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arel purchase behavior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6초

의류제품유형과 상황에 따른 점포혼합애고 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ore Patronage Mix Behavior According to Various Clothing Items and Situations)

  • 박재옥;신정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1037-104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consumer's store patronage mix behavior among different types of apparel stores according to interaction between clothing items and situa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emale adults who lived in Seoul. The sampling method was quota sampling. The data was obtained from 391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one-way ANOVA, Duncan test, and two-way ANOVA by means of SP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clothing items, store patronage mix of consumer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cases of department stores and high-fashion boutiques, brand stores, discount stores of famous brands, mass-wholesale stores and mass-agent stores. 2. According to the situations, patronized store typ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department store and high-fashion boutiques, brand stores, discount stores of famous brands, mass-wholesale stores and mass-agent stores. In a gift-purchasing situation, department stores and high-fashion boutiques got the highest score, in a self-usage situation, mass-wholesale stores, discount stores of famous brands and brand stores got the highest score. 3. Store patronage mix of consumer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teraction between clothing items and situations. Department stores and high-fashion boutiques have the highest score far a consumer to purchase a suit for a gift, meanwhile brand stores have the highest score for self·usage.

중국소비자의 지속가능 패션 소비 결정요인 연구 - 계획된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 (Determinants of Sustainable Fashion Consumption in China -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 후신위;정소원;김은혜;이진화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58-468
    • /
    • 2021
  •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development, China, the world's second-largest apparel market, is also concerned about the environmental impact of fiber waste. Currently, there is a great interest in sustainable fashion in both supply and demand in China.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the determinants of sustainable fashion consumption(SFC) of Chinese consumers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man-nature orientation(MNO) and environmental knowledge(EK) as motivation and perceived online-store accessibility(POA) and perceived money availability(PMA) as barriers. Wenjuanxing, a Chinese professional survey collection agenc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millennials in Shanghai, China. The final sample size for the survey was 215.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ignificantly affected the purchase intention towards sustainable fashion products. MNO and EK influenced the attitude, whereas EK, POA, and PMA influence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TPB literature through the examination of four antecedents: MNO, EK, POA, and PMA. Th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retailers and market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motivations and barriers that enhance the purchasing intention of Chinese millennials toward SFC.

인터넷 점포에서의 구매후기 작성 동기 및 점포 고객 유형화 (Motives for Writing After-Purchase Consumer Reviews in Online Stores and Classification of Online Store Shoppers)

  • 홍희숙;류성민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7권3호
    • /
    • pp.25-5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점포에서 의류상품 구매후기를 작성하는 동기의 유형을 규명하는 한편 작성 동기 유형에 따라 인터넷 점포 고객들을 범주화하고, 각 집단의 작성행동, 인터넷 구매 행동, 인구사회적 특성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초점집단 면접과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연구되었으며, 정량적 연구에서는 의류상품 구매후기를 읽은 경험과 작성한 경험이 많은 국내 인터넷 점포 여성 고객 252명을 대상으로 자료가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인터넷 점포에서 구매후기를 작성하는 동기 유형은 이타적 정보 공유, 불만해소 및 보복, 경제적 보상 추구, 상품 개발 지원, 감동 표현으로 나타났다. 특히, 작성행동에 대한 영향력이 큰 동기는 이타적 정보 공유 동기와 경제적 보상 추구 동기였다. 인터넷 점포 고객은 작성동기 유형에 따라 소비자 옹호 집단, 이익 추구 집단, 중도적 집단으로 범주화되었으며, 세 집단은 구매후기 작성행동, 인터넷 구매빈도, 인구사회적 요인들에서 차별적 특성을 보였다. 소비자 옹호 집단과 이익 추구 집단을 대상으로 인터넷 점포 구전 채널 관리 방안이 제시되었다.

  • PDF

온라인상에서의 다차원적인 사용후기의 영향에 관한 연구 : 의류제품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Customer's Multidimensional Evaluation in Online Review :Focused on Apparel Products)

