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Tube Vlog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5초

What Influences YouTube Viewers' Job Engagement? The Role of Vlog Content Characteristics, Vlogger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Value

  • Minhee Son;Moon-Yong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2호
    • /
    • pp.1-13
    • /
    • 2023
  • YouTube has become a popular platform for vlogs. Among various forms of vlogs, office worker vlogs, in which a person engaged in a specific job shows his/her work environment and daily routine, are gaining popularity. Thus, focusing on office worker vlogs,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s of office worker vlogs' characteristics (i.e., vlog content characteristics, vlogger characteristics) on the YouTube viewers' educational value of the vlog and their job engagement. Specifically, this research examines whether(1) vlog content characteristics (i.e., usefulness, accessibility, and vividness) and (2) vlogger characteristics (i.e., job similarity, credibility, and expertise) influence the YouTube viewers' educational value of the vlog. Moreover, this research examines how the YouTube viewers' educational value of the vlog affects their job engagement. With a sample of YouTube viewers of office worker vlogs (N = 215),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as implemen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in the proposed model. The results indicate that (1) perceived usefulness of the office worker vlog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vlog; (2) perceived accessibility of the office worker vlog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vlog, albeit marginally significant; (3) perceived vividness of the office worker vlog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vlog; (4) perceived job similarity to the office worker vlogger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vlog; (5) perceived credibility of the office worker vlogger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vlog; (6) perceived expertise of the office worker vlogger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vlog; and (7)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office worker vlog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YouTube viewers' job engagement. Th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production and use of office worker vlog contents.

Social Media and Communication in Times of Public Health Crisis: Analysis of COVID-19 YouTube Vlog activities in the sharing of patient experience and information

  • 강복;손승혜;이귀옥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107-115
    • /
    • 2023
  •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 of YouTube Vlog videos created by patients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in South Korea and viewer comments on those videos. As this new infectious disease started to sweep the world in late 2019 and early 2020, the public started facing fear and uncertainty stemming from the lack of sufficient and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virus. At the same time, as COVID-19 patients in South Korea were treated in isolation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virus, the patients themselves were experiencing anxiety and exclusion from the society. During this period, there was an increase in YouTube Vlog videos created by the patients in which they shared their experiences going through the treatment and recovery processes. To understand how these YouTube Vlog videos were being used by the patients to connect with the society and seek support in a state of isolation and anxiety,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multi-case analysis of three sample YouTube Vlog video channels to analyze their content, as well as a lexicon-based sentiment analysis of viewer comment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and reactions of viewers. The patients' YouTube Vlog videos showed that they shared similar stages of progress, despite each emphasizing a different main theme. Overall, the tone of the viewer comments became increasingly positive over time, although with some variance among different patient cases and stages. The results confirmed that Vlogs of patient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educing the uncertainty around COVID-19 and strengthening social support for the pati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improve an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aspects of patient experience in isolated treatment and the impact of shared communication among members of society in times of crisis.

유튜브 브이로그 이용 동기 및 이용자 특성이 이용 만족 및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tivation and User Characteristics on Us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in YouTube Vlog)

  • 윤지영;유지윤;이장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89-201
    • /
    • 2020
  • 동영상으로 자신의 일상을 기록해 친구들과 소통하는 것이 Z세대나 밀레니얼 세대에게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브이로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유튜브 브이로그 이용 경험이 있는 20-30대 일반인 168명을 대상으로 브이로그 이용 동기와 이용자 특성이 브이로그 이용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든 가설이 채택되었다. 즉, 브이로그 이용 동기(습관 및 시간보내기, 정보추구, 오락 및 휴식, 관음주의)와 이용자 특성(개방성, 감정적 동일시)이 이용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이로그에 대한 이용 만족 역시 지속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새로운 콘텐츠 분야라고 할 수 있는 브이로그에 대한 실증적 접근을 통해 여러 이론적, 실제적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여행 브랜드를 위한 콘텐츠 마케팅 연구 -여행 영상 형태의 유튜브 Vlog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tent Marketing for Travel Brand Focus on Youtube Vlog Formed Travel Video -)

