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kali metal salt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1초

사용후핵연료 전기환원 공정에서의 알카리, 알카리토 금속 산화물들의 거동 분석 (Analysis of AM and AEM Oxides Behavior in a SF Electrolytic Reduction Process)

  • 박병흥;강대승;서중석;박성원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4년도 학술논문집
    • /
    • pp.268-277
    • /
    • 2004
  • 사용후핵연료 차세대 관리공정의 주된 단위 공정인 전기 환원에 의한 금속 전환 공정에서의 핵종 거동 및 분포에 관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고방열성 핵종인 알카리, 알카리토 금속 산화물들의 고온 용융염에서의 전기 화학적 특성을 측정 분석함으로서 전기 환원 공정에서의 거동을 예상하였다. LiCl-$Li_2O$ 용융염계에서 Cs, Sr 및 Ba은 Li 보다 높은 진위에서 환원되며 환원 전위는 서로 근접해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후핵연료의 전기 환원 과정에 Li 환원을 매개로 한 반응 메카니즘에 저해를 일으키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알카리, 알카리토 금속의 환원조건에서 공정이 운전될 경우 자유에너지 변화의 계산을 통해 알자리, 알카리토 금속이 용융염으로 재순환됨을 확인 하였으며 전류 범위에 따른 금속 원소의 농도 변화를 측정하여 알카리, 알카리토 금속의 물질 전달에 대한 전류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 PDF

황에 저항성을 가지는 수성가스 전환반응 촉매의 연구 II. CoMo 촉매의 활성에 미치는 알칼리 금속염의 영향 (A Study on the Sulfur-Resistant Catalysts for Water Gas Shift Reaction II. Effect of Alkali Metal Salt on the Activity of CoMo Catalyst)

  • 김준희;이호인
    • 대한화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96-702
    • /
    • 1998
  • 황피독에 저항성을 가지는 수성가스 전환반응용 CoMo 계열 촉매에 알칼리금속염 첨가가 반응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알칼리금속염의 음이온과 양이온의 각각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크게 두 경우로 나누어 촉매를 제조하였다. 그 하나는, 양이온을 K로 고정시키고 음이온을 변형시킨 경우로서, 반응활성의 변화는 BET 표면적의 변화로 설명되었다. 다른 한 경우는, 음이온을 $NO_3^-$로 고정시키고 알칼리금속 이온을 변형시킨 경우로서, Li가 첨가된 촉매의 활성이 가장 뛰어났으며 다른 양이온의 경우에는 서로 비슷한 낮은 활성을 보였다. 알칼리금속의 첨가량의 변화에 따른 BET 표면적의 변화와 반응활성의 변화가 같은 경향을 보였다. 알칼리금속염의 양이온을 변화시킨 경우에는 BET 표면적과 정8면체 배위구조 속의 $Mo^{6+}$에 대한 정4면체 배위구조 속의 $Mo^{6+}$의 비, 즉 $Mo^6+[T]/Mo^{6+}[O]$ 값의 복합적인 관계를 통해 반응활성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었다.

  • PDF

Syntheses and Thermal Behaviors of Rb(FOX-7)·H2O and Cs(FOX-7)·H2O

  • Luo, Jinan;Xu, Kangzhen;Wang, Min;Song, Jirong;Ren, Xiaolei;Chen, Yongshun;Zhao, Fengq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10호
    • /
    • pp.2867-2872
    • /
    • 2010
  • Two new energetic organic alkali metal salts, 1,1-diamino-2,2-dinitroethylene rubidium salt [Rb(FOX-7)${\cdot}H_2O$] and 1,1-diamino-2,2-dinitroethylene cesium salt [Cs(FOX-7)${\cdot}H_2O$], were synthesized by reacting of 1,1-diamino-2,2-dinitroethylene (FOX-7) and rubidium chloride or cesium chloride in alkali methanol aqueous solution, respectively. The thermal behaviors of Rb(FOX-7)${\cdot}H_2O$ and Cs(FOX-7)${\cdot}H_2O$ were studied with DSC and TG methods. The critical temperatures of thermal explosion of the two compounds are 216.22 and $223.73^{\circ}C$, respectively. Specific heat capacities of the two compounds were determined with a micro-DSC method, and the molar heat capacities are 217.46 and $199.47\;J\;mol^{-1}\;K^{-1}$ at 298.15 K, respectively. The adiabatic times-to-explosion were also calculated to be a certain value of 5.81 - 6.36 s for Rb(FOX-7)${\cdot}H_2O$, and 9.92 - 10.54 s for Cs(FOX-7)${\cdot}H_2O$. After FOX-7 becoming alkali metal salts,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s of the compounds heighten with the rise of element period, but thermal decomposition processes become intense.

