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th welfare

검색결과 469건 처리시간 0.027초

농어촌 청소년 복지시설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The Present Conditions of Rural Youth Welfare Facilities and Policy Measures for Development)

  • 김경준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8권2호
    • /
    • pp.285-298
    • /
    • 2001
  • Rural youth welfare was defined to provide the preventive services as well as the protective and curative services such as education, job training, youth activity, delinquency prevention, etc. for rural youth who live in rural society, including who go out to metropolitan city for study. Based on this concept, the rural youth related facilities and problems were investigated in the area of education, culture and leisure, career, and problematic behavior. The results were identified that the efforts of government and rural related institutions were in sufficient to establish and improve the facilities for rural youth, and the gap between rural and urban youth facilities was extended increasingly, in spite of seriousness of those rural youth problems. Some of policies and programs were proposed in order to improve rural youth welfare; 1) To establish at least one activity facility in every Eup ; 2) To convert the public culture facilities such as museums, fine art museums, exhibition facilities, etc. into the culture and art facilities for rural youth; 3) To establish rural youth job information center in the agricultural technology and extension center; 4) To convert school to rural youth education and cultural center; 5) To establish the comprehensive welfare facilities for rural youth in metropolitan city.

  • PDF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복지 서비스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welfare service of multicultural families youth)

  • 유창준;김건태;임상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5호
    • /
    • pp.19-26
    • /
    • 2012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 복지 서비스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복지욕구 설문조사를 기초로 복지 서비스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학업과 가정 문제에 대해 어려움을 갖고 있으며, 일상생활 욕구위계 조사결과 일반가정 청소년은 다문화가정 청소년보다 소속과 사랑의 욕구(t=-2.006, p<.05)가 높고,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일반가정 청소년보다 자아실현의 욕구(t=-4.636, p<.05)가 높았다. 복지 욕구위계 조사결과에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안전의 욕구(t=7.607, p<.05), 소속과 사랑의 욕구(t=8.346, p<.05), 자기존중의 욕구(t=4.683, p<.05), 자아실현의 욕구(t=2.199, p<.05)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복지 서비스 차원의 통합체계 구축을 바탕으로 지자체의 전문인력 육성과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지원 정책의 함의 및 제언을 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아동·청소년 복지의 개념과 법체계의 개선방안 (Definition of Child and Youth Welfare and Proposals for the Reform of Legal System)

  • 조성혜
    • 법제연구
    • /
    • 제41호
    • /
    • pp.43-85
    • /
    • 2011
  • 아동복지(또는 청소년복지)와 관련한 법제를 연구하는 데는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다. 최협의로는 아동복지법에 대한 연구이고, 최광의로는 아동 또는 청소년복지와 관련된 일체의 법령에 대한 연구이다. 또는 아동복지를 사회보장(사회복지)의 일종으로 보아 출산, 양육, 보육에 대한 경제적 지원으로 한정해 볼 수도 있다. 그런데 어떠한 접근을 하든 우리나라에서 아동복지 또는 청소년복지 관련 법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고자 하면 불가피하게 다음과 같은 미결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우선 아동과 청소년의 개념이 불분명하다. 아동복지법은 18세 미만의 자를 아동이라고 하고 있는 반면(제2조 제1호), 청소년기본법에서는 "청소년"을 9세 이상 24세 이하의 자라고 하고 있고(제3조 제1호), 청소년보호법은 청소년을 만 19세 미만의 자를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2조 제1호). 아동과 청소년의 법적 개념이 모호한 결과 아동복지와 청소년복지의 개념과 범위도 불분명해진다. 아동복지가 청소년복지를 포함하는 개념인지, 청소년복지가 아동복지를 포함하는 개념인지, 아니면 양자는 별개의 개념인지가 모호하다. 아동복지법에는 아동복지에 관한 개념 규정이 없고, 청소년기본법에서 청소년 복지를 "청소년이 정상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기본적인 여건을 조성하고 조화롭게 성장 발달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사회적 경제적 지원을 말한다"(제3조 제4호)고 정의하고 있으나, 아동복지와 청소년복지를 구분하는 단서는 없다. 또한 아동복지법과는 별도로 청소년복지지원법이 있는데, 양 법에 의해 아동복지와 청소년복지가 분리되는 것인지도 분명치 않다. '아동복지법'이든 '청소년복지지원법'이든 복지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는데 '복지법'과 '복지지원법'이라는 명칭 때문에 아동복지와 청소년복지가 구분된다고 보는 것은 타당치 않아 보인다. 그런데 실제로 아동복지법은 요보호 아동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는 반면, 청소년복지지원법은 모든 청소년에 대한 보편적 복지를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러한 연유에서인지 최근 사회복지 분야에서는 아동복지와 청소년복지를 구분하여 전자는 주로 요보호 아동에 대한 선별적 복지를, 후자는 모든 청소년에 대한 보편적인 복지를 의미한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용어만으로 볼 때 아동복지를 요보호 아동에 대한 복지, 청소년복지를 모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복지라고 할 만한 근거는 없다. 이같은 문제를 염두고 두고 아래에서는 아동 및 청소년 관련법이 어떠한 이유로 현재의 혼란스러운 상태에 이르게 되었는가를 그 역사적 발전과정을 통해 살펴본 후 현행의 법률들이 아동 및 청소년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가, 그 대상은 누구인가를 검토해 본다. 나아가 아동 및 청소년복지 법제의 헌법적 근거와 그 범위 획정에 대하여 알아보고, 법 체계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이 무엇인가를 모색해 보기로 한다.