  • 서문식;안진우;이지은;박선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55-271
    • /
    • 2009
  • 많은 소비자들의 문제는 온라인을 통해서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해 명확한 지식을 획득하기 힘들다는 사실이다. 이에 소비자들은 온라인 사용후기를 통해 먼저 이용해 본 사람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행동을 취하는데, 이것은 일종의 온라인 구전으로 일면식도 없는 이들의 구전에 많은 소비자들이 영향을 받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결국, 온라인 기업들은 개별 이용자들의 사용후기를 적절히 관리할 필요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사용후기의 관리를 통해 차후의 이용자들에게 보다 나은 정보와 제품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후기는 그 내용의 방향성 및 객관성 여부에 따라 그 영향의 정도가 다르다고 예상해 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성격을 충분히 고려한 다차원적인 온라인 사용후기의 영향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결과, 긍정적이고 객관적인 메시지의 경우 메시지에 대한 태도가 구매, 재방문, 구전의도 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이고 주관적인 메시지의 경우에는 메시지에 대한 태도가 제품태도를 거쳐 구매의도와 구전의도에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메시지의 차원에 따라 제품에 대한 태도, 구매의도, 구전의도, 그리고 재방문의도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단순한 사용후기 관리가 아니라 사용후기의 다차원적인 특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유아복(乳兒服) 구매실태(購買實態)에 관(關)한 조사(調査)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urchasing Conditions of Infant's Wear)

  • 김지연;손희순
    • 패션비즈니스
    • /
    • 제3권4호
    • /
    • pp.93-10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or the basic data useful to the effective production and thereby, help them improve their apparel life. For this purpose, 180 Korean mothers who bring up from newborns to fouryear-old babies were sampled to survey their practices of purchasing the infant's wear and positively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ractices. Data is processed by a computer(SAS) and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chi^2$-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others tend to gather the information from the items displayed(50.6%) in the stores. The criteria for purchasing considerably depends on the 2. The places of purchasing on which the mothers rely most for infant's wear are department stores(35.2%) and stores nearby their house(28.5%). The frequency of infant's wear depend on the change of season and necessity. 3. It had been disclosed that the brand favored most by the mothers is AGABANG(48.6%).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for the popularity of brands are Design(53.1%). The most important reference affecting the mother's choice of infant's wear is size(51.1%) followed by functionality and price(26.7%). After the purchase, mothers are discontent with the high prices of infant's wear. In all, it has been foun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behavior of number in purchasing infant's wear was influenced by many external factors. Therefore, manufacturers and retailers should manufcture and sell products that are of the highest quality. This must be their utmost concern for the satisfaction of their customers.

  • PDF

성별에 따른 청바지 착용자의 의복행동 차이 (A Difference of Clothing Behavior of Jean's Wearer According to the Gender)

  • 이정숙;성수광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36-340
    • /
    • 2004
  • This is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number of jeans, colors, images, opinions when it was purchased, shapes according to the gender of persons in jeans. According to the gender, male students had 1.64 jeans(46.3%) and female students had 2.09 jeans(53.7%) on the average. Male students selected colors of jeans which they don't have, but want to wear once in the order of blue(3.7%), red(21.0%), white(24.1%), black(25.6%), and others(25.6%). Female students selected colors in the order of blue(3.2%), black(15.6%), red(24.8%), white(27.7%) and others(25.6%). In case of the general image about jeans, male students thought the jeans as masculine(1.2%), sexy(3.1%), unisexual(3.2%), active(23.6%), young(29.8%), and comfortable(36.5%) and female students thought it as masculine(0.3%), sexy(3.5%), unisexual(10.4%), young(21.9%), comfortable(28.1%) and active(35.8%). Male students considered torn or holed jeans ill-mannered(10.7%), delinquent, (20.7%)trendy(21.0%), comfortable(22.9%), and dandy(24.7%). Female students think it ill-mannered(3.4%), delinquent7.1%, trendy(17.4%), comfortable(21.1%), and dandy(50.9%). When they purchase jeans, male students choose according to trends(17.9%), don't consider design(19.5%) and look for their own styles(62.6%), female students didn't consider design(5.2%), choose according to trends(22.0%), and look for their own styles(72.5%). The designs of jeans which they usually wear were bell bottom(1.5%), wide-shaped(7.4%), baggy(17.5%), straight-shaped(73.6%) in case of 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female students, baggy(10.2%), wide-shaped(11.0%), bell bottom(17.0%), and straight-shaped(61.8%). The designs of jeans which they didn't have but want to wear once are wide-shaped(10.1%), bell bottom(13.2%), baggy(20.9%), and straight-shaped(55.2%) in case of 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females students want to wear baggy(11.6%), wide-shaped(15.0%), straight-shaped(27.6%), and bell bottom(45.8%).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regarded blue as the original color of jeans, but they wanted to wear jeans in colors other than blue. In the past, jeans were considered masculine and unisex, but they viewed jeans as an apparel that was comfortable to wear and made it easier to move. Female students had a higher tendency to be fashionable than male students, and their preference for jeans was consequently different. Jeans manufacturers should take those characteristics into account to produce products in different colors and form.

