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ults who stutter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8초

말더듬 성인에 대한 직업 추천 양상과 관련 요인 분석 (Occupational advice for adults who do stutter and the associated factors)

  • 박홍주;박선영;장혜경;박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8권3호
    • /
    • pp.91-109
    • /
    • 2016
  • This study was mainly aimed to investigate on the perceptions of occupational suitability for speakers who stutter and the associated factors. 90 college students who do not stut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sked to hear one of three audio recordings(i.e., fluent version, mildly-stuttered version, and severely-stuttered version) of a male speaker who stuttered. Then,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ate the speaker's communicative functioning, personal attributes, and suitability for 31 occupations, along with perceptions of the occupations' speaking demands and educational requirements. Results show that speakers who stuttered (i.e., mildly-stuttered and severely-stuttered version) received lower suitability ratings for high speaking demand occupations than for low speaking demand occupations. In addition, it has been shown that perceived speaking demand strongly affected occupational suitability ratings at both levels of stuttering severity.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occupational suitability ratings were not associated with ratings of the speaker's personal attributes and perceived educational requirements. From these findings it can be argued that adults who stutter may face occupational stereotyping and/or role entrapment in work settings.

말더듬의 외현적 특성과 내면적 특성 간의 상관: 말더듬 성인을 중심으로 (Correlation between overt and covert characteristics of stuttering in adults who stutter)

  • 전희정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35-43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말더듬 성인을 대상으로 말더듬의 외현적 특성과 내면적 특성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자는 말더듬 성인 10명이었으며, 각 대상자는 말더듬 중증도 검사-4(SSI-4), 전반적 말더듬 경험 평가-성인용(OASES-A), Erickson 의사소통태도검사-수정본(S-24)을 사용한 평가를 받았다. 말더듬의 외현적 특성은 SSI-4의 말더듬 빈도, 말더듬 지속시간, 신체적 부수행동 점수와 총 점수를 사용하였으며, 말더듬의 내면적 특성은 OASES-A의 네 개 하위 섹션(일반적인 정보, 말더듬에 대한 반응, 일상생활에서의 의사소통, 삶의 질) 점수와 총 점수, 그리고 S-24 점수를 사용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말더듬의 외현적 특성 점수와 내면적 특성 점수 간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말더듬의 내면적 특성을 반영하는 OASES-A 점수와 S-24 점수 사이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말더듬의 외현적 특성이 내면적 특성을 예측하기 어려우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라는 관점을 지지한다. 따라서 말더듬의 평가 및 치료 시 두 특성을 별도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배경소음상황에 따른 성인 말더듬화자의 발화 관련 변수 비교 (Effects of Background Noises on Speech-related Variables of Adults who Stutter)

  • 박진;오선영;전제표;강진석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7권1호
    • /
    • pp.27-37
    • /
    • 2015
  • This study was mainly aimed at investigating on the effects of background noises (i.e., white noise, multi-speaker conversational babble) on stuttering rate and other speech-related measures (i.e., articulation rate, speech effort). Nine Korean-speaking adults who stutter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of the participants was asked to read a series of passages under each of four experimental conditions (i.e., typical solo reading (TR), choral reading (CR), reading under white noise presented (WR), reading with multi-speaker conversational babble presented (BR). Stuttering rate was computed based on a percentage of syllables stuttered (%SS) and articulation rate was also assessed as another speech-related measure under each of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o examine the amount of physical effort needed to read, the speech effort was measured by using the 9-point Speech Effort Self Rating Scale originally employed by Ingham et al. (2006).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each of the passage reading conditions in terms of stuttering rate, articulation rate, and speech effort. In conclusion, it can be argued that the two different types of background noises (i.e., white noise and multi-speaker conversational babble) are not different in the extent to which each of them enhances fluency of adults who stutter. Self ratings of speech effort may be also useful in measuring speech-related variables associated with vocal changes induced under each of the fluency enhancing conditions.