한국 청소년의 복지의식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노후복지 책임주체를 중심으로 (A Exploratory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Welfare Attitudes of Korean Youth: Focusing on Old Age Responsibility)

  • 김신영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9권1호
    • /
    • pp.23-42
    • /
    • 2008
  • 이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복지의식 형성과 관련된 변인들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에 포함될 변인들은 주로 청소년들의 가치관과 관련되어 있다. 청소년의 복지의식은 '노후생활에 대한 책임주체'에 대한 응답으로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전(前) 한국청소년개발원)에서 진행 중인 "한국청소년발달지표조사연구"의 일환으로 실시된 한국청소년발달지표 1차년도(2005) 조사 자료이다. 청소년의 노후복지 책임주체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 가치지향과 사회인구학적 변수들을 모델에 투입한 다항로짓분석(Multinomial Logit Model) 결과, 부모학력, 평등의식, 국가의 책무에 대한 인식 등이 한국 청소년들의 복지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음이 밝혀졌다. 연구 설계상의 몇 가지 한계점은 있으나 사회구성원들의 복지의식과 사회정책의 결과와의 관련, 그리고 사회보장제도의 세대 간 지속성 등의 차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농촌청소년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분석 (Analysis on Life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for Rural Youth)

  • 오해섭;김진모;김경준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3권1호
    • /
    • pp.85-9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life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rural youth.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rom the review of literature. The instrument consisted of five separate sections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the study. Data(391)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mailed to 4-H members selected in the sample(580). The rate of analyzed data(387) was 98% using the SPS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made. (1) The various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enlarged to rural area. (2) The job getting opportunities and career guidance programs are needed to strengthen for rural youth. (3) The problem-counselling programs and centers should be provided for rural youth. (4) The more leisure and culture facilities should to establish in rural area.

  • PDF

청소년문화복지 지역격차연구 -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Regional Disparity of Youth Cultural Welfare)

  • 김민정;송주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61-8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foundational data to promote the cultural welfare status of youth. The actual condition of the youth's cultural welfare was investigated by investigating the degree of youth's cultural welfare satisfaction and needs by regional groups. A total of 148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1. Actual conditions of adolescents cultural welfare. 1) Among various cultural activities, adolescents find leisure and social activity, artistic, mass media and video-media activities very boring and one-sided, Instead, they have greater interest in computer- and Internet-related activities, such as getting and shar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2) While adolescents living in urban areas benefit from well developed social infra-structure, those living in rural areas seldom take advantage of it. 3) The obstacles against cultural welfare of the youth can be categorized as: 'lack of money,' 'lack of time,' and 'lack of cultural facilities. ' In urban areas 'lack of time' becomes an issue, whereas in rural areas 'lack of money' and 'lack of cultual facilities' are important. 2. Degree of cultural welfare satisfaction of the youths. Youths generally appear either 'unsatisfied' or 'neutral' concerning their satisfaction degree about leisure and social activity parts, and art and play-activity paris. On the other hand, they appear 'neutral' concerning their satisfaction degree about computer- and Internet-relat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arts, and mass- and video-media activity parts. In addition, urban youths show a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than rural youths. 3. What the youths need To improve their culture welfare status, they need a lot of supplements for cultural activity in the form of cultural infra-structure. Regarding the cultural infra-structure, rural youths need more than urban youths.

