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ve

검색결과 30,988건 처리시간 0.049초

Active-Active 방식의 DNS 서버의 이중화 구축 및 결함내성 시험 (Foundation Techniques and Fault-tolerance Tests of Active-Active Duplicated Domain Name Servers)

  • 최재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90-10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Active-Standby 방식의 이중화가 아닌 Active-Active 방식의 DNS (Domain Name System) 이중화에 관해 연구하였다. Active-Active 방식의 DNS 이중화를 위해 1, 2차 DNS 서버 간에는 rsync와 crontab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복사하여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고, 1차 혹은 2차 DNS 서버가 장애로 인해 정지되더라도 살아 있는 DNS 서버가 계속해서 서비스를 지속하도록 하였다.

ActiveX 컨트롤 패드를 이용한 동적홈페이지의 설계와 구현 사례 (Case Study of Building Dynamic Homepage Using ActiveX Control Pad)

  • 우원택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08-118
    • /
    • 2003
  • 본 연구는 마이크로소프트사가 개발한 ActiveX 컨트롤 기술을 이용하여 동적인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사례를 설계하고 구현 해 봄으로써 ActiveX 컨트롤의 사용가치와 이의 활용방안을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비주얼베이직과 자바를 이용한 웹 프로그래밍 기술과 ActiveX 컴포넌트의 기능을 알아보고 둘째, 웹 프로그래밍의 역사와 ActiveX 프로그램과의 관련성과 현재 대두되고 있는 XML 웹서비스 기술과의 비교를 통하여 웹 프로그래밍 기술을 이해하고 셋째, ActiveX 컨트롤 패드를 이용하여 실제로 동적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사례를 설계하고 구현해 봄으로써 이의 활용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자바 애플릿에 대응하는 기술로 마이크로소프트가 OLE기술을 확장하여 만든 ActiveX컨트롤은 프로그램의 재사용, 개발시간 단축과 프로그램의 기능과 품질향상에 기여하여 인터넷 내지 인트라넷용 프로그램 개발 등에 쉽게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나 플랫폼 독립적이지 못하고 윈도우에서만 사용 가능한 제한점을 보여주었다.

  • PDF

Job Shop 일정계획 문제 풀이를 위한 유전 알고리즘의 복호화 방법 (The Decoding Approaches of Genetic Algorithm for Job Shop Scheduling Problem)

  • 김준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5권4호
    • /
    • pp.105-119
    • /
    • 2016
  • Purpose 생산 일정계획 문제의 해법들은 일반적으로 총처리시간이 짧은 active 스케줄에 초점을 맞추어 해를 탐색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active 스케줄은 semi active 스케줄에 비해 생성하는 것이 까다롭기 때문에, 일정계획을 생성하는데 소요되는 계산 비용을 감안하면 semi active 스케줄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생산 일정계획 문제에 active 스케줄기반 탐색 방법과 semi active 스케줄 기반 탐색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이들의 성능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Design/methodology/approach 각 공정들의 작업장 할당 순서를 의미하는 permutation encoding 기반 유전 알고리즘을 고전적인 job shop 일정계획 문제에 적용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active 스케줄 복호화 및 semi active 스케줄 복호화의 두 가지 복호화 방법을 소개하였으며, 이들은 공정들의 순열로부터 실행가능한 스케줄을 얻는데 사용되었다. Findings semi active 스케줄 기반 유전 알고리즘은 active 스케줄 기반 유전 알고리즘에 비해 최적해를 탐색하는데 소요되는 반복 횟수가 좀 더 많은 경향이 있었으나, 알고리즘 실행 시간을 훨씬 짧았다. 나아가, semi active 스케줄 복호화는 그 절차가 단순하여 이해하고 구현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따라서, 효과적인 해 탐색 전략이 주어지는 경우에는 semi active 스케줄에 기반한 해법이 일정계획 문제 풀이에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Access Policy Transfer Between Active Nodes Using Identities

  • Kim, Young-Soo;Han, Jong-Wook;Seo, Dong-Il;Sohn, Seung-Wo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3년도 ICCAS
    • /
    • pp.2178-2181
    • /
    • 2003
  • Active networks allow active node’s functionality to be extended dynamically through the use of active extensions. This flexible architecture facilitates the deployment of new network protocols and services. However, the active nature of a network also raises serious safety and security concerns. These concerns must be addressed before active networks can be deployed. In this paper we look at how we can control active extension’s access to different active nodes. Specifically, the authentication between active nodes is very important in this case. We use unique identity each node has for transferring access policies between active nodes. In this paper, we suggest a new method of transferring access policies performing authentications using identities between active nodes.

  • PDF

능동 응용의 특성을 고려한 능동 노드 구조 (Active Node Architecture considering He Characteristics of Active Applications)

  • 안상현;김경춘;손선경;손승원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9권6호
    • /
    • pp.712-721
    • /
    • 2002
  • 능동 네트워크는 기존 프로토콜 개발 방식이 가지는 새로운 프로토콜의 수용 능력에 있어서의 한계와, 장시간의 표준화 작업 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새로운 네트워킹 방식이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소와 대학에서 능동 노드의 구조와 능동 패킷의 형식을 제안해 왔으나, 현재까지 제안된 능동 네트워크에서 고려되지 못한 문제들이 여전히 남아 있다. 그 중의 하나가 서로 다른 능동 응용들의 요구사항에 따라 특성화되는 능동 패킷과 라우팅 방법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능동 응용들의 요구사항에 따른 능동 패킷의 기능을 파악해서 이를 반영한 능동 패킷의 종류를 네 가지로 구분하고, 각 특성에 맞는 라우팅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이들 사항을 반영한 능동 노드 구조도 제시하였다.