  • 조장환;박보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445-450
    • /
    • 2019
  • 본 연구는 검색엔진으로 진화하고 있는 유튜브의 여행 Vlog에 대한 시청패턴과 콘텐츠 니즈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차적으로 설문 지법을 사용하여 45명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차적으로 이를 통해 얻은 결괏값을 바탕으로 Creating Pleasurable Interfaces 모형을 활용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로 시청자는 여행 Vlog를 활용하여 단편적인 정보보다는 여행에 관련된 전반적인 정보를 얻고 있었다. 두 번째로 유튜브에 업로드된 여행 Vlog의 절대량이 부족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는데 물리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세 번째로 여행 Vlog를 활용한 마케팅이 대중 매체의 광고 형식에서 벗어나지 못해 콘텐츠 전반에 서비스나 제품 노출에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는 여행 관련 기업의 콘텐츠 마케팅 전략에 있어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크리에이터들에게 콘텐츠 제작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글로벌 패션 유튜버의 콘텐츠 유형과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content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global fashion YouTubers)

  • 김고운;김윤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3호
    • /
    • pp.389-407
    • /
    • 2020
  • With YouTube's overwhelming share of the market, research on analyzing the types of content on YouTube is essential. An analysis of major global fashion YouTubers that the types of video content could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Fashion, beauty and daily life. The fashion category was subdivided into styling and fashion product review content type. The beauty category was subdivided into tutorials, beauty product reviews, and beauty tip content types. The daily life category was subdivided into daily sharing, consultation, and Q & A content types. Video content within fashion YouTuber channels is accompanied by expertise in fashion and beauty. At the same time, videos on daily life are uploaded, and through interactive communication with viewers, YouTubers form an intimate bond with subscribers. Content emphasizing entertainment, not just information delivery that introduces fashion products, is attracting growing interest among subscribers.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the increasingly popular fashion YouTuber channels and determined its important characteristics. The study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academic research by laying a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of YouTube content in the fashion field. Since differences in country of birth and race among YouTubers may influence content production, follow-up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fashion YouTubers.

Research on the Discourse of Libraries During COVID-19 in YouTube Videos Using Topic Model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 Euikyung Oh;Ok Nam Park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1권3호
    • /
    • pp.29-42
    • /
    • 2023
  • This study explored issues related to the library in the COVID-19 era in YouTube videos in Korea. This study performed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by collecting 479 YouTube videos, 20,545 words, and 8,379 channels related to COVID-19 and the library from 2019 to 2020.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YouTube, a social media platform, was used as an important medium to connect users and physical libraries and provide/promote online library services. In the study, major topics and keywords such as quarantine, vlog, and library identi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library services and functions, and introductions and user guides of libraries were derived. Additionally, it was identified that videos about COVID-19 and the library are being produced by various actors (news and media channels, libraries, government agencies, librarians, and individual users). However, the study also identified that the actor network is fragmented through the channel network, showing a low density or weak linkage, and that the centrality of the library in the actor network is weak.

기업의 유튜브 채널에서 활용된 광고 전략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브이로그(Vlog)를 중심으로 (Effects of Advertising Strategies in Corporate YouTube Channels on Consumer Responses: Focusing on Vlogs)

  • 송유진;최세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32-48
    • /
    • 2021
  • 이 연구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플랫폼인 유튜브를 활용해 많은 기업들이 채널을 운영하고 브랜드를 홍보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여, 이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기존 광고의 속성 및 전략의 관점으로 탐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유튜브 공식계정을 운영하는 국내 기업의 브이로그 100개를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수행하여 브랜디드 콘텐츠 특성, 광고모델 속성, 광고 소구, 그리고 크리에이티브 전략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부분 기업 계정에서 제공하는 직장인 브이로그는 해당 직무에 관한 정보와 직장 동료의 인터뷰가 결합된 형식이었다. 더불어 광고모델의 속성이 소비자 반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크리에이티브 전략 중에서는 사용자 이미지 또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브랜디드 콘텐츠 특성과 광고 소구 유형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미비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새로운 광고 유형인 기업 브이로그의 광고효과를 이론적으로 접근하여 브이로그의 특성에 해당하는 브랜디드 콘텐츠 특성과 기존 광고 전략에 관한 요인을 함께 활용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주요한 요인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기업 브이로그 제작 시 사용자 이미지 전략을 강화하고 매력성이 높게 측정되는 다수의 모델을 활용한다면 긍정적인 소비자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에 적합한 광고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국내 간호사 관련 동영상 키워드의 네트워크 분석: 유튜브 동영상 제목을 중심으로 (Network Analysis of Keywords Related to Korean Nurse: Focusing on YouTube Video Titles)

