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nBO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31초

스크린 프린팅 기법으로 제작된 ZnBO가 첨가 (Ba,Sr)$TiO_3$ 후막의 planner capacitor 특성분석 (Screen Printed ZnBO Doped BST Thick Film Planner Capacitors)

  • 문상호;고중혁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3-76
    • /
    • 2009
  • ZnBo이 첨가된 (Ba,Sr)$TiO_3$ 후막을 이용한 planner capacitor의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후막은 알루미나 기판에 스크린 프린팅기법에 의해서 제작되었고 $1200^{\circ}C$의 온도에서 소결하였다. 출발 물질인 BST의 저온 소결을 위해서 ZnBO를 첨가하였다. ZnBO가 1, 3, 5 wt% 첨가된 경우 소결온도가 $1200^{\circ}C$의 낮은 온도에서 소결되는 것을 확인했으며 ZnBO의 첨가랑이 증가함에 따라서 유전율은 감소하고 유전손실는 증가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1, 3, 5 wt%의 ZnBO가 첨가된 (Ba,Sr)$TiO_3$는 각각 756, 624, 554의 유전율를 보였다. 또한 ZnBO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서 누설전류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ZnBO의 첨가가 grain의 성장과 density가 증가되어 누설전류의 양이 감소하게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스크린 프린팅 기법으로 제작된 ZnBO 첨가 (Ba,Sr)TiO3 Planner Capacitor 특성 분석 (Screen Printed ZnBO Doped (Ba,Sr)TiO3 Thick Film Planner Capacitors)

  • 문상호;고중혁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724-727
    • /
    • 2009
  • We have fabricated (Ba,Sr)TiO3$TiO_3$ thick films doped with various amount of ZnBO dopants (1, 3, and 5 wt%) by screen printing method on the alumina substrates, which were sintered at the temperature below $1200^{\circ}C$.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ZnBO dopants, the relative dielectric permittivity of ZnBO doped (Ba,Sr)$TiO_3$ was decreased, while loss tangent was increased. 1 wt% ZnBO doped (Ba,Sr)$TiO_3$ thick film has relative dielectric permittivity of 759 at 1 MHz, while 3 and 5 wt% of ZnBO doped (Ba,Sr)$TiO_3$ thick films have 624 and 554, respectively. By introducing ZnBO dopants to the (Ba,Sr)$TiO_3$ thick films, leakage current densities were decreased. The decreased leakage current with increasing ZnBO dopants can be explained by increased density and grain size of thick film on alumina substrate. We believe this decreased leakage current density probably come from the increased grain size and increased density.

$LiZnBO_3$ : 결정구조 ($LiZnBO_3$: Crystal Structure)

  • 장기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51-255
    • /
    • 2001
  • LiZnBO3 화합물의 결정구조에 대한 실험은 단결정 X-ray 회절 분광법에 의해서 수행되었다. 화합물의 단위포 격자상수는 $a=5.0915(9)\AA$, $b=5.059(1)\AAc=6.156(1)\AA$, $V=120.6(1)\AA3$, $\alpha=65.81(1)^{\circ}$, $\beta=65.56(1)^{\circ}$$\gamma=59.77(1)^{\circ}$이고, 공간 그룹은 P1(Z=2)이다. 화합물의 구조는 704개의 독특한 반사 복사선들에 의해서 결정되었으며, 최종, R값은 0.039이고, wR값은 0.056이다. 이 화합물은 평면삼각형의 BO3그룹과 찌그러진 사면체 구조의 Li04와 ZnO4그룹으로 구성되었으며, Li 원자와 Zn 원자들이 불연속적으로 배열되었다. 번갈아 가면서 불연속적으로 배열된 원자의 충진율은 각각 원자들, Li1, Li2, Zn1 와 Zn2 격자위치에서 약 50%이었다.

  • PDF

BST 세라믹 저온소결에 $Li_2CO_3$와 ZnBO가 미치는 영향 (Effective of $Li_2CO_3$ and ZnBO for low temperature sintered $(Ba_{0.5},Sr_{0.5})TiO_3$ ceramics)

  • 김세호;유희욱;구상모;하재근;이영희;고중혁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8
    • /
    • pp.297-297
    • /
    • 2007
  • The $(B_{0.5},Sr_{0.5})TiO_3$ ceramics, which added with low sintering materials $Li_2CO_3$ and ZnBO, was investigated for LTCC(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applications. To compare sintering temperature of $(B_{0.5},Sr_{0.5})TiO_3$ respectively, we added 1, 2, 3, 4, and 5wt% of $Li_2CO_3$ and ZnBO to $(B_{0.5},Sr_{0.5})TiO_3$. For confirming the sintering temperature, the respective specimens were sintered from $750^{\circ}C$ to $1200^{\circ}C$ by $50^{\circ}C$. The case of $Li_2CO_3$ greatly lowered the sintering temperature of $(B_{0.5},Sr_{0.5})TiO_3$ ($1350^{\circ}C$) below $900^{\circ}C$. The addition of ZnBO improved the loss tangent of $(B_{0.5},Sr_{0.5})TiO_3$. The crystalline structure of $LiCO_3$ doped $(B_{0.5},Sr_{0.5})TiO_3$ and ZnBO doped $(B_{0.5},Sr_{0.5})TiO_3$ was analyzed with the X-ray diffraction (XRD) analysis. The dielectric permittivity and loss tangent of $Li_2CO_3$ doped BST and ZnBO doped BST were measured with the HP 4284A precision. From the electrical characterization, we respectively obtained the dielectric permittivity 1361, loss tangent $6.94{\times}10^{-3}$ at $Li_2CO_3$ doped $(B_{0.5},Sr_{0.5})TiO_3$ (3wt%) and the dielectric constant 1180, loss tangent $3.70{\times}10^{-3}$ at ZnBO doped $(B_{0.5},Sr_{0.5})TiO_3$(5wt%).

  • PDF

Ca이 첨가된 Mg-Zn 합금의 시효경화 및 부식특성 (Age Hardening and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Ca added Mg-Zn Alloys)

  • 김유영;안인섭;남태현;허보영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7권11호
    • /
    • pp.1012-1017
    • /
    • 1997
  • Mg-Zn-Ca합금의 잉곳트는 BN을 내벽에 바른 4x$10^{-5}$Torr의 진공의 석영관내에서 제조하였다. Mg-Zn합금계의 입자미세화를 위하여 0.5-5wt.%조성범위의 Ca를 첨가하였다. 제조된 합금을 용체화처리한 후 결정립크기와 경도를 측정하였다. Mg-6wt.%Zn합금의 입자미세화효과는 Ca가 1.5wt%첨가 될 때 최적의 조건이었다. Mg-6wt.% Zn과 Mg-6wt.% Zn-2wt.% Ca및 Mg-6wt.% Zn-1.5wt.% Si합금을 시효처리하여 시효거동을 조사하였다. 입자미세화에 의한 경도증가효과는 Mg-Zn-Ca합금계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시효에 의한 경도증가효과는 Mg-Zn-Si합금계에서 크게 나타났다. Mg-6wt.%Zn합금의 부식전류밀도는 0.5wt.% Ca의 조성에서 감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