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4초

시간의존성 염화물 확산계수와 압축강도 상관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Dependent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and Compressive Strength)

  • 이승훈;권성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715-726
    • /
    • 2012
  • 콘크리트의 대표적 물성치인 강도 및 염화물 확산계수는 재령에 따라 변화하며, 염화물 침투 해석시 이러한 영향들이 고려되고 있다. 이 연구는 다양한 혼화재료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쉬, 실리카 퓸)을 포함하는 고성능콘크리트의 촉진염화물 확산계수, 겉보기 염화물 확산계수, 강도 특성을 재령에 따라 실험적으로 도출하고 그 상관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0개의 배합을 가지는 고성능 콘크리트가 제작되었고, 재령 28일, 91일, 180일, 270일에 대한 촉진확산계수를 실험적으로 도출하였으며, 또한 동일배합에 대하여 침지 6개월 이후의 겉보기 확산계수가 도출되었다. 재령에 대한 강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재령 7일, 28일, 91일, 180일에 대한 강도시험이 수행되었다. 시간 의존적인 촉진확산계수의 변화가 겉보기 확산계수 및 강도와 비교되었으며, 각각의 상관관계가 재령에 대하여 분석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겉보기 확산계수와 촉진확산계수는 재령에 큰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선형적인 상관성이 도출되었다. 또한 강도와 촉진확산계수 그리고 강도와 겉보기 확산계수에서도 재령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선형적인 관계가 도출되었다.

신경망 이론을 이용한 염소이온 겉보기 확산계수 추정 및 이를 이용한 염화물 해석 (Analysis Technique for Chloride Behavior Using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of Chloride Ion from Neural Network Algorithm)

  • 이학수;권성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481-490
    • /
    • 2012
  • 염화물 이온은 콘크리트 내부로 유입되어 철근부식을 야기하므로 염화물 침투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전기영동실험을 통한 촉진확산계수가 현실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지만, 이는 자유염화물 이온에 대한 전기장 내의 이온속도를 나타낼 뿐이므로 염화물량에 대한 명확한 해를 제공하지 못한다. 겉보기 확산계수는 단순한 Fick의 이론을 배경으로 엔지니어에게 전염화물의 확산을 명확하게 제공할 수가 있다. 이 연구는 인공신경망이론을 이용하여 최적의 확산계수를 도출하고 시간의존성 확산계수를 이용하여 염화물 침투를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에서 30개의 배합 및 염소이온 겉보기 염화물 확산계수를 인용하였으며, 배합인자(물결합재비, 단위시멘트량, 슬래그, 플라이애쉬, 실리카퓸, 단위 잔골재 및 굵은 골재)를 뉴런으로 선택하여 확산계수에 대한 학습을 훈련하였다. 또한 시간의존성 확산계수를 고려하여 단순한 Fick 법칙으로 염화물 침투를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장기침지실험 및 실태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제안된 기법의 결과와 비교를 수행하였으며,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이 기법은 다양한 배합 및 관련 확산계수의 입수 및 학습을 통하여 더욱 합리적인 기법으로 발전할 수 있다.

Diffusion-weighted Imaging and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Maps for the Evaluation of Pyogenic Ventriculitis

  • Kim, Hyeong-Seok;Hong, Jae-Taek;Lee, Sang-Won;Son, Byung-Chul;Sung, Jae-Hoon;Kim, Moon-Cha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8권1호
    • /
    • pp.23-27
    • /
    • 2005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significance of an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ADC] study for diagnosis of ventriculitis. Methods : Seven patients with ventriculiti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Diffusion-weighted[DW] magnetic resonance images[MRI] and ADC maps in the dependent intraventricular collection,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and non-dependent cerebrospinal fluid[CSF] were obtained. The images and ADC data from the different lesions were compared. Results : The DW MRI showed marked hyperintensity in the purulent pus lesion, and the corresponding ADC maps revealed prominent hypointensity and restricted ADC values compared with the non-dependent CSF and normal white matter. Conclusion : The decreased ADC value and increased signal intensity of the dependent intraventricular fluid on the DW MRI show restricted water diffusion in the purulent fluid, which is indicative of a pyogenic ventriculitis diagnosis.