  • 이동균;이영진;이보경;김수진;박해진;배선형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78-287
    • /
    • 2022
  • Purpose: To analyze Korean nurse-related channels and video titles on YouTube, the world's largest online video sharing and social media platform, to clarify public opinion and image of nurses. We seek utilization strategies and measures through current status analysis. Methods: Data is collected by crawling video information related to Korean nurses, and correlation is analyzed with frequent word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Results: Through the YouTube algorithm, 2,273 videos of 'Nurse' were analyzed in order of recent views, relevance, and rating, and 2,912 videos searched for with the keyword 'Nurse + Hospital, COVID-19, Awareness, University, National Examination' were analyzed. Numerous videos were uploaded, and nursing work that was uploaded in the form of a vlog recorded a high number of views. Conclusion: We could see if the YouTube video shows images of nurses. It has been confirmed that various information is being exchanged rather than information just for promotional purposes.

'싱글 라이프' 미디어 콘텐츠의 시청이 비혼 의지와 여가활동 라이프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ingle Life' Media Contents Viewing on Singlehood Culture and Leisure Lifestyles)

  • 나은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235-246
    • /
    • 2022
  •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확산과 비혼의 증가라는 사회 트렌드의 요인으로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싱글 라이프'를 보여주는 관찰 리얼리티 및 유튜브 브이로그 콘텐츠의 증가는 1인 가구 확산이라는 현상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지만, 이미 주류가 된 1인 가구들은 미디어 이용을 통해 이러한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의지를 공고히 할 수도 있다. "라이프스타일 변형적 리얼리티 콘텐츠" 관점에 따르면, 근래의 리얼리티 영상 콘텐츠는 단순히 오락과 재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수용자의 현실 삶의 방식을 변화시킬 의미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최근 '욜로(YOLO)'에서 '갓생'으로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논의들은 주로 인구 사회학적 변인들을 중심으로 그 원인을 설명해온 가운데, 1인 가구 시청자들에게 '싱글 라이프' 관련 미디어 콘텐츠가 갖는 의미를 분석했다. 미혼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 결과, '싱글 라이프'를 보여주는 관찰 리얼리티 프로그램과 유튜브 브이로그의 이용이 많을수록 수용자의 동일시와 비혼 의지가 높았으며, 현재 중심적인 라이프스타일과 미래지향적인 라이프스타일이 모두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최근 경향이 청년층의 삶의 방식에 미치는 영향의 함의에 대해 논했다.

일상 브이로그의 정보 속성과 출연자 유형에 따른 시청 몰입 및 자기향상 태도의 차이 (The Effects of Information Types and Players in Everyday Vlogs on Viewers' Empathy, Social Presence and Self-Enhancement)

  • 진낙;나은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277-287
    • /
    • 2022
  • 일상을 기록하는 동영상 브이로그가 온라인 소통의 주요한 영상 콘텐츠 양식이 되고 있는 현 시점에, 본 연구는 이러한 온라인 영상의 이용이 시청 몰입 심리 및 자기향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일상 공유를 통한 온라인 플랫폼 생산자 논의 및 자기결정성 이론을 바탕으로, 유튜브 브이로그의 정보 속성별 그리고 출연자 유형별 영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자료의 분석 결과, 정보 속성(일과기록형 vs. 심층정보형) 및 출연자 유형(일반인 vs. 연예인)에 따른 유의미한 영향이 발견되었다. 일과기록형에 비해 심층정보형 영상을 시청할수록, 연예인 출연에 비해 일반인 출연 영상을 시청할수록, 수용자의 감정이입, 사회적 실재감 등의 시청 몰입이 높아졌으며, 자기성찰, 심리적 힘돋우기 등의 자기향상 태도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