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elerator for freeze protect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내한촉진제를 사용한 한중콘크리트의 현장적용 (Application of Cold Weather Concrete using Accelerator for Freeze Protection)

  • 박상준;원철;이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3년도 학술.기술논문발표회
    • /
    • pp.13.2-17
    • /
    • 2003
  • When fresh concrete is exposed to low temperature, the concrete may suffer frost damage due to freezing at early ages and strength development may be delayed. One of the solution methods to resolve these problems is to lower freezing temperature of concrete by the use of chemical admixture called Accelerators for Freeze Protection. In this study, it was the results of appling cold weather concrete using Accelerator for Freeze Protection in the Daewoo Trump world field.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cold weather concrete using accelerator for freeze protection, we executed the some test in the laboratory and mock-up test in the field. We examined the manifestation of compressive strength complying with the amount of Accelerators for Freeze Protection and curing conditions, and then made a selection of most suitable amount of Accelerators for Freeze Protection.

  • PDF

실물대시험에서의 양생방법 차이에 따른 한중콘크리트의 온도이력 및 강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 Properties and the Temperature Hysteresis of Winter Concret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Curing Method in Mock-up Test)

  • 원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87-94
    • /
    • 2003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mperature hysteresis and development of compressive strength due to the curing conditions and to evaluate the optimum curing condition of test specimens showing the same development of strength to that of real structures in cold weather. The results of temperature curve with curing conditions in mock-up tests showed the trend of decrease plain concrete with insulation form, plain concrete with heating, concrete with accelerator for freeze protection, and control concrete in turn. The strength development of plain concrete of inside and outside of shelter showed the very slow strength gains due to early freezing, but that of concrete with accelerator for freeze protection showed the gradual increase of strength with time. From this, it is clear that accelerator for freeze protection has the effects of refusing the freezing temperature and accelerating the hardening under low temperature. Strength test results of small specimens embedded in members and located in insulation boxes at the site are similar to that of cores drilled from the members at the same ages, thus it is clear that these curing methods are effective for evaluating in-place concrete strength

정온 및 변온조건하에서 내한촉진제를 혼합한 모르터의 강도특성 (Strength Properties of Mortar Mixed with Accelerator for Freeze Protection in Constant and Variable Temperature Condition)

  • 김영진;이상수;원철;박상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942-948
    • /
    • 2002
  • 콘크리트의 초기동해는 응결과정이거나 종결 후에도 충분한 강도발현이 되지 않은 단계에서 콘크리트중의 수분이 동결함에 따라 발생하는데, 초기동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가 동결하기 이전에 일정강도를 조기에 발휘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많은 대처방안이 제시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내한촉진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한촉진제를 혼합한 콘크리트의 실무 활용 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콘크리트 단계에 앞서 모르터 단계에서 내한촉진제의 동결온도, 응결시간 및 염화물량 등을 측정하고, 아울러 정온 및 변온조건에서 양생한 모르터의 강도특성도 검토함으로서 내한 촉진제를 사용한 한중콘크리트의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내한촉진제를 혼합한 모르터의 동결온도는 내한촉진제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반면, 촉진형 감수제의 경우는 동결온도 저하에 거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결특성은 양생온도가 낮을수록, 내한촉진제의 응결촉진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염화물량은 공히 KS F 4009의 관리규준을 만족하고 있었다. 강도증진성상은 내한촉진제를 혼합한 경우, 로지스틱 곡선식을 이용한 강도증진해석 결과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정온조건으로 영하5$^{\circ}C$이고, plain과 촉진형 감수제를 사용한 경우는 강도증진해석 결과의 표준오차가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나타나, 강도증진해석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로지스틱 곡선이나 적산온도와 압축강도의 관계에서 적용성이 매우 적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내한촉진제를 혼합한 모르터의 압축강도가 5.0 N/$\textrm{mm}^2$을 발휘하게 되는 적산온도는 각각 20~30$^{\circ}$CD(K), 30~40$^{\circ}$CD(B), 40$^{\circ}$CD(S)이후인 것과 같이 내한촉진제의 종류에 따라 크게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온 및 변온양생조건에 따른 한중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동일 적산온도라 할지라도 정온조건보다는 변온조건이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한촉진제를 사용한 방동콘크리트의 적용 사례 (Application of Concrete for Freeze Protection using Antifreeze admixture)

  • 이태규;송영찬;김용로;박종호;김래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84-85
    • /
    • 2017
  •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ncrete using accelerator for freeze protection is presented. As a result, physical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antifreeze admixtu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ordinary portland cement.