해양 폭로 환경에 따른 GGBFS 콘크리트의 겉보기 염화물 확산계수 비교 (The Comparison of Apparent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s in GGBFS Concrete Considering Sea Water Exposure Conditions)

  • 윤용식;정기찬;권성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18-2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해양 폭로 조건과 배합 사항을 고려하여 GGBFS 콘크리트의 시간의존적 염화물 확산 거동을 분석하였다. 사용 콘크리트 배합은 3 수준의 물-결합재 비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 치환률을 고려한 콘크리트 배합이며 노출 조건으로는 침지대, 간만대, 비말대 총 3 수준을 고려하여 옥외 폭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겉보기 염화물 확산계수 평가 결과,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률이 증가할수록 노출 기간 730일(2년)을 기준으로 평가한 확산계수의 감소율이 감소하였다. 또한 노출 조건에 따른 확산거동을 평가한 결과, 침지대, 간만대, 비말대 순으로 확산계수가 평가되었다. 비말대에서는 해수의 건습 반복으로 인해 비교적 높은 확산계수가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치환률이 겉보기 염화물 확산계수 감소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노출 조건 및 기간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확산계수를 출력 값으로, 고로슬래그를 입력 값으로 설정한 선형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노출 기간 730일 이후 고로슬래그 미분말이 확산계수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감소하였다. OPC 콘크리트라 할지라도 730일 이후 GGBFS 콘크리트 만큼 낮은 확산계수를 나타냈기 때문이며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사용을 통해 730일 이전에 뛰어난 초기 염해 내구성능 확보가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Serial Magnetic Resonance Images of a Right Middle Cerebral Artery Infarction : Persistent Hyperintensity on Diffusion-Weighted MRI Over 8 Months

  • Son, Seung-Nam;Choi, Dae-Seob;Choi, Nack-Cheon;Lim, Byeong-Ho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0권4호
    • /
    • pp.388-391
    • /
    • 2011
  • A lesion that is hyperintense on diffusion-weighted imaging (DWI) and hypointense on the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map is a characteristic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inding in acute ischemic infarction. In some cases, however, these findings can persist for a few months after infarct onset. It is thought that these finding reflect the different evolution speeds of the infarcted tissue. We report a patient with a right middle cerebral artery territory infarction with persistent hyperintensity on DWI and hypointensity on the ADC map for over 8 month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most persistent case of hyperintensity lesion on DWI and the serial MRI images of this patient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evolution of infarcted tissue.

Characteristics of ethylcellulose microcapsules of sulfisoxazole

  • Oh, Doo-Man;Lee, Min-Hwa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5권2호
    • /
    • pp.61-70
    • /
    • 1982
  • Sulfisoxazole, a chemotherapeutic agent, was microencapsulated with ethylcellulose by means of phase separation form cyclohexane by temperatture change. The size distribution was determined by use of standard sieves and the effect of core to wall ratio was noted. To examine their shapes and usrface characteristics, the microcapsules were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Release of the drug from microcapsules into pH 7.5 buffer medium was studied. The release pattern was found to have similar properties to the release of a drug from an insoluble porous matrix reported. The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of sulfisoxazole was measured for the transport of the drug from the core of microcapsules into the surronding sink condition. The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capsule size.

  • PDF

비말 지역에 노출된 FA 콘크리트의 균열을 고려한 겉보기 염화물 확산계수 및 표면 염화물량 평가 (Evaluation of Apparent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and Surface Chloride Contents of FA concrete Exposed Splash zone Considering Crack Width)

