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ersarial attack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초

AI 모델의 Robustness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Adversarial Attack 생성 방안 연구 (A Study on Effective Adversarial Attack Creation for Robustness Improvement of AI Models)

  • 정시온;한태현;임승범;이태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25-36
    • /
    • 2023
  • 오늘날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은 보안 분야를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에 도입됨에 따라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다. 하지만 AI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악성 행위 탐지를 교묘하게 우회하는 공격 기법들도 함께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공격 기법 중 AI 모델의 분류 과정에서 입력값의 미세한 조정을 통해 오 분류와 신뢰도 하락을 유도하는 Adversarial attack이 등장하였다. 앞으로 등장할 공격들은 공격자가 새로이 공격을 생성하는 것이 아닌, Adversarial attack처럼 기존에 생성된 공격에 약간의 변형을 주어 AI 모델의 탐지체계를 회피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악성코드의 변종에도 대응이 가능한 견고한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AI 모델의 Robustness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Adversarial attack 생성 기법으로 2가지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XAI 기법을 활용한 XAI based attack 기법과 모델의 결정 경계 탐색을 통한 Reference based attack이다. 이후 성능 검증을 위해 악성코드 데이터 셋을 통해 분류 모델을 구축하여 기존의 Adversarial attack 중 하나인 PGD attack과의 성능 비교를 하였다. 생성 속도 측면에서 기존 20분이 소요되는 PGD attack에 비하여 XAI based attack과 Reference based attack이 각각 0.35초, 0.47초 소요되어 매우 빠른 속도를 보이며, 특히 Reference based attack의 경우 생성률이 97.7%로 기존 PGD attack의 생성률인 75.5%에 비해 높은 성공률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제안한 기법을 통해 더욱 효율적인 Adversarial attack이 가능하며, 이후 견고한 AI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데이터 예측 클래스 기반 적대적 공격 탐지 및 분류 모델 (Adversarial Example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the Class Predicted by Deep Learning Model)

  • 고은나래;문종섭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6호
    • /
    • pp.1227-1236
    • /
    • 2021
  • 딥러닝 분류 모델에 대한 공격 중 하나인 적대적 공격은 입력 데이터에 인간이 구별할 수 없는 섭동을 추가하여 딥러닝 분류 모델이 잘못 분류하도록 만드는 공격이며, 다양한 적대적 공격 알고리즘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적대적 데이터를 탐지하는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으나 적대적 데이터가 어떤 적대적 공격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되었는지 분류하는 연구는 매우 적게 진행되었다. 적대적 공격을 분류할 수 있다면, 공격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더욱 견고한 딥러닝 분류 모델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격 대상 딥러닝 모델이 예측하는 클래스를 기반으로 은닉층의 출력값에서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을 입력으로 하는 랜덤 포레스트 분류 모델을 구축하여 적대적 공격을 탐지 및 분류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모델은 최신의 적대적 공격 탐지 및 분류 모델보다 정상 데이터의 경우 3.02%, 적대적 데이터의 경우 0.80%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기존 연구에서 분류하지 않았던 새로운 공격을 분류한다.

Adversarial Attacks and Defense Strategy in Deep Learning

  • Sarala D.V;Thippeswamy Gangapp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1호
    • /
    • pp.127-132
    • /
    • 2024
  • With the rapid evolution of the Internet,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fields is more and more extensive, and the era of AI has come. At the same time, adversarial attacks in the AI field are also frequent. Therefore, the research into adversarial attack security is extremely urgent. An increasing number of researchers are working in this field. We provide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theories and methods that enable researchers to enter the field of adversarial attack. This article is according to the "Why? → What? → How?" research line for elaboration. Firstly, we explain the significance of adversarial attack. Then, we introduce the concepts, types, and hazards of adversarial attack. Finally, we review the typical attack algorithms and defense techniques in each application area. Facing the increasingly complex neural network model, this paper focuses on the fields of image, text, and malicious code and focuses on the adversarial attack classifications and methods of these three data types, so that researchers can quickly find their own type of study. At the end of this review, we also raised some discussions and open issues and compared them with other similar reviews.

