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biogram typing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개의 임상재료로부터 분리된 포도상구균의 균종분포 및 항균제 감수성 (Species distribu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staphylococci isolated from canine clinical specimens)

  • 박청규;최성미;이영주;김기석;여상건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07-413
    • /
    • 2004
  • Specimens collected from various pyogenic lesions of dogs were culturally examined for staphylococci and all staphylococcal isolates obtained from the specimens were also tested for susceptibility to 14 antimicrobial agents. A total of 123 isolates of staphylococci were identified. Of these, 120 were Staphylococcus intermedius and 3 were S aureus. All isolates were susceptible to oxacillin, cefazolin, cephalothin and amikacin, whereas more than 85% of the isolates were resistant to ampicillin, penicillin G and tetracycline. S intermedius isolates could be divided into 8 different biotypes by biotyping with the most common type accounting for 66.7% of the isolates. One hundred and seventeen(97.5%) isolates could be also divided into 26 different antibiogram patterns. The predominant antibiogram type accounted for 34.2% of the isolates. Antibiogram typing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distinguishing epidemiologically related isolates of S intermedius.

Toxin Gene Typing, DNA Fingerprinting, and Antibiogram of Clostridium perfringens Isolated from Livestock Products

  • Lee, Seung-Bae;Choi, Suk-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94-401
    • /
    • 2006
  • Forty Clostridium perfringens isolates were obtained from twelve animal products, following the examination of eighty six beef, pork, broiler chicken and salami meat products, and eleven milk powder products. There were 21 isolates from salami stored at $25^{\circ}C$, 3 isolates from pork, 4 isolates from beef, 9 isolates from broiler chicken, and 3 isolates from milk powder. Only the cpa gene encoding a toxin among the 5 toxin genes tested (cpa, cpb, etx, iap, and cpe) was detected in all forty isolates, suggesting contamination with C. perfringens type A. DNA fingerprinting analysis using PCR of the tRNA intergenic spacer (tDNA-PCR) and the 16S-23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PCR), and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were attempted to differentiate the isolates. RAPD analysis was the most discriminating method among the three PCR analyses. Isolates from the same products tended to show similar RAPD patterns.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s showed that some isolates from broiler chickens had the same antibiogram with multiple resistance to streptomycin, colistin, and ciprofloxacin. Antibiograms were similar between isolates from the same livestock products, but differed considerably between the products.

임상가검물에서 분리한 Methicillin내성 Staphylococcus aureus의 분자역학적 연구 (Epidemiological Studies on the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Clinical Samples)

  • Yang-Hyo Oh;Min-Jung Kim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5-145
    • /
    • 1999
  • 임상가검물에서 생화학 검사와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통하여 45주의 Staphylococcu aureus를 분리하여 역학적 연구를 위한 형별 분류로써 항생제 감수성 검사, bacteriophage typing,효소중합 연쇄반응 등을 실시하였으며, methicillin 내성과 관련이 있는 mecA 유전자를 검출 및 역학적 변별력이 있는 가변지역의 중합효소증폭반응을 실시하여, 약제 내성과 관련된 구조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비교하여 특정 유전자 배열의 상동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45주의 Staphylococcus aureus중에서 mecA 유전자 양성주는 30주였으며, 그 중에서 26주가 methicillin에 내성을 보였다. 약제 내성양상에 따라 9개의 antibiogram으로 분류되었으며, SA6을 제외한 균주에서 penicillin, oxacillin, gentamicin 및 chloramphenicol 에서는 높은 내성을 보였으며, SAl3, SAl4 및 SA27에서는 rifampin에 내성을 보였다. 27주에서 bacteriophage 형별 분류가 가능하였으며, Iytic group III가 12주로 가장 많았다. mecA 유전자와 mec관련 가변부위의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실시한 결과 모든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에서는 533 bp의 증폭 band가 관찰되었으나, methicillin 감수성 균주에서는 증폭된 band가 관찰되지 않았다. mec관련 가변부위의 polymerase chain reaction에서는 200 bp에서 600 bp사이에 분포하여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410bp인 C형이 10균주로 가장 많았다. C형 가변부위의 DNA sequence에서 40 bp가 반복되는 dru sequence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dru sequence는 4 unit가 직접적으로 중복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Epidemiological Typing and Characterization of dfr Genes of Shigella sonnei Isolates in Korea During the Last Two Decades

