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kali activated cement mortar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4초

활성제를 사용한 슬래그 미분말 혼합 모르타르의 강도 (Strength of Alkali-Activated GGBF Slag Mortar)

  • 문한영;신화철;권태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81-486
    • /
    • 2001
  •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shows very high strength when proper alkali-activator exists. This paper deals with setting time, heat evolution rate and the strength development of alkali-activated slag cement activated by KOH, Ca(OH$)_{2}$, $Na_{2}$ $So_{4}$ , and alum(potassium aluminum sulfate). Alkali-activated slag mortar is studied by comparison with GGBF slag cement mortar.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for moisture curing at $25^{\circ}C$, the addiction of either 4% $Na_{2}$ $So_{4}$ or 4% alum increases the strength of GGBF slag cement mortar consisting of 50% GGBF slag and 50% portland cement at early age. Strength of activated GGBF slag cement mortars at 1, 3 and 7 days exceeded that of GGBF slag cement mortar. A conduction calorimeter was used to monitor early age hydration.

  • PDF

The strength properties of alkali-activated silica fume mortars

  • Saridemir, Mustafa;Celikten, Serhat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19권2호
    • /
    • pp.153-159
    • /
    • 2017
  • In this study, the strength properties of alkali-activated silica fume (SF) mortars were investigated. The crushed limestone sand with maximum size of 0-5 mm and the sodium meta silicate ($Na_2SiO_3$) used to activate the binders were kept constant in the mortar mixtures. The mortar specimens using the replacement ratios of 0, 25, 50, 75 and 100% SF by weight of cement together with $Na_2SiO_3$ at a constant rate were produced in addition to the control mortar produced by only cement. Moreover, the mortar specimens using the replacement ratio of 4% titanium dioxide ($TiO_2$) by weight of cement in the same mixture proportions were produced. The prismatic specimens produced from eleven different mixtures were de-moulded after a day, and the wet or dry cure was applied on the produced specimens at laboratory condition until the specimens were used for flexural strength ($f_{fs}$) and compressive strength ($f_c$) measurement at the ages of 7, 28 and 56 days. The $f_{fs}$ and $f_c$ values of mortars applied the wet or dry cure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control mortar.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f_c$ results of the alkali activated 50% SF mortars were higher than that of mortar produced with Portland cement only. It was found that the $f_{fs}$ and $f_c$ of alkali-activated SF mortars cured in dry condition was averagely 4% lower than that of alkali-activated SF mortars cured in wet condition.

무(無)시멘트 알칼리 활성(活性) 모르타르의 수축(收縮) 및 내구성(耐久性) 평가(評價) (Evaluation on the Shrinkage and Durability of Cementless Alkali-Activated Mortar)

  • 고경택;류금성;이장화;강현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0권3호
    • /
    • pp.40-4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시멘트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결합재로서 고로슬래그를 단독으로 사용한 배합과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쉬를 혼합한 배합의 강도, 수축 및 내구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리고 비교를 위해 보통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한 일반 모르타르에 대해서도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 활성 모르타르는 일반 시멘트 모르타르에 비해 강도발현, 수축 및 동결융해 저항성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쉬를 혼합사용한 경우에는 압축강도 60 MPa 이상 달성이 가능하고, 일반 시멘트 모르타르에 비하여 수축량은 40% 정도 감소하고 동결융해 저항성은 20% 정도 향상되나, 탄산화 속도는 2~3배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칼리 활성화 슬래그 시멘트 모르타르의 내황산성 (Resistance of Alkali Activated Slag Cement Mortar to Sulfuric Acid Attack)

  • 민경산;이승헌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633-638
    • /
    • 2007
  • The setting time of alkali activated slag cement tends to be much faster than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its compressive strength had been higher from the 1 day but became lower than that of the cement on the 28 day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face observation, weight loss, compressed strength, and erosion depth tests on the sulphuric acid solution. It has been drawn that alkali activated slag cement has a higher sulphate resistance than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in particular, the alkali activated slag cement added 5 wt% alumina cement has little deterioration on the sulphuric acid solution. The reason why the alkali activated slag cement has higher sulphate resistance than other hardened cement pastes is that it has no $Ca(OH)_2$ reactive to sulphate ion, and there is little $CaSO_4{\cdot}2H_2O$ production causing volume expansion, unlike other pastes. And it is supposed that $Al(OH)_3$ hydrates with high sulphate resistance, which is produced by adding the alumina cement increases the sulfate resistance.

자극제의 종류에 따른 알칼리 활성화 슬래그 모르타르의 기초 특성 (Fundamental Properties of Alkali Activated Slag Mortar with Different Activator Type)

  • 안양진;문경주;소승영;소양섭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89-79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ion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alkali activated slag of type and concentration of alkali activator. In this paper sodium silicate, sodium carbonate and sodium hydroxide were used as alkaline activator and their concentration were 1, 3, 5 and 7 $Na_2O$ weight percent. The physical properties of alkali activated blast furnace slag cement mortar (AAS) were investigated by flow test and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hydration properties of AAS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Result show that Alkali activated slag mortar strengths were continuously increased with adding amount and ages. C-S-H were formed to be the main products up to 28days of hydration.

