를 사용하여 잉여생산량 모델에 의해 추정된 MSY를 비교하여 보면, Shaefer와 Fox 모델에 의하여 추정된 값들은 각각 37,000mt와 33,450mt였고, Zhang 모델에 의하여 자원량과 순간어획사망계수를 적용시킨 MSY는 45,328mt, 자원량과 어획량 자료를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40,160mt로 각각 추정되었다 이 현상은 이 모델들이 각기 독립된 다른 자료를 이용하여 MSY를 추정하였으나, 추정된 값은 거의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참조기자원을 가입당생산량 모델에 적용시킨 결과를 사용하여 자원관리 방안을 모색해 보면, 가능한 최대 가입당 생산량이 43g임에 비하여 현재의 $t_c=0.604, F=1.11$에서의 가입당생산량은 약 20g정도에 불과하다 여기서 $t_c$를 현재 상태로 고정시킨 후. 가입당생산량을 높이는 방안을 생각해 보면, F를 현재의 1.11에서 0.4 정도로 낮추어야 하나, 가입당생산량의 큰 증가는 없다. 즉, 현재의 20g에서 25g밖에 증가되지 않는다. 그러나, 현재의 어획강도(F)를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t_c$를 현재의 0.604세에서 3세 부근으로 조정하면 최대의 가입당생산량(43g)을 얻을 수 있고, 이 $t_c$ 값은 역시 $F_{0.1}$, 방법에서 추정된 적정어획체장을 연령으로 환산한 결과와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Zhang모델을 이용한 자원의 회복 방안에서 참조기 자원의 최대생산가능 자원량$(B^*_{MSY})$를 유지시키려면 F를 약 0.5 수준으로 낮추어야 하고. 이 수준에서 약 8년 뒤에는 자원량이 적정 수준에 거의 접근하게 된다.-저층의 경우, 난류성 종인 E. russelli와 E. plana가 출현하며 수온이 $12^{\circ}C$이상인 제주도 서북방 해역이 난류의 영향을 받는 해역으로 나타났으며, 저온성 종인 C. abdominalis가 출현하는 진도 이북 해역이 황해 냉수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계 0-20m층의 진도부관 해역 및 20m- 저층의 진도 이북 해역에서 C. abdominalis가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냉수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H와 온도에 대해서 복상어의 trypsin은 고등어의 두 trypsin보다 알칼리성측과 고온에 대해 안정하였으며, 저해제에 의하여서는 복상어 trypsin이 보다 예민하게 나타났다. 또한 BA-p-NA 합성기질에 대한 친화성에 있어서는 고등어의 두 trypsin이 복상어의 trypsin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5. 아미노산 조성은 세 효소 모두 비슷하였으나, 고등어 trypsin B의 경우 arginine의 함량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산성아미노산과 염기성아미노산의 비는 복상어 trypsin이 3.57, 고등어 trypsin A는 3.36, 그리고 고등어 trypsin B는 2.23이었다./TEX>에 의하여 저해를 받았으며, 그 저해의 정도는 고등어 trypsin-A와 B가 보다 심하게 받았다. 또 이들 효소들은 antipain, leupeptin, TLCK(to-syllysine chloromethyl ketone) 및 SBTI(soybean trypsin inhibitor)에 의하여 현저한 저해를 받았고, PMSF(phenylmethane sulfonylfluoride), DFP(diisopropyl fluorophosphate) 및 benzamidine에 의하여 어느정도 저해를 보여 모두 serine-계의

  • PDF

모의실험을 통한 한국 연근해 고등어(Scomber japonicus)의 가입당 생산 분석 (Simulation-based Yield-per-recruit Analysis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in Korean Waters)

  • 이경환;고성길;정석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13-320
    • /
    • 2018
  •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pelagic species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In the last 50 years, the annual total catch in Korean waters showed large fluctuations, ranging from 100 to $420{\times}10^3tons$. To provide a biological reference point for management of chub mackerel, we applied a simulation-based yield-per-recruit (Y/R) model that considered both temperature-dependent growth and size-dependent mortality. We estimated the fisheries yield with respect to varying biological reference point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cluding 1) the instantaneous rate of fishing mortality (F), 2) length of fish at first capture ($L_c$), and 3) water temperature. The result of our analysis showed that the Y/R could be greatest when the $L_c$ ranges from 19-27 cm and F ranges from $1.48-2.00yr^{-1}$. Y/R increases with increased water temperature between 15 and $23^{\circ}C$. We suggest targeting an $L_c$ of 17 cm (age=0.6 years) under the assumed current of $F=0.48yr^{-1}$ for maximizing the chub mackerel harvest. Further analysis considering spawning and recruitment processes are required to provide biological reference points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chub mackerel fisheries in Korean waters.

모의실험을 통한 한국 동해 도루묵(Arctoscopus japonicus)의 자연사망 계수 조건에 따른 가입당 생산 분석 (Simulation-based Yield-per-recruit Analysis of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East Sea of Korea Subjected to Natural Mortality Conditions)

  • 이경환;서호영;조기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331-340
    • /
    • 2023
  • To estimate the biological reference points, suitable for fisheries management of sandfish Arctoscopus japonicas in the East Sea of Korea, we simulated the yield-per-recruit (Y/R) from age 0 to 6 (0-2,555 days). The stimulation was based on two instantaneous natural mortality conditions: size-dependent (Mt, d-1) and constant (Mcons, d-1); Subsequently, the biological reference points of the two mortality conditions was compared. Mt decreased from 0.0075 d-1 to 0.0018 d-1 depending on growth, and Mcons remained constant at 0.0011 d-1 for all ages. Our Y/R model showed that the maximum yield of Mcons was 14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Mt. The length at first capture to maximize the harvest at the F0.1 points of the two natural mortality conditions was Lc,t=10.2 cm (TL) and Lc,cons=17 cm (TL). We concluded that Mt was more suitable for estimating M than Mcons; this is because Lc,t showed minimal difference from the current fishing regulations (11 cm, TL), and Mt reflected more biological characteristics than Mcons. We suggest that 10.2 cm and 0.8 as the suitable length at first capture and corresponding age, respectively for efficient fisheries management of sandfish.

울진 바다목장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와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자원평가 (Stock assessment of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an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the Uljin marine ranching area, Korea)

  • 윤상철;이성일;양재형;윤병선;김종빈;차형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0권4호
    • /
    • pp.583-594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biomass and provide management guidance through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rowth parameters, instantaneous coefficients of natural and fishing mortalities, and age at first capture of the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an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of Korea. For describing growth of this species, a von Bertalanffy growth model was adopted. The von Bertalanffy growth parameters estimated from a non-linear regression for starry flounder were $L_{{\infty}}=48.25cm$, K=0.16/yr, and $t_0=-1.48$, respectively and those for olive flounder were $L_{{\infty}}=86.46cm$, K=0.26/yr, and $t_0=-0.29$, respectively. Biomass of Platichthys stellatus was estimated by direct biomass estimation method was 2.6 M/T, that was estimated by indirect method was 13.4 M/Tt. Those of Paralichthys olivaceus were estimated as 10.1 M/T, 19.3 M/T, respectively. An yield per recruit analysis showed that the current yield per recruit on Platichthys stellatus was about 48.2 g with F=0.646/yr and the age at first capture ($t_c$) 1.35yr, that on Paralichthys olivaceus was about 167.6 g with F=1.121/yr and the age at first capture ($t_c$) 1y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