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ino acid solution

검색결과 343건 처리시간 0.032초

당질과 아미노산이 Ascorbic Acid 의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 (Stability of Ascorbic Acid in the Solutions of Sugars and Amino Acids)

  • 황희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5권1호
    • /
    • pp.22-29
    • /
    • 1982
  • As sugar and amino acid were added to the ascorbic acid solution the content of ascorbic acid was quantitatively determined by 2, 4-dinitrophenyl hydrazine method. The residual ascorbic acid was shown to increase slightly when sorbose, rhamnose or mannose was added to the ascorbic acid solution whereas residual ascorbic acid was shown to decrease in time to the addition of other sugars. The effects of amino acid to the ascorbic acid solution were found that monoamino-mono, or dicarboxylic acids and aromatic amino acids increased the residual ascorbic acidity whereas diamino-monocarboxylic acids and sulfur containing amino acids decreased the residual ascorbic acidity.

  • PDF

고영양수액요법에 빈용되는 아미노산수액제와 포도당액의 혼합시 안정성에 관한 연구 (The Stability of TPN Admixture of Amino acids Solution and Dextrose Solution)

  • 송미경;서옥경;이숙향;이승우;신현택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47-158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stability of TPN basic solutions containing amino acids and dextrose. Test solutions containing $4.25\%$ amino acids in $25\%$ dextrose (central TPN basic solution) or $4.25\%$ amino acids in $10\%$ dextrose (peripheral TPN basic solution) were prepared. Two different amino acids solutions $(Fravasol^{(R)}\;vs\;Freamine^{(R)})$ were tested. The samples were taken from each admixture and stored in the evacuated, sterile containers at $2{\sim}8^{\circ}C$ and ambient room temperature. Each sample was analyzed at 0, 3, 7, 14 and 30 days of storage. Each amino acid was analyzed by amino acid analyzer. Dextrose content was measured by polarimeter. The pH and chromagen formation were also monitored. The decomposition was measured by the changes in concentration of amino acids and dextroser TPN basic $solution-Freamine^{(R)}$ admixture stored at $2\sim8^{\circ}C$ were stable for 30 days. Central and peripheral TPN basic solutions stored at room temperature were stable for 7 days and 14 days, respectively. There were no changes in color for 30 days by naked eye. Amino acid concentrations in TPN basic $solution-Fravasol^{(R)}$ admixture stored at $2\sim8^{\circ}C$ or room temperature were stable for 30 days. But, significant color change was detected according to passing time. In conclusion, Peripheral TPN basic $solution-Fravasol^{(R)}$ admixture stored at room temperature and in refrigerator were stable for 3 days and 7 days, respectively. However, central TPN basic solution-Fravasol admixtures were unstable.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it should be admixed right before use.

  • PDF

종합 아미노산수액 투여에 의한 Nitrogen balance의 임상적 검토 (Nitrogen Sparing Effect of Intravenous Amino Acid Solutions)

  • 박찬웅;임정규;이장규;이진오;박귀원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7-73
    • /
    • 1977
  • The nitrogen sparing effect of intravenous 3% amino acid solution was compared with 5% dextrose solution in 30 patients who were undergoing surgical operations or radiation therapy. Infusion of 3% amino acid solution or 5% dextrose solution was given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operations or irradiation and continued for 6 days. Infusion of solutions through peripheral vein was well tolerated and not experienced any specific hematologic or blood chemistry change in all patients subjected throughout the experiment. The patients received 3% amino acid solution showed low blood glucose and insulin level, but significantly high blood urea nitrogen and ketone body. In patients receiving amino acids, as compared with those receiving dextrose, mean cumulative six day nitrogen losses were significantly lower($63.95{\pm}2.12$ Gm and $79.12{\pm}2.43Gm$ respectively). The nitrogen sparing effect of amino acids is probably due to decreased glucose and insulin levels allowing greater endogenous fat mobilization.