  • PDF

산업부산물을 사용한 알칼리 활성 무시멘트 모르타르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Alkali-activated cement free Mortar using Industrial by-products)

  • 권용훈;권영호;이동규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58-66
    • /
    • 2013
  •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를 적용하였던 선행 연구들과 차별하여 시멘트 킬른 더스트, 실리카퓸, 규사미분말 등의 기타 산업부산물을 사용한 알칼리 활성 무시멘트 모르타르의 품질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SF 치환의 경우 Plain에 비해 유동성이 저하되었으나 강도발현에는 우수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CKD와 SP의 사용량 증가에 따라 각각 유동성 및 압축강도가 증가하였다. 유동성 증진 및 초기강도 향상에 각 결합재의 고유입도분포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데, 이는 입자사이즈가 큰 BS 및 FA 입자사이에 입자가 작은 CKD, SF 및 SP가 공극을 충진하여 연속입도곡선을 형성하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BS 기반 조기강도 증진용 알칼리 활성 모르타르의 초기강도 향상 및 유동성 개선을 위해서는 고유의 입도분포를 가진 기타 결합재를 치환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알칼리활성화 슬래그-레드머드 시멘트 모르타르의 흡수계수가 백화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isture Absorption Coefficient of Alkali-Activated Slag-Red Mud Cement on Efflorescence)

  • 강혜주;김병기;김재환;강석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30-131
    • /
    • 2016
  • In this study, moisture absorption coefficient and efflorescence properties of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lkali-activated slag cement mortar were assessed according to their red mud substitution ratio. Tes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cause of efflorescence, which is a significant obstacle to the recycling of red mud as a sodium activator in alkali-activated slag cement, and to find a method to control efflorescence.

  • PDF

레드머드 대체율에 따른 폴리머 혼입 알칼리활성화 슬래그-레드머드 시멘트모르타르의 강도 및 기공특성 (Strength and Pore Characteristics of Alkali-activated Slag-Red Mud Cement Mortar used Polymer According to Red Mud Content)

  • 권성준;강석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6-33
    • /
    • 2016
  • 알칼리활성화 슬래그-레드머드 시멘트는 알칼리활성화 시멘트 연구의 일환으로서 시멘트 조성에서 알칼리자극제, 고로슬래그와 레드머드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포틀랜트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 클링커 프리 시멘트(Clinker Free Cement)를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포틀랜트 시멘트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고분자 유기화합물인 재유화형 분말 폴리머를 혼입한 알칼리활성화 슬래그 시멘트에 레드머드의 대체율을 달리하여 강도특성, 기공특성 등을 기존 포틀랜트 시멘트와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활성화 시멘트에 레드머드를 대체할 경우 C-S-H 광물상과 에트린가이트가 주요 수화생성물로 포틀랜트 시멘트와 비교하여 조직이 치밀하고 대체율 10%까지는 압축강도 및 휨강도가 증가하였다.

도로포장 보수재 활용 가능성 평가를 위한 알칼리 활성 시멘트 모르타르 기초연구 (Fundamental Study of Alkali Activated Cement Mortar for Evaluating Applicability of Partial-Depth Repair)

  • 전성일;안지환;권수안;윤경구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8
    • /
    • 2013
  • PURPOSES :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using the alkali activated cement concrete for application of partial-depth repair in pavement. METHODS : This study analyze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alkali activated cement mortar based on the changes in the amount/type/composition of binder(portland cement, fly ash, slag) and activator(NaOH, $Na_2SiO_3$, $Na_2CO_3$, $Na_2SO_4$). The mixture design is divided in case I of adding one kind-activator and case II of adding two kind-activators. RESULTS : The results of case I show that $Na_2SO_4$ based mixture has superior the long-term strength when compared to other mixtures, and that $Na_2CO_3$ based mixture has superior the early strength when compared to other mixtures. But the mixtures of case I is difficult to apply in the material for early-opening-to-traffic, because the strength of all mixtures isn't meet the criterion of traffic-opening. The results of case II show that NaOH-$Na_2SiO_3$ based mixtures has superior the early/long-term strength when compared to NaOH-$Na_2SiO_3$ based mixtures. In particular, the NaOH-$Na_2SiO_3$ based some mixtures turned out to pass the reference strength(1-day) of 21MPa as required for traffic-opening. CONCLUSIONS : With thes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NaOH-$Na_2SiO_3$ based mixtures can be used as the material of pavement repair.

고로슬래그 알칼리 활성 모르타르의 유동성 및 압축강도 평가 (Evaluation of the Flowa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of Alkali-Activated Blast Slag Mortar)

  • 류금성;강현진;고경택;이장화;강수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613-616
    • /
    • 2008
  • 최근 결합재로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은 알칼리 활성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알칼리 활성 콘크리트는 시멘트 대신에 실리콘(Si)과 알루미늄(Al)이 풍부한 플라이애시와 고로슬래그등을 사용하여 알칼리 용액으로 활성화시킨 시멘트 ZERO 콘크리트로서 CO$_2$ 가스를 저감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결합재로서 고로슬래그를 100% 사용한 알칼리 활성 콘크리트를 개발할 목적으로 감수제, 알칼리 활성화제 및 양생조건이 모르타르의 시공성 및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NaOH의 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동성은 저하되나, 9M까지는 유동성 저하가 크지 않고, 대부분의 감수제는 유동성 향상에 기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압축강도는 NaOH의 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나, 9M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생온도 및 양생조건은 고로슬래그 알칼리 활성 모르타르의 강도에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