  • 윤용식;권성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18-25
    • /
    • 2019
  • 콘크리트는 인장력에 취약한 재료적 특징을 갖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용기간 중에 발생하는 균열은 내구성능 평가 시 필히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 수준의 강도를 고려한 플라이애시 콘크리트를 배합하여 옥외 폭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노출 환경은 비말 조건으로 설정하였으며, 균열 폭이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각 배합의 시편에 0.1 mm 간격으로 최대 1.0 mm 까지의 균열 폭을 야기하였다. 그 후 3가지 수준의 노출기간(180일, 365일, 730일)을 고려하여 겉보기 염화물 확산계수 및 표면 염화물량을 산출하였다. 균열 폭의 증가에 따라 두 배합 모두 확산계수가 증가하였으며, 노출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확산계수는 감소하였다. 또한 노출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균열 폭이 확산계수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염소 이온 기반 수화물이 콘크리트의 확산성을 저감시키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표면 염화물량 거동은 겉보기 염화물 확산계수 거동 대비 균열 폭의 증가에 따른 뚜렷한 변화 거동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고강도 배합에서 보통 강도 배합 대비 78.9 % ~ 90.7 %의 표면 염화물량을 나타내어 강도와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Diagnostic Significance of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Values with Diffusion Weighted MRI in Breast Cancer: a Meta-Analysis

  • Sun, Jiang-Hong;Jiang, Li;Guo, Fei;Zhang, Xiu-Sh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9호
    • /
    • pp.8271-8277
    • /
    • 2014
  • Aims: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values of nodes in diffusion-weighted imaging (DWI) are widely used in differentiating metastatic from non-metastatic lymph nodes. The purpose of this meta-analysis was to demonstrate whether DWI could contribute to the precise diagnosis of breast cancer (BC) with and without lymph node metastasis (LNM). Materials and Methods: English and Chinese electronic databases were searched for relevant studies followed by a comprehensive literature search. Two reviewers independently assessed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included trials based on the quality assessment of diagnostic accuracy studies (QUADAS). Summary odds ratios (ORs) and corresponding 95% confidence intervals (95% CIs) were calculated. Results: Final analysis of 624 BC subjects (patients with LNM = 254, patients without LNM = 370) were incorporated into the current meta-analysis from 9 eligible cohort studies. Combined ORs of ADCs suggested that ADC values in BC patients without LNM were higher than in patients with LNM (OR=0.56, 95%CI: 0.11-1.01, p=0.015). Subgroup analysis stratified by country indicated a low ADC value in BC patients with LNM rather than those without LNM among Chinese (OR=1.27, 95%CI: 0.89-1.66, p<0.001), Italians (OR=0.75, 95%CI: 0.13-1.38, p=0.018), and Egyptians (OR=1.27, 95%CI: 0.71-1.84, p<0.001). The findings of subgroup analysis by MRI machine type revealed that ADC values from diffusion MRI may be potential diagnostic indicators for BC using Non-Philips 1.5T (OR=1.10, 95%CI: 0.84-1.36, p<0.001). Conclusions: The main findings of our meta-analysis demonstrated that increased signal intensity on DWI and decreased signals on ADC are helpful in diagnosis of BC patients with or without LNM. DWI could therefore be an important imaging investigation in patients suspected of BC.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시멘트 경화체의 C1 ̄이온확산과 콘크리트의 내구성 평가 (Evaluation of Chloride ions Diffusion on Hardened Cement paste And Durability of Concrete Specimen Using Inorganic Coating Material)

  • 김인섭;이종규;추용식;김병익;신영훈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21-226
    • /
    • 2001
  • Chloride diffusion effect of cement paste, freezing and thawing test, carbonation of concrete specimen were carried out using inorganic coat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chloride ions diffusion test, it is elucidated that permeability and diffusion coefficient of Cl ̄ ions and apparent coefficient of coated cement paste is smaller than plain cement paste. A durability of coated concrete specimen was enhanced by the experiment result of concrete carbonation and freezing thawing test.

  • PDF

콘크리트 중 겉보기 염소이온 확산계수 추정을 위한 비색법의 적용 (Application of Colorimetric Method for Evaluation of Apparent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of Concrete)

  • 문한영;김홍삼;최두선;오세민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41-544
    • /
    • 2003
  • Chloride diffusivity is one of the important properties of concrete affecting the durability of a structure. The diffusivity for porous materials is determined conventionally by immersion in a solution. However, this method is complicate and time-consuming, often requiring months or years to obtain results. Thus, the application of colorimetric method to estimate the apparent diffusivity of chloride ion was verified in this study. The result reveals that the apparent diffusivity of chloride ion can be predicted to use colorimetric method. Additionally the colorimetric method is capable to predict the profile of chloride ion.

  • PDF