  • PDF

전기투석법을 이용한 아미노산으로부터 전해질 분리정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paration of Electrolyte from Amino Acid Solution through Electrodialysis)

  • 김석곤;한정우;김한성;전경용;조영일
    • 멤브레인
    • /
    • 제4권3호
    • /
    • pp.163-170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전기투석법을 이용하여 아미노산 수용액중에 존재하는 전해질인 무기염의 분리 정제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생물 분리기술로서 아미노산의 등전위점을 이용한 전기투석법의 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음이온교환막, NEOSEPTA AM1(Tokuyama Soda Co. Ltd., Japan)과 양이온교환막 CM1 (Tokuyama Soda Co. Ltd., Japan)막을 사용한 전기투석조를 설계하였고 아미노산 발효공정과 유사한 계를 만들어서 무기염인 NaCl의 분리실험을 하였다. 즉, 운전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pH에 따른 아미노산의 누설량, 한계전류 밀도를 측정한 후, 이를 바탕으로 회분식과 연속식 실험으로 염의 제거량과 아미노산의 누설량을 정량적으로 고찰하고 전류효율을 구하였다. 회분식 장치에서 아미노산 수용액별로 11시간동안 운전한 결과 NaCl의 제거효율은 96.1~96.2%이었고, 아미노산의 누설율은 glycine의 경우 2.5%, methionine의 경우 1.7%, alanine의 겨우 2.0%이었으며, 전류효율은 44.5~44.6% 범위이었다. 연속식 장치에서는 아미노산 수용액별로 dilution rate을 1.0~3.9$h^{-1}$로 변화시켜 실험한 결과, 120~150분 사이에 정상상태에 도달하였고, 유속이 작을수록 염의 제거 효율은 증가하였으나 전류효율은 감소하였다. 이때 아미노산의 누설은 거의 없었다.

  • PDF

키토산과 글루탐산의 병용처리에 따른 발아현미 중의 수용성 단백질 및 유리 아미노산 함량변화 (Changes in the levels of Water Soluble protein and flee Amino Acids in Brown Rice Germinated in a Chitosan/Glutamic Acid Solution)