얼굴 인식 모델에 대한 질의 효율적인 블랙박스 적대적 공격 방법 (Query-Efficient Black-Box Adversarial Attack Methods on Face Recognition Model)

  • 서성관;손배훈;윤주범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2권6호
    • /
    • pp.1081-1090
    • /
    • 2022
  • 얼굴 인식 모델은 스마트폰의 신원 인식에 활용되는 등 많은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DNN 모델의 보안성 검토가 중요해지고 있는데 DNN 모델의 잘 알려진 취약점으로 적대적 공격이 존재한다. 적대적 공격은 현재 DNN 모델의 인식 결과만을 이용하여 공격을 수행하는 의사결정 공격기법까지 발전하였다. 그러나 기존 의사결정 기반 공격기법[14]은 적대적 예제 생성 시 많은 질의 수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기울기를 근사하는데 많은 질의 수가 소모되는데 정확한 기울기를 구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의사결정 공격기법의 기울기를 근사할 때 소모되는 질의 수 낭비를 막기 위해서 직교 공간 샘플링과 차원 축소 샘플링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섭동의 크기가 L2 distance 기준 약 2.4 적은 적대적 예제를 생성할 수 있었고 공격 성공률의 경우 약 14% 향상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적대적 예제 생성방법의 같은 질의 수 대비 공격 성능이 우수함을 입증한다.

영상 인식을 위한 딥러닝 모델의 적대적 공격에 대한 백색 잡음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White Noise effect Against Adversarial Attack for Deep Learning Model for Image Recognition)

  • 이영석;김종원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7-35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적대적 공격으로부터 생성된 적대적 예제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딥러닝 시스템의 오분류를 방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분류기의 입력 영상에 백색 잡음을 가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적대적이든 적대적이지 않던 구분하지 않고 분류기의 입력 영상에 백색 잡음을 더하여 적대적 예제가 분류기에서 올바른 출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제안한 방법은 FGSM 공격, BIM 공격 및 CW 공격으로 생성된 적대적 예제에 대하여 서로 다른 레이어 수를 갖는 Resnet 모델에 적용하고 결과를 고찰하였다. 백색 잡음의 가산된 데이터의 경우 모든 Resnet 모델에서 인식률이 향상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은 단순히 백색 잡음을 경험적인 방법으로 가산하고 결과를 관찰하였으나 에 대한 엄밀한 분석이 추가되는 경우 기존의 적대적 훈련 방법과 같이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적대적 공격에 대한 방어 기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합학습에서의 손실함수의 적응적 선택을 통한 효과적인 적대적 학습 (Effective Adversarial Training by Adaptive Selection of Loss Function in Federated Learning)

  • 이수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9
    • /
    • 2024
  • 연합학습은 보안 및 프라이버시 측면에서 중앙 집중식 방법보다 안전하도록 설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취약점을 내재한다. 적대적 공격(adversarial attack)을 수행하는 공격자는 신중하게 제작된 입력 데이터, 즉 적대적 예제(adversarial examples)를 클라이언트의 학습 데이터에 주입하여 딥러닝 모델을 의도적으로 조작하여 오분류를 유도한다. 이에 대한 보편적인 방어 전략은 이른바 적대적 학습(adversarial training)으로 적대적 예제들의 특성을 선제적으로 모델에 학습시키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모든 클라이언트가 적대적 공격 하에 있는 상황을 가정하는데 연합학습의 클라이언트 수가 매우 많음을 고려하면 실제와는 거리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일부가 공격 하에 있는 시나리오에서 적대적 학습의 양상을 실험적으로 살핀다. 우리는 실험을 통해 적대적 예제에 대한 분류 정확도가 증가하면 정상 샘플에 대한 분류 정확도의 감소하는 트레이드오프 관계를 가짐을 밝혔다. 이러한 트레이드오프 관계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클라이언트가 자신이 공격받는지 여부에 따라 손실함수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적대적 학습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Presentation Attacks in Palmprint Recognition Systems

  • Sun, Yue;Wang, Changkun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9권2호
    • /
    • pp.103-112
    • /
    • 2022
  • Background: A presentation attack places the printed image or displayed video at the front of the sensor to deceive the biometric recognition system. Usually, presentation attackers steal a genuine user's biometric image and use it for presentation attack. In recent years, reconstruction attack and adversarial attack can generate high-quality fake images, and have high attack success rates. However, their attack rates degrade remarkably after image shooting. Methods: In order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threat of presentation attack to palmprint recognition system, this paper makes six palmprint presentation attack datasets. The datasets were tested on texture coding-based recognition methods and deep learning-based recognition methods. Results and conclus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esentation attack caused by the leakage of the original image has a high success rate and a great threat; while the success rates of reconstruction attack and adversarial attack decrease significantly.