  • PDF

실물부재시험에서의 양생방법 차이에 따른 한중콘크리트외 온도이력 및 강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 Properties and the Temperature Curve of Winter Concret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Curing Method in Mock-up Test)

  • 김영진;이상수;원철;박상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541-548
    • /
    • 2003
  • 본 연구는 내한촉진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현장 적용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적인 실험으로서, 실물부재시험을 통해 각종 양생방법에 따른 온도이력 및 강도특성을 검토하고 한중콘크리트에서 실구조물과 동일한 강도이력을 가질 수 있도록 강도관리용 공시체의 적정 양생방법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실물부재시험에서 양생방법에 따른 온도이력은 일반콘크리트(단열양생), 일반콘크리트(급열양생), 내한촉진제 콘크리트 및 일반콘크리트(양생막 양생) 순으로 크게 저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강도특성은 양생조건이 열악한 양생막 내 외부에서의 일반콘크리트 공시체의 경우에는 초기동해에 따른 강도발현 저하를 보인 반면에 내한촉진제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재령이 경과할수록 계속적인 강도발현을 보이고 있어 내한촉진제의 사용에 따른 동결온도 저하효과 및 저온환경하에서의 경화촉진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한중콘크리트의 강도관리용 공시체의 적정 양생방법을 검토한 결과, 부재 내부에 매립하여 양생한 경우 및 간이단열양생을 실시한 경우에 있어서의 구조체 콘크리트와의 온도이력은 다소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만, 코어강도와는 비교적 근사하게 나타나고 있어 구조체 강도평가를 위한 이들 양생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강형시멘트를 사용한 저온경화형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및 유동특성에 미치는 방동제, 내한촉진제 및 감수제의 영향 (Compressive Strength and Fluidity of Low Temperature Curable Mortar Using High Early Strength Cement According to Types of Anti-freezer, Accelerator for Freeze Protection and Water Reducing Agent)

  • 박정훈;기경국;이한승;김형철;최현국;민태범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05-412
    • /
    • 2016
  • 동절기에 콘크리트를 시공할 경우 초기동해와 강도발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가 동결하기 이전에 시멘트의 수화반응이 일정수준 이하 진행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조강형시멘트를 대상으로 내한성 혼화제를 사용한 저온환경하 콘크리트의 실무활용 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보온 및 가열양생 없이 저온환경하 모르타르 조건에서 방동제, 감수제 및 내한촉진제의 종류별 사용에 따른 작업성 및 유지성능, 동결온도, 압축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조강형시멘트와 방동제를 사용할 경우 CN 방동제 대비 SN 방동제가 초기 압축강도발현이 증진되었다. 또한, 0분 플로우가 증가하고 20분 플로우가 감소하였는데, FR, RT 감수제를 사용하여 플로우 지속성능이 다소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CF, LS 내한촉진제는 감수제의 종류와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강도발현이 증진되었으나, SC 내한촉진제는 RT 감수제에서 강도발현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동제와 경화촉진제를 사용한 저온환경하 모르타르의 초기압축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Experimental Study on Early Age Compressive Strength of Cement Mortar Using Anti Freezer and Hardening Accelerator at low temperature)

  • 김목규;이한승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35-136
    • /
    • 2014
  •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early age compressive strength of cement mortar using anti freezer and hardening accelerator at low temperature was conducted. For this study, all of materials for experiment were kept in a low temperature for 24 hours before mortar mixing. After mortar curing at low temperature, compressive strength was measured at the early ages. Furthermore, properties of hardened cement material was analysed using TG-DTA and MIP.

  • PDF

내한촉진제를 사용한 한중콘크리트의 실구조물 적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Cold Weather Concreting with Accelerator for Freeze Protection to Full Scale Structures)

  • 김영진;백태룡;이상수;원철;김동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254-262
    • /
    • 2003
  • 본 연구는 내한촉진제를 사용한 한중콘크리트의 배합선정, 제조 생산, 타설 및 양생 등 실구조물에 대한 적용성에 관한 것이다. 내한촉진제의 사용량 및 물-시멘트비의 선정이 한중콘크리트의 초기동해방지 및 강도증진성상에 커다란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배합설계단계에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내한촉진제를 사용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유동성상은 전반적으로 동일 물-시멘트비에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나고 있었으며, 고성능감수제의 종류에 따른 경시변화 검토결과, 초기 플로우 및 유동성 손실이 적게 나타나는 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감수제가 멜라민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강도관리용 공시체는 기존의 현장봉함 양생보다는 실구조물의 온도이력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간이단열방법으로 양생하는 것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로지스틱곡선을 이용하여 각 양생 방법별 내한촉진제를 사용한 한중콘크리트의 강도증진성상을 검토한 결과, 강도증진에 미치는 내한촉진제의 영향이 상온조건보다는 저온조건 하에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한촉진제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평균 외기온 $-2^{\circ}C$(최저기온$-12^{\circ}C$)에서 간단한 비닐양생만으로 초기동해 방지를 위해 필요한 압축강도 $5N/{mm}^2$의 발현이 가능하였고 재령28일에 목표로 하는 소요강도를 만족시켰다.

한중콘크리트의 저온에 의한 강도지연 개선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rength delay according to Low Temperature of Cold Weather Concrete)

  • 이상수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51-59
    • /
    • 2012
  • 최근의 초고층건축물의 건설로 인하여 겨울철에 타설하는 한중콘크리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조기강도 개선을 위한 실험 변수별 배합확인 실험을 통해 조기강도 개선용 콘크리트의 표준배합을 설정하고 각요인별 강도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한중콘크리트 실험에서 OPC보다 OPC에 조기강도 특성을 개선한 시멘트와 3종조강시멘트가 우수하였다. 혼화제는 폴리카르본산계 혼화제가 강도발현 특성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화재의 경우 플라이애시의 사용으로 인한 조기강도 발현성능이 불리한 것으로 판단하여 본실험에서는 배제하였고, 강도발현을 위한 최적온도는 $12^{\circ}C$ 이상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