  • 오석흥;이인태;박기범;김병주
    • KSBB Journal
    • /
    • 제17권6호
    • /
    • pp.515-519
    • /
    • 2002
  • 발아현미를 생산하기 위하여 현미를 물에 침지, 키토산을 젖산에 용해하여 침지, 키토산을 글루탐산에 용해하여 침지 하였으며, 발아시키지 않은 현미와 아미노산 및 총 단백질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키토산을 50 ppm 되게 5 mM glutamic acid에 용해하여 침지액으로 사용한 경우 가장 높은 alanine, serine, lysine, isoleucine, methionine 함량의 증진과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의 증진을 보였다. 또한 total soluble protein의 함량은 발아하지 않은 현미에 비하여 발아한 현미가 모두 낮았다. 특히 CG구는 물발아나 CL 발아시 현저히 감소되던 serine의 함량을 오히려 증진시겼다. 모든 발아구에서 aspartic acid 함량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는 발아 과정에 의해 aspartic acid가 alanine, lysine, isoleucine, methionine 등으로 전환된 것에 기인된 것이라 여겨진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현미발아시 키토산을 글루탐산에 용해하여 침지액으로 사용하면 유용한 아미노산인 alanine, serine 및 필수아미노산인 lysine, isoleucine, methionine 함량을 현저히 증진시킬 수 있어 영양성이 보강된 발아현미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갈탄과 아미노산액 혼합제 시용이 벼, 배추와 고추의 생육 및 토양의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tures with Lignite and Amino Acid Solution on the Growth of Rice Plant, Chinese Cabbage and Red Pepper, and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 한성수;유기용;박민수;이영일;백승화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93-101
    • /
    • 2010
  • 갈탄과 아미노산액 혼합처리가 벼, 배추 및 고추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후 생육증진효과를 검토하여 친환경농산물 생산용자재로의 활용가능성을 구명하고, 갈탄과 아미노산액에 화학비료를 감량하여 혼합처리하여도 작물재배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토하며, 갈탄과 아미노산액 혼합처리 전후의 토양에 미치는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토양개량제로써의 활용가능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갈탄과 아미노산액 혼합처리한 구의 벼 생육은 화학비료 표준시비량 단용구보다 양호하였으며, 특히 갈탄과 아미노산액 150 kg/ha 처리구와 갈탄과 아미노산액 150 kg/ha 에 화학비료 표준시비량의 혼합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추와 고추의 생육은 갈탄과 아미노산액 600 kg/ha 처리구와 갈탄과 아미노산액 600 kg/ha에 화학비료 표준시비량의 혼합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벼와 배추의 수량은 갈탄과 아미노산액 150kg/ha 처리구와 갈탄과 아미노산액 150 kg/ha 에 화학비료 표준시비량의 혼합처리구에서 양호하였고, 고추의 경우 갈탄과 아미노산액 600 kg/ha 처리구와 갈탄과 아미노산액 600 kg/ha에 화학비료 표준시비량의 혼합처리구에서 양호하였다. 논과 밭토양에 갈탄과 아미노산액과 화학비료감량 혼합처리구의 유기물함량은 전반적으로 높았고, EC는 낮았다. pH와 유효인산의 경우 밭토양에서는 약간 높아지는 경향이었고, 논토양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논과 밭토양에 갈탄과 아미노산액과 화학비료감량처리시 토양의 부분적인 화학적 특성, 특히 유기물함량을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과들이 연용처리하여 재배하였을 경우에도 유사한 결과를 초래할지에 대한 연구는 추후 면밀히 검토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글루탐산 용액 처리에 따른 발아현미 중의 감마-아미노낙산 및 일부 아미노산 함량변화 (Changes in the Levels of $\gamma$-Aminobutyric Acid and Some Amino Acids by Application of a Glutamic Acid Solution for the Germination of Brown Rices)

  • 오석흥;김수화;문연정;최원규
    • KSBB Journal
    • /
    • 제17권1호
    • /
    • pp.49-53
    • /
    • 2002
  • GABA가 고함유된 발아현미를 생산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고자 현미발아시 통상적인 물발아구 외에 젖산발아구, glutamic acid발아구로 나누어 발아 이전의 현미와 GABA 및 일부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비교분석하였다. 5 mM glutamic acid 용액을 발아에 사용한 경우 가장 높은 GABA 함량 증진을 보여 시료 g당 및 시료 추출물 중의 단백질 mg당 증가정도가 발아하지 않은 현미에 비해 각각 8배와 12배로 나타났다. 또한 glutamic acid 발아구는 물발아나 젖산발아시 현저히 감소되던 serine의 함량을 오히려 증진시켰다. 모든 발아구에서 GABA 및 alanine 함량이 증진된 것과 는 반대로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 함량은 현저히 감소 하였다. 이는 발아 과정에 의해 glutamic acid는 GABA로 aspartic acid는 alanine으로 전환된 것에 기인된 것이라 여겨진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현미발아시 glutamic acid액을 사용하면 기능성 물질인 GABA 함량을 현저히 증진시키며, serine의 감소를 막을 수 있어 기능성이 보강된 발아현미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accharide Effect on the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of Poly(organophosphazenes) with Methoxy-poly(ethylene glycol) and Amino Acid Esters as Side Groups

