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ysis teaching practicum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7초

실습일지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및 보육실습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the Conten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Shown in Practice Teaching Journals)

  • 이미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227-24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through the analysis of practice teaching journa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52 practice teaching journals of 26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completed their practicum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This study analyzed the type of teaching practice management, the type of activities, and the contents of journal writing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a similar ratio of the type of teaching practice management in both types of teaching practice. Second, pre-service teachers performed more group activities in practicum in kindergartens, but more choice activities in practicum in child care centers. Third, the journal writing contents of pre-service teachers in both types of teaching practice mainly addressed the operating of educational and child care activities, and the execution of observing young children. But some categories of teacher's competency were hardly addres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designing early childhood practicum programs.

예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관련변인 간의 관계 구조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Its Related Variables)

  • 신고운;김정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1-160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related to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08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child studies. The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were the SPSS 19.0 and AMOS 20.0. And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was used to model fit.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Results: First,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were found to affect their teaching efficacy directly. Also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was found to affect their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directl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s theoretically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at high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can be the main factors that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은유 분석을 통해 본 실습 전 예비유아교사의 실습 전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 (Percep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fore Practicum on Teaching Practicum through Metaphor Analysis)

  • 정혜영;김미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5-44
    • /
    • 2015
  • 본 연구는 은유를 활용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러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통해 학교현장실습에 관한 실천적 시사점을 얻어 보다 적합한 학교현장실습 기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장실습에 관한 실천적 시사점을 얻어 보다 적합한 학교현장실습 기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이며 학교현장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1, 2학년 예비유아교사 12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은유를 표현하는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학교현장실습에 대해 114개의 은유를 제시하였고, 이를 코드화하여 분류한 결과, 힘들지만 보람 있어요, 새로운 경험이에요, 힘들고 어려워요, 의미 있고 중요해요, 두렵고 걱정돼요, 많이 배워요, 꼭 거쳐야 해요, 노력해야 해요, 즐거워요, 평가 받아요, 기타의 11가지로 유목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현장실습이 예비유아교사에 어떤 의미인지 검토해 보고, 예비유아교사들이 학교현장실습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이를 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 실습 기간에 예비 과학교사가 작성한 웹기반 반성저널의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eb-based Reflective Journals Written During Teaching Practicum)

  • 차정호;최원수;노태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1호
    • /
    • pp.133-141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예비 과학교사들이 작성한 웹기반 반성저널을 분석하였다. 예비 과학교사들에게 4주간의 실습 기간 동안 매주 최소한 2개 이상의 반성저널을 웹 게시판에 작성하도록 안내하였다. 최종적으로 23명의 예비 과학교사가 작성한 307개의 웹기반 반성저널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주제 영역과 반성적 사고 수준을 분석하였다. 반성저널은 대부분 수업 준비나 자신의 수업에 대한 성찰과 같이 과학 수업 활동과 관련된 것들이었으며, 실습 진행에 따라 점차 빈도가 증가하였다. 과학 수업 활동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179개의 반성저널의 반성적 사고의 수준을 분석한 결과, 반성적 사고가 포함된 반성저널은 53개(29.6%)였는데, 상위 수준의 반성적 사고(전문적 반성과 비판적 반성)는 매우 적었지만, 상당수의 예비교사들이 웹기반 반성저널 쓰기 활동이 자신의 수업을 되돌아보고, 교육실습 활동의 기록을 남기는 데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 PDF

예비수학교사들의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 기반 교육실습 활동 경험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xperience on Design Thinking based Teaching Practicum)

  • 이지연;김훈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235-256
    • /
    • 2020
  • 본 연구는 예비수학교사의 교육실습 현장수행 역량을 높이기 위해,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를 활용한 대학수업과 학교 현장의 교육실습 연계형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참여한 예비수학교사들의 경험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9학년도 1학기 교육실습 대상자인 예비수학교사 8명이 참여한 대학 전공 수업에 디자인 사고 5단계 프로세스를 적용한 후, 참여자 집단 및 개별 면담 자료와 디자인 사고 활동 결과물 등 질적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수업에서의 디자인 사고 1~4단계를 통해 참여자들의 인식은, 초기에 공감 단계의 혼돈과 막연함에서 시작하였으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프로그램 활동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교육실습 중, 디자인 사고의 5번째 단계인 평가단계에서는, 참여 예비수학교사들이 이전단계에서 생성한 프로토타입의 적용성을 확인하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였다. 다만, 일부 현장의 허용적이지 않은 상황으로 인해 프로토타입의 적용에 어려움을 가진 사례도 있었다. 셋째, 교육실습 후, 대학수업에서의 평가 및 성찰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디자인 사고 활동의 필요성에 긍정적으로 공감하였다. 끝으로, 대학수업과 학교현장의 교육실습 간 융통성 있는 연결을 위해 두 영역의 긴밀한 연계가 전제될 필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예비보육교사들의 실습경험에 대한 이야기 -보육교사교육원을 중심으로- (The Storie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s : Focusing o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Training Centers)