Employing high-temperature gas flux in a residual salt separation technique for pyroprocessing

  • Kim, Sung-Wook;Heo, Dong Hyeon;Kang, Hyun Woo;Hong, Sun-Seok;Lee, Sang-Kwon;Jeon, Min Ku;Hur, Jin-Mok;Choi, Eun-You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1권7호
    • /
    • pp.1866-1870
    • /
    • 2019
  • Residual salt separation is an essential step in pyroprocessing because its reaction products, as prepared by electrochemical unit processes, contain frozen residual electrolyte species, which are generally composed of alkali-metal chloride salts (e.g., LiCl, KCl). In this study, a simple technique that utilizes high-temperature gas flux as a driving force to melt and push out the residual salt in the reaction products was developed. This technique is simple as it only requires the use of a heating gun in combination with a gas injection system. Consequently, $LiNO_3-ZrO_2$ and $LiCl-ZrO_2$ mixtures were successfully separated by the high-temperature gas injection (separation efficiency > 93%), thereby demonstrating the viability of this simple technique for residual salt separation.

새로운 트리아자크라운 이온교환체의 합성과 그의 이온교환 특성 (Synthesis of New Triazacrown Ion Exchanger and Its Ion Exchange Characteristics)

  • 김동원;정용순;김창석;최기영;이용일;홍춘표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71-378
    • /
    • 1995
  • 트리아자크라운 화합물, 1,7-dioxa-4,10,13-triazacyclopentadecane trihydrobromide $salt(Na_3O_2-3HBr)$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이 화합물을 Merrifield peptide resin에 결합시켜 새로운 이온교환체를 만들었다. 이 새로운 이온교환체의 이온교환용량은 3.2 meq/g이었다. 그리고 이 이온교환체에 대한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 이온들의 분포계수를, 여러 농도의 염산 용액 중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여러 염산 농도하에서의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 이온들의 이온교환작용을 논의하였다.

  • PDF

Effect of Alkali Metal Nitrates on the Ru/C-catalyzed Ring Hydrogenation of m-Xylylenediamine to 1,3-Cyclohexanebis(methylamine)

  • Kim, Young Jin;Lee, Jae Hyeok;Widyaya, Vania Tanda;Kim, Hoon Sik;Lee, Hyunjo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4호
    • /
    • pp.1117-1120
    • /
    • 2014
  • Ru/C-catalyzed hydrogenation of m-xylylene diamine into 1,3-cyclohexanebis(methylamine) was greatly accelerated by the presence of $LiNO_3$, $NaNO_2$, or $NaNO_3$.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the nitrate salt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size of cation. The promoting effect of the nitrate salt increased with the decrease of the cation size: $LiNO_3$ ~ $NaNO_2$ > $KNO_3$ > $CsNO_3$ >> [1-butyl-3-methylimidazolium]$NO_3$. XRD analysis of the recovered catalysts after the hydrogenation reactions showed that $LiNO_3$ and $NaNO_2$ were completely transformed into LiOH and NaOH, respectively, along with the evolution of $NH_3$, while $KNO_3$ and $CsNO_3$ remained unchanged.

AM, AEM 산화물들의 용융 LiC1에서의 분리 물성 측정 (Measurements of Separation Properties of AM, ARM Oxidesin Molten LiC1)

  • 오승철;박병흥;강대승;서중석;박성원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논문집
    • /
    • pp.363-367
    • /
    • 2003
  • 우라늄 산화물의 금속전환을 위해 고온 용융염 중에서 전기화학적 환원공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공정은 우라늄 산화물뿐만 아니라 다른 악틴족 원소 산화물 및 일부 희토류원소 산화물 역시 금속으로 환원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금속산화물들은 독창적으로 고안된 일체형 음극 및 불활성 양극을 이용하여 금속으로 환원되며, 음극에서 발생된 산소 이온은 양극으로 전달되어 산화됨으로서 산소기체를 발생시킨다. 용융염 중에서 알칼리 및 알칼리토류 산화물에 대한 전기화학적 거동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후행핵연료주기의 단위공정으로서 개발중에 있다. 사용후핵연료의 열 부하는 주로 세슘 및 스트론슘에 의한 것으로, LiC1 용융염 중에서 세슘, 스트론슘 및 바륨 산화물에 대한 용해 속도 및 환원전위를 고찰하였다.

  • PDF

Theoretical Studies on MXO4 (M=Li, Na, K and X=F, Cl, Br, I) Salt Ion Pairs

  • Rashid, Mohammad Harun Or;Ghosh, Manik Kumer;Choi, Cheol-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8호
    • /
    • pp.2215-2218
    • /
    • 2010
  • The series of alkali metal perhalogenates, $MXO_4$ (M=Li, Na, K and X=F, Cl, Br, I) were theoretically studied with the help of MP2 methods. Bidentate as well as tridentate structures were found to be stable minima. The bidentate structures are becoming preferred as the size of halogen increases and as the size of metal decreases. Geometrically, the M-O and M-X distances of both bidentate and tridentate structures, increase with the size of metal. Generally, the M-$O_1$ distances of tridentate forms are longer than the corresponding distances of bidentate forms, while the M-X distances of tridentate forms show the opposite trend. Similarly, the X-O bonds increase with the size of halogens except $MXO_4$ pairs, where the X-O bonds are unusually long due to the enhanced oxygen-oxygen repulsions. In short, the relative energetics as well as the geometrical parameters are found to be strongly dependent on halogen and metal el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