  • Kim, Ki-Sung;Oh, Jae-Young;Jeong, Yong-Wook;Cho, Jae-We;Park, Jong-Chun;Cho, Dong-Tea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106-113
    • /
    • 2002
  • One-hundred and twenty-four trimethoprim-resistant Shigella sonnei isolates extracted in Korea during the last two decade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epidemiological relationship and mechanisms of resistance to trimethoprim. The S. sonnei isolates were distributed into two groups by three different epidemiological tools: biotyping, antibiogram, and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One group contained the isolates from the 1980s and the other group included the isolates from the 1990s. The geometric mean MICs of trimethoprim in S. sonnei isolates from the 1980s and 1990s were found to be $672.9{\mu}g/ml\;and\;>2,048{\mu}g/ml$, respectively. Trimethoprim resistance was associated with dfrA5, dfrA12, and dfrA13 genes in the isolates from the 1980s, dfrA1, dfrA5, and dfrA12 in the isolates from 1991, and dfrA1 and dfrA12 in the isolates from 1992 to 1999. The dfrA1 gene was located downstream of the intI2 gene in Tn7, which was located on chromosome. Some dfrA12 genes were found as gene cassettes in the class 1 integron. The dfrA5 and dfrA13 genes were located on conjugative plasmid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 clonal change occurred in S. sonnei isolates in Korea during the last two decades and that dfr genes located on different transposable genetic elements had gradually changed.

신생아 비강에서 분리된 황색포도구균의 병원성 인자와 관련 유전자 (Associated-Genes and Virulence Factors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Nasal Cavity of Neonates)

  • 김영부;문지영;박재홍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호
    • /
    • pp.24-32
    • /
    • 2003
  • 목 적 : 황색포도구균(S. aureus)은 건강인의 비강이나 피부에 정상 세균총으로 존재하지만, 병원 내 감염과 항생제 내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신생아의 비강에서 S. aureus을 분리하여 항생제 감수성의 양상과 내성 관련 유전자를 검출하여 내성의 정도와 내성 관련 유전자의 상관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으며, 병원성 인자의 검출을 실시하고, arbitrarily-primed polymerase chain reaction(AP-PCR)법에 의한 유전자형별을 통하여 역학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방 법 : 2001년 2월에서 5월 사이에 부산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실 및 신생아실에 입원한 28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비강에서 총 120회의 nasal swab을 실시하여 51주의 S. aureus를 분리하였다. 분리균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검사, coagulase 검사과형별, plasmid DNA의 양상, mec 관련 유전자의 분포, 장독소의 유전자 및 TSST-1 독소의 유전자 보유 상태, AP-PCR법으로 유전자 형별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 Methicillin 내성이 23주, vancomycin 내성이 6주였고, 3가지 이상의 약제에 대한 내성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2) 42주가 coagulase 양성이었고, 이중 mecA 및 femA 유전 자를 보유한 12주를 대상으로 한 형별 검사에서 8종(coagulase I-VIII형)으로 분류되었다. 3) mecA 유전자가 22주에서, mecR1 유전자가 18주, mecI 유전자가 1주, femA 유전자가 17주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들을 4가지의 유전자형으로 분류하였을 때 mecA형이 14주, mecR1형 10주, mecA-mecR1형 7주, mecA-mecR1-mecI형이 1주였다. mecA 및 mecA 관련 유전자와 항생제 다제내성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4) 16주가 mecA와 femA를 모두 보유하였으며, 이들의 plasmid 양상은 I형이 7주, II형이 6주 그리고 III형이 2주였다. Oxacillin 및 vancomycin에 내성을 보이는 II형과 III형에서는 35.5kb의 plasmid DNA를 보유하였다. 5) 장독소 A, B, D, 및 E의 유전자는 51주 전부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장독소 C의 유전자는 64.7%, TSST-1 유전자는 80.4%가 양성이었다. 6) Coagulase 양성이며 mecA 및 femA 유전자를 보유한 MRSA 12균주에 대한 유전자 형별 검사에서 I형에서 X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II형 2주, X형 2주가 동일 유전자형이었고, 나머지는 다른 유전자형이었다. 결 론 : 입원 중인 신생아의 비강 내 S. aureus의 상재률이 아주 높았으며, 이들의 항생제 내성률, 특히 vancomycin의 내성률이 높아 이들에 의한 원내 감염에 대한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며, 이들의 병원성 인자 및 관련 유전자에 대한 분석은 원내 감염에 대한 적절한 대책과 효과적인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