  • 임경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750-761
    • /
    • 2016
  • 본 연구는 보육실습을 마친 3급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실습에 대한 경험과 경험이 남긴 의미를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3급 보육교사들의 효율적인 보육실습지도 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경기소재 P 보육교사교육원과 S 보육교사교육원에서 교육받고 있는 16명을 대상으로 개인 면담을 실시한 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실습은 실습기관 선정의 어려움, 실습준비 부족, 교육과정과 현장의 연계 불일치, 실습의 스트레스, 영유아 지도의 어려움, 현장의 현실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육실습의 경험이 남긴 의미는 보육교사로서 자신의 진로 결정 및 가치관을 정립하는데 영향을 끼쳤으며,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논의에서는 도출된 주제를 중심으로 보육실습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예비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수준 분석 (An Analysis of the Levels of Prospective Teachers' Comments o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 방정숙;선우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25-647
    • /
    • 2015
  • 예비교사가 수학 수업을 어떻게 이해하고 비평하는지는 수업전문성 개발의 기초가 되므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과정 중 현직교사의 시범 수업을 참관한 후 작성한 수업 비평을 토대로, 비평 수준 및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특히 비평에 포함된 수학 내용뿐만 아니라 주체, 견지, 근거, 대안을 토대로 비평 수준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이 유의미하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의 비평 수준은 1수준(소감형), 2수준(점검형), 3수준(분석형) 중 대부분 2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평 수준틀에 대한 중다회귀분석결과 비평 수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견지(見地)였다. 한편 예비교사들의 비평을 통하여 교육실습 과정에서의 수업 참관이 수학 수업과 관련된 신념과 교사로서의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및 교육실습과 관련하여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도모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4년제 간호대학(과) 아동간호학 실습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Evaluation of Clinical Practicum for Child Health Nursing)

  • 박은숙;탁영란;강경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5-14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study was to describe and evaluate the educational status regarding clinical practicum for child health nursing to facilitate student's clinical compliance for the bachelor's degree in Korea. Methods: The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and included data from 40 institutions among the 53 university nursing programs in Korea(75.5% response rate). Data were collected using mailed semi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content analysis was done. Results: Findings show that most institutions have common learning objectives for the clinical practicum; neonatal care, high risk infant care, hospitalized child care, and advanced nursing practice. The mode for theoretical credits in child health nursing was 5 to 6 and 3 to 4 credits for clinical practice. The practice settings were prepared to provide diverse experiences, including childcare centers, and community centers with various learning activities. Evaluation for learning outcomes included faculty and instructors. It was pointed out that updating evaluation based on student and faculty feedback is important for a comprehensive practicum evaluation. Conclusions: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a generalized curriculum for clinical practicum and for the expanding role of advanced nursing practice-, a need for diverse clinical settings for practice, and effective guidance and learning activities. It is significantly noted that the attitude and teaching methodologies of clinical instructor's are highly important to effective clinical learning outcomes.

  • PDF

교육실습에서 과학수업의 관찰과 개선을 위한 KTOP (Korean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의 활용 (Application of the KTOP (Korean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 for Observing and Improving Science Teaching in Teaching Practicum)

  • 김수정;박종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61-97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KTOP (Korean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을 과학과 교육실습에 적용하여 예비교사들의 수업 개선을 위한 과정을 돕고자 하였다. 4명의 예비교사와 지도교사가 KTOP을 이용하여 수업을 관찰, 분석하고, 협의 과정을 통해 다음 수업을 개선하는 과정으로 교육실습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KTOP에 의한 수업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협의 활동을 하여 KTOP이 예비교사들의 수업 개선에 실제적인 안내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KTOP을 이용한 협의 활동이 다음 수업의 개선에도 도움을 주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보다 더 효과적인 수업 개선을 위해서는 더 많은 반복적인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도 추론할 수 있었다. 교육실습과정에 대한 관찰과 면담, 설문을 통해 KTOP이 보다 더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해, 교사는 KTOP 활용에 대한 확신을 갖고 학생 중심의 수업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고, KTOP의 항목수를 줄이고, KTOP의 양식을 좀 더 편리하게 수정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학생들에게 학습이란 자기 주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갖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것도 추론할 수 있었다.

간호대학 교수의 환자안전 교육역량 (Patient Safety Teaching Competency of Nursing Faculty)

  • 안신애;이남주;장해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720-730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tient safety teaching competency of nursing faculty and the extent of teaching patient safety topics in the nursing curriculum. Methods: A national survey was conducted with full-time nursing faculty in 4-year nursing schools. Regional quota sampling method was used. An online survey was sent to 1,028 nursing faculty and 207 of them were completed. Among the 207, we analyzed data from 184 participants. The revised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in Patient Safety Survey was us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 faculty's self-confidence was lower than their perceived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education. The mean score of teaching patient safety was $3.52{\pm}0.67$ out of 5, and the contents were mostly delivered through lectures. The extent of faculty's teaching varied depending on faculty's clinical career, teaching subjects, participation in practicum courses, and previous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education.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extent of teaching patient safety were the faculty's self-confidence in teaching patient safety (${\beta}=.39$) during clinical practicum, their perceived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education during lectures (${\beta}=.23$), and the teaching subject (${\beta}=.15$). Conclusion: To enhance the competency of nursing faculty for effective patient safety education, a patient safety education program tailored to faculty characteristics should be developed and continuously provided for facul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patient safety curriculum, strengthen clinical and school linkages, and utilize various education methods in patient safety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