말운동 연습과 언어적 복잡성이 말더듬 성인의 조음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eech motor practice and linguistic complexity on articulation rate in adults who stutter)

  • 전희정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3호
    • /
    • pp.91-101
    • /
    • 2021
  • 본 연구는 조음속도를 사용하여 말더듬 성인과 일반 성인의 말운동 특성과 운동기술 학습 능력을 비교하고, 언어적 복잡성이 조음속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말더듬 성인 11명, 일반 성인 11명이었다. 각 참여자는 길이와 구문적 복잡성이 다른 4개의 문장(짧고 단순한 문장, 길고 단순한 문장, 길고 복잡한 문장, 길고 구문적 오류가 있는 문장)을 반복해서 산출하였으며, 문장별로 전체 조음속도 및 문장산출 순서에 따른 조음속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언어적 복잡성과 상관없이 말더듬 성인은 일반 성인보다 전체 조음속도가 유의하게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긴 문장들이 짧고 단순한 문장보다 조음속도가 유의하게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문장산출 순서에 따른 조음속도 비교 결과, 두 집단은 모든 문장에서 중간 4개 문장과 마지막 3개 문장의 조음속도가 첫 3개 문장의 조음속도보다 유의하게 빠른 모습을 보였다. 길고 구문적 오류가 있는 문장은 중간 4개 문장의 조음속도보다 마지막 3개 문장의 조음속도가 유의하게 빨라 지속적인 연습효과를 보인 반면, 다른 세 개의 문장들은 중간 4개 문장의 조음속도와 마지막 3개 문장의 조음속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말더듬 성인이 일반 성인보다 상대적으로 미숙한 말운동통제 능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문장의 길이와 구문적 복잡성이 조음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말더듬 성인과 일반 성인은 문장을 반복적으로 산출하며 조음속도가 빨라지는 연습효과를 보였으며, 연습효과가 나타나는 패턴은 두 집단이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말더듬 아동과 성인에게서 나타난 비유창성의 음운특성 (The Phonemic Characteristics of Disfluencies in Children and Adults Who Stutter)

  • 한진순;이은주;심현섭
    • 음성과학
    • /
    • 제12권3호
    • /
    • pp.59-77
    • /
    • 2005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phonemic characteristics influence on the disfluencies of children and adults who stutter. The participants were 10 children(9 boys and 1 girl) and 10 male adults. After having the participants to read out the Paradise-Fluency Assessment(Sim, Shin & Lee, 2004) passages, each of the productions were divided into syllables and words, and then the frequencies and the ratios of their disfluencei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pecified phonemic feature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the disfluency, the participants stuttered more in the words which start with consonant than vowel. But they showed more disfluencies in the words initiated with vowel than consonant when the ratio of each phoneme's presences were considered. There found different tendencies among the phonemic features related with their disfluencies occuring with ralatively high frequency or ratio. It was difficult to find out the exact relationships among the order of the sound acquisition, phonemic complexity, and the disfluencies. To study the exact influence of the phonemic features upon the disfluencies, it comes important to consider the frequency of the stuttering itself together with the ratio of the disfluencies in which the opportunity of the specific sound's presence was considered.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different studies which has similar purposes, it seems important to consider the tasks and the methodologies in depth.

  • PDF

다화자잡음이 말더듬의 비율과 말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Noise Effect on Stuttering and Overall Speech Rate: Multi-talker Babble Noise)

  • 박진;정인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4권2호
    • /
    • pp.121-126
    • /
    • 2012
  • This study deals with how stuttering changes in its frequency in a situation where adult participants who stutter are exposed to one type of background noise, that is, multi-talker babble noise. Eight American English-speaking adults who stut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of the subjects read aloud sentences under each of three speaking conditions (i.e., typical solo reading (TSR), typical choral reading (TCR), and multi-talker babble noise reading (BNR)). Speech fluency was computed based on a percentage of syllables stuttered (%SS) and speaking rate was also assessed to examine if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in rates as a measure of vocal change under each of the speaking conditions. The study found that participants read more fluently both during BNR and during TCR than during TSR. The study also found that participants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in speaking rate across the three speaking conditions. Some discussion was provided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multi-talker babble noise on the frequency of stuttering and its further speculation.

직업상담사의 말더듬 성인에 대한 직업 추천 양상과 관련 요인 분석 (Occupational advice from vocational counselors for adults who stutter and associated factors)