Mobile IPv6상에서 적응적 액티브 타이머를 고려한 IP 페이징 (IP Paging with an Adaptive Active Timer in Mobile IPv6)

  • 이보경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1권5호
    • /
    • pp.482-489
    • /
    • 2004
  • Mobile IP에서 이동노드의 불필요한 위치 등록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네트워크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고자 IETF에서는 IP 페이징 기법을 제안하였다. IP 페이징 기법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동노드는 active on, active off, idle 중 한가지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Active on 상태는 이동노드에 데이터 세션이 형성되어 데이타를 수신하거나 또는 송신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때 이동노드가 데이타의 송수신을 완료하고 나면 이동노드는 active off 상태로 바뀌게 되며 active timer를 구동한다. 그 후 일정시간 동안 이동노드가 데이타를 송수신하지 않고 페이징 영역 간 이동이 발생하지 않으면 active timer가 만료된다. 이때 이동노드의 상태는 idle 상태로 바뀌게 된다 기존의 IP 페이징 기법에서는 고정된 active timer 값을 사용하고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이동노드의 이동성 및 트래픽 특성에 따라 active timer 값을 동적으로 설정하여 불필요한 위치갱신 작업을 줄일 수 있는 IP 페이징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논문의 제안기법과 기존의 IP 페이징 기법간의 위치 갱신 및 페이징 비용에 대한 수학적 모델을 수립하고 성능평가를 수행한다. 이를 이용하여 성능 분석을 수행한 결과 기존 기법에 비하여 제안 기법이 보다 효율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IP 망에서 액티브 패킷의 경로 설정 및 신뢰성 전송 (Routing and Reliable Transmission of Active Packets in W Networks)

  • 윤보영;채기준;남택용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9C권6호
    • /
    • pp.875-882
    • /
    • 2002
  • 액티브 패킷은 기존의 IP 패킷과는 달리 목적지가 아닌 중간의 액티브 노드에서 실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액티브 패킷들이 같은 액티브 노드를 경유해야함은 물론이고 모든 패킷들이 손실 없이 도착해야 정상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액티브 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액티브 패킷들이 손실 없이 같은 액티브 노드를 거쳐 실행될 수 있는 액티브 엔진을 제안한다. 제안한 액티브 엔진은 기존의 IP 망에 적용이 쉽고 송신자가 네트워크 내의 액티브 노드의 위치를 몰라도 액티브 패킷들이 같은 액티브 노드를 경유할 수 있으며 신뢰성 있는 액티브 패킷의 전송을 보장한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기존의 전송 프로토콜들과 성능을 비교ㆍ분석한 결과, 제안하는 액티브 엔진은 전송지연이 작고 처리율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로드 밸런싱 Active-Active 방식의 웹 서버 이중화 구축 및 결함내성 시험 (Implementation and Fault-tolerance Tests of Load Balanced and Duplicated Active-Active Web Servers)

  • 최재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63-7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Active-Active 방식의 웹서버 이중화 방법에 관해 연구하였다. Rsync과 crontab을 이용하여 웹서버간에 주기적인 복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동일한 상태를 유지시켰다. 로드밸런싱서버가 웹서버를 교대로 실행하여 부하를 분산하고, 빠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였다. 또한 임의의 웹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또 다른 웹서버에 의해 서비스가 계속 유지되도록 하였다.

Active tendon control of suspension bridges: Study on the active cables configuration

  • Tian, Zhui;Mokrani, Bilal;Alaluf, David;Jiang, Jun;Preumont, Andre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19권5호
    • /
    • pp.463-472
    • /
    • 2017
  • In a previous study, the potential of damping suspension bridges with active stay cables has been evaluated on a numerical model of a suspension bridge, and demonstrated experimentally on a laboratory mockup. In this paper, we extend our study to explore two different configurations of the active stay-cables: one classical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attaching the active stay-cables between the top of the pylons and the deck (configuration I) and, another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ttaching the stay-cables between the base of the pylons and the catenary (configuration II). The analysis confirmed that both configurations are effective with a slight superiority of the second configuration. The study is conducted numerically and experimentally on a suspension bridge mock-up, by considering two types of active stay-cables. The experimental results confirmed the numerical predictions, and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second configuration.

Active Contour Model과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의료 영상 분할 (Segmentation of Medical Images Using Active Contour Models and Genetic Alogorithms)

  • 이성기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57-46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active contour model과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의료영상에서 해부학적 객체의 경계선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active contour model의 성능은 active contour model의 에너지를 최적화 하는 방법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active contour model의 에너지를 최적화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방법을 대퇴골두 의료영상에 적용하여 실험하였으며, active contour model의 초기화에 관계없이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음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