사회복지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관리기법으로서 복지QC 활동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Welfare QC Activity as a Management Technique for Improving Quality in Social Welfare Service)

  • 박경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0권
    • /
    • pp.97-130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 case study on welfare QC circle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anagement techniques to improve service quality among recently changing welfare environment. Futhermore this paper is also to suggest a new introduction of the welfare QC circle in korean social welfare agency. To accomplish these purpose, this study theoretically examines activity process and techniques of welfare QC circle. In practice, three social workers and one supervisor working at 'D' community welfare center in pusan are participated during six months. As a result, we founded the specific problems that is aroused from youth volunteer group within by fish bone chart, and proposed the alternative choices by 5W1H check sheet, and also certified to decrease turnover ratio in youth volunteering by pareto chart. This study, however, has its limitation in selection only one case study on welfare QC circle of youth volunteering. Welfare QC circle could be much contributed as one of the management techniques to enhance the qu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 from the viewpoint of the customer, If it is well developed korean welfare QC model which is suitable to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service. Therefore, in order to introduce welfare QC circle in korea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 would like to suggest to find out a useful text of welfare QC and organize some welfare QC study groups including other suggestions.

  • PDF

가정외보호 퇴소청소년의 무업자 생활 경험 (Life experience of NEET youth after discharge from out-of-home-care)

  • 장혜림;이정애;강지연;정익중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7호
    • /
    • pp.9-4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 유예 상태로 시설을 퇴소한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무업자 생활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적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고, 중도퇴소나 진로유예인 상태로 퇴소한 청소년 5명을 심층면접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다. '기댈 수 없는 원가족', '불안정한 삶', '방황과 편견에 흔들림', '의지할 사람이 필요함', '뒤 늦은 후회', '끊임없이 재기를 꿈꾸는 삶' 등 6가지 주제묶음과 하위범주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진로유예 퇴소청소년들은 불안정한 무업자 생활 속에 지난 시간에 대한 후회와 재기의 삶을 살고자 부단히 노력하는 모습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보호 퇴소청소년이 보다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회복지 정책과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청소년 연구의 동향 : 2010년~2018년의 '청소년학연구'지를 중심으로 (The Trends of Youth Research: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in 2010-2018)

  • 장신재;이원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07-314
    • /
    • 2019
  • 본 논문은 2010년부터 2018년 동안 청소년학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논문의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청소년 관련 연구의 지식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논문의 초록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활용하여 NetMiner 프로그램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의 중심성(Centrality)분석 및 응집성(Cohesion)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결 정도 중심성 분석에서 '관계'가 가장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고, 학교와 청소년이 그 다음으로 높았으며, 부모, 폭력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매개 중심성도 '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청소년, 학교, 필요, 교육, 부모, 아동, 학대/정서(같은 수준), 기관, 지역, 휴대폰/예방/복지(같은 수준), 초등, 애착, 자살, 중독, 사회, 폭력, 자녀, 봉사, 지원/정책/재학/교사(같은 수준)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응집성 분석 결과, 학교생활과 정책, 중독, 부모 & 또래 관계, 시민 교육 & 복지지원, 정서와 사고, 대학, 학대 & 자살로 총7개의 하위 주제로 구분되었다.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이 시민의식과 긍정적 자기지각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 비교 - (Effects of Youth Voluntary Service on Sense of Citizenship, Positive Self-perception, and Peer Relation - The Comparison betwee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 조호운;조성환;김영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29-74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youth voluntary on sense of citizenship, positive self-perception, and peer relations, which procedures was conducted by being comparison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ones. This study also use the data given by 2st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which subjects were 7,593 youths(3,566 in middles school students and 4,027 in high school one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for youth's peer relations was sense of citizenship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 which indicates not only that it is encouraged by sense of citizenship but also that developing and leading the sense of citizenship for youth should be given by the school welfare policy. Positive self-perception in middle school youth influenced the second effect on their peer relations, but high school student's peer relation was impacted by the voluntary service into a secondary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