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aptation strategies

검색결과 337건 처리시간 0.025초

장애아모의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적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ping Strategies and Adaptation of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

  • 이삼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8권
    • /
    • pp.180-205
    • /
    • 1999
  •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모의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전략과 적응 간의 관계를 정립하는 것이었다. 특히 장애아모의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장애아모와 장애자녀의 개인 및 환경적 특성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대처전략의 적응에의 순수한 독립적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서울, 창원, 대구의 장애인복지관에 등록된 장애아동의 어머니 9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결과, 대처전략과 장애아모의 적응간의 유의미한 관계가 입증되었다.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분석을 통해 밝혀진 장애아모의 적응 예측에 기여한 대처전략은 직면전략, 책임수용 전략 그리고 긍정적 재평가전략이었다. 직면과 책임수용전략은 장애아모의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긍정적 재평가전략은 장애아모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들 직면, 책임수용, 긍정적 재평가전략의 적응에의 효과는 다른 예측변수의 영향력을 보수적인 방법으로 통제한 상태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모를 위한 사회사업개입방안이 논의되었다.

  • PDF

결혼이민여성의 가족생활 적응전략 (Adaptation Strategy of Family Life of Migration Woman by Marriage)

  • 성향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316-32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여성이 가족생활적응을 위하여 아내, 며느리, 어머니로서 어떠한 적응 전략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는지를 밝힘으로서 이들의 실천적 적응 전략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8명의 결혼이민여성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으로 가족 내 관계의 차원 즉 부부관계, 시부모관계, 자녀관계를 중심으로 가족생활적응전략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부관계 적응전략에서 '착한 남편 바라보고 살기', '남편은 나의 편이어야 함', 시부모관계 적응전략에서 '시집식구 배제하기', '돌봄의 수용', 자녀관계 적응전략에서 '자녀를 결혼생활의 목표로 삼음', '지역사회와 통합', '부모로서의 권위 갖추기', '한국 사람처럼 가르치기', 심리적 적응전략에서는 '정체성의 유지와 변화수용', '자존감 지키기', '마음비우기'의 11개 주제와, 26개의 주제묶음, 76개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결혼이민 여성의 가족관계에 따른 적응전략의 본질을 밝히고 가족생활 적응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대학생활적응이 취업전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to Employment Strategies of Nursing Students)

  • 한영인;김정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99-409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대학생활적응 및 취업전략 정도를 확인하고 각 변수들간의 상관성 및 취업전략에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서술적 조사연구로 설계되었다. 자료수집은 G시의 일개 간호대학교에서 2017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수집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221명의 간호대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참여자들은 구조화된 자가 설문지를 통해 건강증진행위, 대학생활적응 및 취업전략을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평균점수는 $2.11{\pm}.34$점, 대학생활적응 평균점수는 $3.47{\pm}.67$점, 취업전략 평균점수는 $3.24{\pm}.56$점이었다. 건강증진행위와 대학생활적응 (r=.437, p<.001), 건강증진행위와 취업전략 (r=.536, p<.001), 대학생활적응과 취업전략(r=.615,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간호대학생들의 취업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 생활적응, 건강증진행위, 환경변화적응, 건강상태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9.7%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취업전략은 건강증진행위, 대학생활적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대학생활적응과 취업전략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로그램개발과 반복연구, 교육과정개선이 필요하다.

Corporation's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Related Natural Disasters : Embedding Resiliency in Supply Chain - A Study on Climate Change Related Natural Disaster Adaptation for Corporations -

  • Pak, Myong Sop;Kim, In Sun
    • 무역상무연구
    • /
    • 제64권
    • /
    • pp.239-264
    • /
    • 2014
  • Two types of responses to climate change exist. First is climate mitigation which includes efforts of reducing CO2 and GHG emissions. Second response is climate adaptation process which is establishing climate resilience in the supply chain. The two are inherently different since mitigation strategy focus on eliminating the source of climate change and is long term in nature but adaptation strategy is moderating the impact of potential or current climate change. In order to embed climate resilience in the supply chain, mitigation strategies and adaption strategies must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Corporation's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related natural disaster can be seen as a response that includes mitigation and adaptation strategies simultaneously. A comprehensive climate change resilience supply chain approach has to be developed. This paper illustrated guidelines and adaptation process framework businesses can utilize in order to build climate resilience. Screening process before the actual assessment of risk was introduced as well as the whole adaptation process of establishing information system and strengthening climate-related operational flexibility.