Intrusion Detection System을 회피하고 Physical Attack을 하기 위한 GAN 기반 적대적 CAN 프레임 생성방법 (GAN Based Adversarial CAN Frame Generation Method for Physical Attack Evading Intrusion Detection System)

  • 김도완;최대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6호
    • /
    • pp.1279-1290
    • /
    • 2021
  • 차량 기술이 성장하면서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 없는 자율주행까지 발전하였고, 이에 따라 차량 내부 네트워크인 CAN 보안도 중요해졌다. CAN은 해킹 공격에 취약점을 보이는데, 이러한 공격을 탐지하기 위해 기계학습 기반 IDS가 도입된다. 하지만 기계학습은 높은 정확도에도 불구하고 적대적 예제에 취약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IDS를 회피할 수 있도록 feature에 잡음을 추가하고 또한 실제 차량의 physical attack을 위한 feature 선택 및 패킷화를 진행하여 IDS를 회피하고 실제 차량에도 공격할 수 있도록 적대적 CAN frame 생성방법을 제안한다. 모든 feature 변조 실험부터 feature 선택 후 변조 실험, 패킷화 이후 전처리하여 IDS 회피실험을 진행하여 생성한 적대적 CAN frame이 IDS를 얼마나 회피하는지 확인한다.

선형 판별 분석 및 k-means 알고리즘을 이용한 적대적 공격 유형 분류 방안 (An Adversarial Attack Type Classification Method Using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and k-means Algorithm)

  • 최석환;김형건;최윤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6호
    • /
    • pp.1215-1225
    • /
    • 2021
  • 인공지능 기술은 우수한 성능을 기반으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지만 입력 데이터에 인간이 감지할 수 없는 적대적 섭동을 추가하여 인공지능 모델의 오작동을 유도하는 적대적 예제에 취약하다. 현재까지 적대적 예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은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1) 모델 재학습 방법; (2) 입력 변환 방법; (3) 적대적 예제 탐지 방법. 이러한 적대적 예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은 끊임없이 등장하고 있지만 각 적대적 공격 유형을 분류하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차원 축소와 군집화 알고리즘을 활용한 적대적 공격 유형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제안하는 방법은 적대적 예시로부터 적대적 섭동을 추출하고 선형 판별 분석(LDA)를 통해 적대적 섭동의 차원을 축소한 후에 k-means 알고리즘으로 적대적 공격 유형 분류를 수행한다. MNIST 데이터셋과 CIFAR-10 데이터셋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은 5개의 적대적 공격(FGSM, BIM, PGD, DeepFool, C&W)을 효율적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적대적 예제에 대한 정상 입력을 알 수 없는 제한적인 상황에서도 우수한 분류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질의 효율적인 의사 결정 공격을 통한 오디오 적대적 예제 생성 연구 (Generating Audio Adversarial Examples Using a Query-Efficient Decision-Based Attack)

  • 서성관;문현준;손배훈;윤주범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2권1호
    • /
    • pp.89-98
    • /
    • 2022
  • 딥러닝 기술이 여러 분야에 적용되면서 딥러닝 모델의 보안 문제인 적대적 공격기법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적대적 공격은 이미지 분야에서 주로 연구가 되었는데 최근에는 모델의 분류 결과만 있으면 공격이 가능한 의사 결정 공격기법까지 발전했다. 그러나 오디오 분야의 경우 적대적 공격을 적용하는 연구가 비교적 더디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오디오 분야에 최신 의사 결정 공격기법을 적용하고 개선한다. 최신 의사 결정 공격기법은 기울기 근사를 위해 많은 질의 수가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기울기 근사에 필요한 벡터 탐색 공간을 축소하여 질의 효율성을 높인다. 실험 결과 최신 의사 결정 공격기법보다 공격 성공률을 50% 높였고, 원본 오디오와 적대적 예제의 차이를 75% 줄여 같은 질의 수 대비 더욱 작은 노이즈로 적대적 예제가 생성 가능함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