  • 박진;장혜경;신형탁;조남빈;박희영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1권2호
    • /
    • pp.65-7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직업상담사를 대상으로 한국고용노동부에 수록된 31개의 직업군들을 바탕으로 말더듬 성인을 위한 직업 추천 양상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69명의 직업상담사(실험조건 당 23명)로 하여금 말더듬 성인을 통해 생성된 세 가지 발화샘플(유창한 발화, 덜 심한 말더듬, 심한 말더듬) 중 하나를 듣고 제공된 척도질문지(직업 관련 말하기 요구량 척도, 직업 관련 교육 수준 척도, 직업 조언 척도, 의사소통 평정 척도, 의미 차이 평정 척도)를 통해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두 말더듬 상황에서 직업 관련 말하기 요구량이 높은 직업군은 낮게 추천한 반면, 직업 관련 말하기 요구량과 교육 수준 정도가 모두 낮은 직업군은 높게 추천되었다. 또한 의사소통 평정에 있어 실험조건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의미 차이 평정에 있어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업 추천 정도와 관련해 직업 관련 말하기 요구량 인식 정도는 유의한 수준에서 부적 상관관계가, 의사소통 평정은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의미 차이 평정에 있어서도 유의한 수준에서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의사소통장애인으로서 말더듬 성인이 직업과 관련해 상당한 역할 제한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유창성장애 성인의 말속도와 유창성 측정에 관한 연구 (Measurements of Speaking Rate and Fluency in Stuttering Adults)

  • 신문자
    • 음성과학
    • /
    • 제7권3호
    • /
    • pp.273-28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ech rate and fluency in stuttering adults. It was suggested that a measurement guideline of speech rate and fluency for collecting clinically meaningful data be used. Subjects included 10 adults who stutter (mean age=25;8). Syllables were used as the unit of measurement for analyzing the duration of speech. The mean rate was 241 SPM (syllables per minute) for reading, and 196 SPM for spontaneous speaking. Fluency was also measured in both cases. The correlation between rate of speech and fluency was high (r=0.92).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different investigators in measuring speech rates and fluencies.

  • PDF

말더듬 성인의 군대 적응 정도에 대한 군지휘관의 인식 양상 및 관련 요인 분석 (Perception of military officers towards the military adaptation of adults who stutter and the associated factors)

  • 박혜린;박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1호
    • /
    • pp.55-6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직업군인의 말더듬 성인에 대한 군대 적응 예측 정도와 이러한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89명의 직업군인을 대상으로 발화 유창성 정도와 관련해 세 가지 버전[유창한 발화(23명), 덜 심한 말더듬(34명), 심한 말더듬(32명)] 중 무작위로 배정된 하나의 음성샘플을 들려주고 발화 관련 요인(유창성, 명료도, 자연스러움, 말속도), 성격 관련 요인(호감, 지적 수준, 불안, 사교성), 그리고 군대 적응 예측 정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군대 적응 예측 정도에서 유창한 발화와 심한 말더듬 간, 그리고 덜 심한 말더듬과 심한 말더듬 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유창한 발화와 덜 심한 말더듬 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군대 적응 예측 정도에 있어 발화 특성 요인 중에서는 발화 유창성, 명료도, 자연스러움, 말속도 순으로, 성격 관련 인상 요인 중에서는 호감, 사교성, 불안, 지적 수준의 순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발화 유창성이 군대 적응 예측 정도에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발화 관련 특성 요인과 군대 적응 예측 정도와의 관련성에 대해 추가적인 논의를 기술하였다.

인공지능 기반의 말더듬 자동분류 방법: 합성곱신경망(CNN) 활용 (AI-based stuttering automatic classification method: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박진;이창균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71-80
    • /
    • 2023
  • 본 연구는 말더듬 화자들의 음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말더듬 자동 식별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말더듬 화자들을 대상으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을 활용한 식별기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말더듬 성인 9명과 정상화자 9명을 대상으로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Google Cloud STT(Speech-To-Text)를 활용하여 어절 단위로 자동 분할한 후 유창, 막힘, 연장, 반복 등의 라벨을 부여하였다. 또한 MFCCs(mel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를 추출하여 CNN 알고리즘을 기반한 말더듬 자동 식별기 모델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연장의 경우 수집결과가 5건으로 나타나 식별기 모델에서 제외하였다. 검증 결과, 정확도는 0.96으로 나타났고, 분류성능인 F1-score는 '유창'은 1.00, '막힘'은 0.67, '반복'은 0.74로 나타났다. CNN 알고리즘을 기반한 말더듬 자동분류 식별기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막힘 및 반복유형에서는 성능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말더듬의 유형별 충분한 데이터 수집을 통해 추가적인 성능 검증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말더듬 화자의 발화 빅데이터 확보를 통해 보다 신뢰성 있는 말더듬 자동 식별 기술의 개발과 함께 이를 통한 좀 더 고도화된 평가 및 중재 관련 서비스가 창출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