  • PDF

Adaptive Hypermedia for eLearning: An Implementation Framework

  • Dutta, Diptendu;Majumdar, Shyamal;Majumdar, Chanda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676-684
    • /
    • 2003
  • eLearning can be defined as an approach to teaching and teaming that utilises Internet technologies to communicate and collaborate in an educational context. This includes technology that supplements traditional classroom training with web-based components and learning environments where the educational process is experienced online. The use of hypertext as an educational tool has a very rich history. The advent of the internet and one of its major application, the world wide web (WWW), has given a tremendous boost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hypermedia systems for educational purposes. However, the web suffers from an inability to satisfy the heterogeneous needs of a large number of users. For example, web-based courses present the same static teaming material to students with widely differing knowledge of the subject. Adaptive hypermedia techniques can be used to improve the adaptability of eLearning. In this paper we report an approach to the design a unified implementation framework suitable for web-based eLearning that accommodates the three main dimensions of hypermedia adaptation: content, navigation, and presentation. The framework externalises the adaptation strategies using XML notation. The separation of the adaptation strategies from the source code of the eLearning software enables a system using the framework to quickly implement a variety of adaptation strategies. This work is a part of our more general ongoing work on the design of a framework for adaptive content delivery. parts of the framework discussed in this paper have been imulemented in a commercial eLearning engine.

  • PDF

Analysis of Strategies to Attain a Resilience Approach in Adaptation to Urban Flooding

  • Choi, Gye-Woon;Gourbesville, Philippe;Rio, Alicia Del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620-624
    • /
    • 2010
  • The Integrated Flood Management (IFM) concept intends to obtain the maximum of benefits from the use of floodplains and the minimum of losses from flooding which seems to be the ideal outcome of flood management. For this, different strategies are recommended in order to reach this objective. The implementation of this concept leads to a resilience approach for the adaptive management of floods and is currently on its way to be better understood and integrated as part of the water resources management. There exist a fair amount of strategies to adapt to flooding that have been recommended or already implemented either as planned or autonomous ways of adaptation but their effectivity depends on the specific case where they are applied. This is why this paper looks to give a better overview of the different recommended or implemented strategies by analyzing them regarding their inheren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 PDF

대학생의 갈등해결전략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적응에 의해 매개된 정신화의 조절효과 (Influence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n Subjective Well-being in College Students: Moder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Mediated by Adaptation to College Life)

  • 정구철;전영숙;박희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38-151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팀 활동 중 수행하는 갈등해결전략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고, 대학생활적응에 의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학생 248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인 타협과 협력 전략은 주관적 웰빙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고, 대학생활적응을 통한 매개효과도 유의하였다. 둘째, 갈등해결전략 중 양보, 회피, 지배 전략은 대학생활적응을 통한 정신화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정신화 실패의 수준이 높을수록 양보, 회피, 지배 전략이 대학생활적응과 주관적 웰빙에 대해 유의한 설명변수가 되었다. 셋째, 양보와 회피 전략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직접효과에서 정신화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고, 정신화 실패의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의 중요성을 검증하였고, 양보, 회피, 지배 전략의 경우 정신화 실패의 수준과 함께 대학생들의 적응과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논의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대인관계능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go Resilience, Interpersonal Relation,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college life adaptation of nursing students)

  • 최숙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48-156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대인관계능력,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B, Y시의 간호대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5월 8일부터 5월 13일까지 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평균 $3.21{\pm}0.53$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자아탄력성(r=.443, p<.001), 대인관계능력(r=.400, p<.001),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r=.465, p<.001)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beta}=-.202$, p<.001), 전공만족(${\beta}=.285$, p<.001), 자아탄력성(${\beta}=.191$, p<.001),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beta}=.251$, p<.001)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46.2%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확인하기 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고, 대학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최고 간호관리자의 역할적응과정 (The Role Adaptation Process of The Executive Director of Nursing Department)

  • 강성례;박광옥;김종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85-798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ole adaptation process experienced by executive directors of nursing department of general hospital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9 executive nursing directors though in-depth interviews about their experiences. The main question was "How do you describe your experience of the process of role adaptation as an executive nursing director?" Qualitative data from field and transcribed notes were analyzed using Strauss & Corbin's grounded theory methodology. Results: The core category of experience of the process of role adaptation as an executive nursing director was identified as "entering the center with pushing and pulling". The participants used five interactional strategies; 'maintaining modest attitudes', 'inquiring about trends of popular feeling', 'making each person a faithful follower', 'collecting & displaying power', 'leading with initiative'. The consequences of role adaptation in executive nursing directors were 'coexisting with others', 'immersing in one's new role with dedication', and 'having capacity for high tolerance'. The types of role adaptations of executive directors in nursing department were friendly type, propulsive type, accommodating typ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duced useful information for executive nursing directors on designing a self-managerial program to enhance role adaptation based on interactional strategies.

정부통합전산센터의 Web2.0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aptation Strategies Based on Web2.0 for NCIA)

  • 나종회;김판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6권3호
    • /
    • pp.23-34
    • /
    • 2008
  • Progressing of Web2.0 and social digitalization are lead to changing citizens participation and citizen centric service of civic service. To meet this trends that is online collaboration and sharing, citizen's service that provides our government, also need to changing web2.0 style. This paper argues that government could now grasp the opportunities that are emerging in terms of web2.0 Current policy and action is not yet adequate to grasp these opportunities. So this study focused on strategies of civil services based on web2.0 using NCIA(National Computerization Integrated Agency) cases. For the purpose, we analyze former researches related with civil service. And then, we propose web2.0 adaptation strategies for NCI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