온라인 의복구매를 위한 소비자 정보탐색의 경로분석적 탐구 (A Path Analytic Exploration of Consumer Information Search in Online Clothing Purchases)

  • 김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721-1732
    • /
    • 2007
  • 본 연구는 온라인 의사결정과정에서 온라인 쇼핑속성, 정보원 및 구매의도와 관련된 소비자 정보탐색의 경로모델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미국 남서부지역의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으로 표본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총 219명의 이용 가능한 자료가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요인분석과 LISREL8.53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온라인 의복구매를 위한 정보원은 온라인 정보원, 소매점 정보원, 대중매체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온라인 의복구매를 위해 소매점 정보원(점포내 디스플레이, 제조업체의 팜플렛 또는 카달로그)을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된 경로모델을 살펴보면, 온라인 쇼핑속성의 중요도가 정보탐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온라인 의복 구매시, 소비자의 온라인 정보원 이용은 거래관련속성 즉 구매유인서비스(incentive service)에 의해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반면, 소매점 정보원 이용은 심미성, 가격 등의 제품 및 시장관련속성의 중요도에 의해 더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세가지 탐색유형 모두 구매의도에 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었으며, 다른 정보원에 비해, 소매점 정보원 이용이 온라인 의복구매의도에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속성별 소비자의 차별화된 정보탐색 패턴이 온라인 구매의도를 증가시키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의류제품의 멀티채널 소매전략(Multi-channel retailing) 방향이 논의되었다.

고등학생의 의복쇼핑성향과 인터넷에서 의류제품 구매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Clothing Purchasing Type in Internet)

  • 이은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1-116
    • /
    • 2008
  • 본 연구는 2006년 11월중에 전북지역 남녀 고등학생 68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에 의해 의복쇼핑성향과 인터넷에서 의류제품의 구매유형을 파악하고 이들 변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청소년기 의생활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측정도구의 요인분석 결과 의복쇼핑성향은 유행지향, 쾌락적 쇼핑지향, 상표과시지향, 시간편의지향, 경제성지향, 심미성지향 6개 요인이, 인터넷 의류제품 구매유형은 편의 추구형, 적극적 충동 구매형, 경제 추구형 3개 요인이 선택되었다. SPSS 11.5 for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Cronbach's $\alpha$, $x^2$ 검증, t 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Duncan의 다중비교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고등학생들은 인터넷 사용 년수는 전체적으로 4년 이상으로, 남학생이 많았으며, 하루 평균 인터넷 이용시간과 인터넷 의류관련 사이트 평균 접속 횟수, 의류 관련 사이트 주당 평균 이용시간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많았다. 인터넷 이용은 하루 평균 1시간에서 2시간미만, 일주일 평균 1-2번 정도 인터넷 의류관련 사이트 접속하였으며, 일주일에 평균 1시간 정도 이용하였다. 인터넷 의류제품 구매에 대하여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앞으로 인터넷에서 의류제품 구매의사 또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적게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의복쇼핑성향과 인터넷 의류제품 구매유형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의복쇼핑성향은 여학생이 유행지향, 쾌락적 쇼핑지향, 상표과시지향 성향이 높았고, 남학생은 경제성 지향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인터넷에서 의류제품을 구매시 편리를 추구하고 적극적으로 충동구매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쇼핑성향은 아버지의 학력보다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더 세분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인터넷에서 의류제품 구매유형 또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업성적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의복쇼핑성향은 학업성적이 높은 학생들이 낮은 집단에 비해 유행지향, 쾌락적 쇼핑지향, 시간편의지향, 경제성 지향, 심미성 지향 등 청소년의 쇼핑성향 특성이 모두 높았고 인터넷에서 의류제품 구매유형 특성 또한 모두 다 높았다. 따라서 남녀 고등학생들의 의복쇼핑성향과 인터넷에서 의류제품 구매 유형은 성별, 부모의 학력과 학업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를 사용하여 의복쇼핑성향과 인터넷에서 의류제품 구매유형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의복쇼핑성향 변인 중 쾌락적 쇼핑지향과 경제성지향을 제외한 모든 변인과 인터넷에서 의류제품 구매유형 모든 변인간에 정적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고등학생의 의복쇼핑성향과 인터넷에서 의류제품 구매유형과는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