  • Lee, Sang-Beom;Sohn, Youn-Soo;Song, Soo-Cha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4권7호
    • /
    • pp.901-905
    • /
    • 2003
  • The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LCST) of thermosensitive poly(organophosphazenes) with methoxypoly(ethylene glycol) (MPEG) and amino acid esters as side groups was studied as a function of saccharide concentration in aqueous solutions of mono-, di-, and polysaccharides. Most of the saccharides decreased the LCST of the polymers, and the LCST decrease was more prominently observed by saccharides containing a galactose ring, such as D-galactose, D-galactosamine and D-lactose, and also the polysacccharide, 1-6-linked D-dextran effectively decreased the LCST of the polymers. Such an effect was discussed in terms of intramolecular hydrogen bonding of saccharides in polymer aqueous solution. The saccharide effect was found to be almost independent on the kinds of the amino acid esters and MPEG length of the polymers. Such a result implies that the polymer-saccharide interaction in aqueous solution is clearly influenced by the structure of sacchardes rather than by that of the polymers. The acid saccharides such as D-glucuronic and D-lactobionic acid increased the LCST, which seems to be due to their pH effect.

아미노산액 처리에 의한 인산가용화균주의 생육 및 가용화 효과 (Effect of Amino Acid Solution for Cell Growth and MPS Activity of Mineral Phosphate Microorganisms.)

  • 이진우;정연주;최시림;김재훈;유주순;김영길;최용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90-495
    • /
    • 2004
  • 인산가용화능이 우수한 균주인 Burkholderia sp. DA23과 Klebsiella sp. DA7l-1 두 균주를 사용하여 농도별 아미노산 첨가에 따른 성장 양상과 유리인산 방출량을 조사한 결과, 두 균주의 생육과 인산가용화에 있어 아미노산이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DA23과 DA7l-1 모두 0.05%와 0.1%의 아미노산을 SM배지에 첨가하여 성장 양상을 확인한 결과 아미노산을 첨가한 배지의 균주가 아미노산을 처리하지 않은 배지의 균주에 비해 높은 세포 밀도 성장을 보여주었다. 인산가용화 균주의 아미노산 첨가의 경우 무처리보다 높은 pH 저하를 보였으며, 또한 아미노산 첨가가 아미노산 무처리구에 비해 2배이상 높은 인산가용화 효과를 보였다. DA7l-1의 아미노산 첨가의 경우는 DA23의 아미노산 첨가보다 아미노산 첨가에 의한 인산가용화 효과가 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ydroxyapatite와 tri-calcium phosphate 의 인산염 차이에 따른 아미노산 처리 효과는 없었으며, 0.05%의 미량의 농도에서도 인산가용화로의 세포밀도 성장 및 가용화능에 효과를 나타내었다.

배양액과 인공광 처리가 수경재배 보리의 성장과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ent solution and artificial light on the growth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ydroponically cultivated barley)

  • 김주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77-85
    • /
    • 2021
  • 수경재배는 토양 없이 물로만 재배 가능하며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아 기존에 토양을 이용해 재배하는 것에 비해 많은 이점을 지니고 있다. 여기에 물 대신 배양액을 추가한다면 생육을 더욱 앞당길 수 있다. 본 연구는 배양액과 인공광 처리에 따른 새싹보리의 성장과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배양 기간이 지남에 따라 식물체의 길이는 커졌으며 LED 처리구의 배양액 투입구에서 생장이 빨랐다. 생체량 및 건조량은 형광등 처리구가 LED 처리구보다 더 무거웠다. 새싹보리 분말의 색상은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L값은 50.79~53.77, a 값은 -6.70 ~ -4.42, b 값은 13.35 ~ 14.76이었으며 L값과 b 값은 LED 처리구가 높았으나 a 값은 형광등 처리구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총페놀 함량은 두 처리구에서 대조구가 배양액 투입구보다 높았으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총페놀과는 반대 현상을 보였다. TEAC의 경우 대조구의 항산화능력이 배양액 투입구보다 높았으며 FRAP의 경우 형광등 처리구가 LED 처리구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106.82 ~ 122.63 mg/g dry powder였으며,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47.01 ~ 56.19 mg/g dry powder였고 비필수아미노산은 67.86 ~ 77.66 mg/g dry powder 범위였다. 구성아미노산 중 가장 많이 검출된 것은 Asp이며, Glu, Ala, Leu, Val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